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1년도 2학기 컴퓨터과학 UNIX시스템 중간과제물 A+ (성적우수졸업)
문서 내 토픽
-
1. 리눅스 계정 생성리눅스를 설치하고 일반 사용자 계정을 생성한다. 계정 이름은 학번으로 하고 계정 설명은 한글 이름으로 하며 기본 셸은 bash로 한다.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 한 후 터미널 창을 띄운다. /etc/passwd 파일에서 자신의 계정 정보를 가지는 1개 라인만을 터미널 창에 출력한다.
-
2. vi 편집기를 이용한 파일 생성vi 편집기를 사용하여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의 내용으로 파일 'anthem'을 생성한다. 터미널 창에서 적당한 출력 명령을 사용하여 파일 'anthem'의 내용을 출력한다.
-
3. sort 명령어list1 파일을 읽어 정렬한 후 list2 파일로 표준출력을 리다이렉션 한다. sort는 텍스트로 작성된 파일을 행단위로 정렬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왼쪽 화살괄호(<)는 키보드같은 표준입력을 지정된 파일로 리다이렉션 하는 기능이며, 오른쪽 화살괄호(>)는 화면같은 표준출력을 지정된 파일로 리다이렉션 하는 기능이다.
-
4. cat, grep, sort 명령어 조합list1과 list2파일을 연결하여 grep의 입력으로 들어가고, 연결된 텍스트에서 문자 'p'가 들어간 행을 전부 찾아, sort의 입력으로 들어가 정렬되어 화면으로 출력된다. cat은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며, 파이프(|) 문자는 한 명령의 출력을 다음 명령의 입력으로 연결한다. grep은 파일에서 패턴과 상응하는 문자열이 포함된 행을 찾아 출력한다.
-
5. du 명령어현재 디렉터리내의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의 각기 총 사용량을 출력한다. du는 특정 디렉터리나 파일의 디스크 사용량을 보여주는 명령어다. 원래는 서브 디렉터리도 함께 출력한다. 사용량은 KB의 블록단위로 출력한다. -s 옵션은 총 사용량을 요약해 출력한다. 별표(*)는 모든 것을 의미하는 와일드카드로, 현재 경로내의 모든 걸 특정했다는 의미다.
-
6. find 명령어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에서 파일, 디렉터리의 크기가 1MB이상인 것을 찾아 자세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find는 원하는 조건으로 파일, 디렉터리를 찾을 수 있는 명령어다. ~은 홈 디렉터리를 의미한다. -size +1M 옵션은 크기로 필터를 걸어 찾은 것이다. ls는 검색 결과 리스트를 자세히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선 ls -dls를 의미한다.
-
7. grep 명령어letter.txt에서 대소문자 상관없이 'love'라는 문자열이 포함되지 않은 행의 총 개수를 출력한다. grep는 패턴과 상응하는 문자열이 포함된 행을 찾아 출력하는 명령어다. -i 옵션은 비교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v 옵션은 주어진 패턴과 매칭되지 않는 행만 출력하며, -c 옵션은 패턴이 일치하는 행의 총 개수를 출력한다.
-
1. 리눅스 계정 생성리눅스 계정 생성은 사용자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계정 생성을 통해 사용자의 권한과 접근 권한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시스템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계정 생성 시 사용자의 역할과 책임에 따라 적절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계정 생성 시 강력한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무단 접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계정 생성은 시스템 관리의 기본이 되는 작업이므로, 이에 대한 이해와 숙련도가 높아질수록 효과적인 시스템 관리가 가능할 것입니다.
-
2. vi 편집기를 이용한 파일 생성vi 편집기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텍스트 편집기 중 하나입니다. vi 편집기를 이용하면 파일을 생성하고 편집할 수 있으며, 다양한 단축키와 명령어를 통해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vi 편집기는 터미널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어 원격 시스템 관리에 유용합니다. 또한 vi 편집기는 다양한 플러그인과 확장 기능을 지원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게 편집기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vi 편집기를 익히는 것은 리눅스 시스템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sort 명령어sort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매우 유용한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 내의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습니다. 정렬 기준은 문자, 숫자, 날짜 등 다양한 형태로 지정할 수 있으며,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sort 명령어는 다른 명령어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복잡한 데이터 처리 작업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ort 명령어와 grep 명령어를 조합하면 특정 패턴의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ort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 관리에 있어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cat, grep, sort 명령어 조합cat, grep, sort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매우 강력한 조합을 이루는 명령어들입니다. cat 명령어를 통해 파일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고, grep 명령어로 특정 패턴을 검색할 수 있으며, sort 명령어로 데이터를 정렬할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 명령어를 조합하면 복잡한 데이터 처리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at 명령어로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고, grep 명령어로 특정 패턴을 검색한 뒤, sort 명령어로 결과를 정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세 가지 명령어는 다른 명령어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시스템 관리 작업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명령어에 대한 이해와 숙련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du 명령어du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데 매우 유용한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디렉토리 및 파일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어, 디스크 공간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특히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 du 명령어를 통해 디스크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du 명령어에는 다양한 옵션이 있어,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게 출력 형식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렉토리 별 사용량을 확인하거나, 파일 크기 순으로 정렬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du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 관리에 있어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find 명령어find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를 검색하는 데 매우 유용한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 이름, 크기, 소유자, 수정 시간 등 다양한 조건으로 파일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 내에서 특정 파일을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find 명령어는 다른 명령어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복잡한 파일 관리 작업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ind 명령어와 exec 명령어를 조합하면 검색된 파일에 대해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find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 관리에 있어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7. grep 명령어grep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매우 강력한 텍스트 검색 도구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 내의 특정 패턴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검색 결과에는 해당 패턴이 포함된 행이 출력되며, 이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grep 명령어는 다양한 옵션을 지원하여 검색 결과를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소문자 구분, 정규 표현식 사용, 검색 범위 지정 등이 가능합니다. 또한 grep 명령어는 다른 명령어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복잡한 데이터 처리 작업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rep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 관리에 있어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1년도 2학기 컴퓨터과학 UNIX시스템 중간과제물 A+ (성적우수졸업)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01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1년도 1학기 공통교양 컴퓨터의이해 중간과제물 A+ (성적우수졸업)1. 정보사회 ① 모든 분야에 걸쳐 정보의 비중이 커져 그 역할과 중요성이 높아짐 ② 정보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며 유용한 정보만을 필터링하는 처리능력이 중요시됨 ③ 정보의 획득이 자본과 부의 원천으로 작동하며, 정보가 사회 시스템을 기반이 됨 ④ 정보 격차에 의한 빈부격차는 더욱 가중화될 가능성이 높음 ⑤ 정보의 공유를 통해 대중의 의식이 성장하고, 세...2025.01.25 · 정보통신/데이터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1년도 2학기 일본학과 일본사회문화의이해 중간과제물 A+ (성적우수졸업)1.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 연구 베네딕트가 『국화와 칼』 연구를 통해 밝혀내고자 한 것은 일본인의 행동과 양식 속에 내재된 사고방식을 설명하는 것이었다. 그는 일본인의 아름다움을 사랑하는 기질을 '국화'로, 무를 동경하는 기질을 '칼'로 상정하여 이 반대되는 성질들이 일본인들에게는 모순이 아님을 보여주고자 했다. 또한 이중성을 중심으로 천황과 에도시대,...2025.01.25 · 인문/어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1년도 1학기 컴퓨터과학과 데이터정보처리입문 출석수업과제물 A+ (성적우수졸업)1. 전국 총출생성비 추이 2009년부터 2019년까지의 연도별 전국 총출생성비를 시계열도표로 나타내고, 도표를 이용하여 경향을 설명하였습니다. 출생성비는 '(남자 출생아 / 여자 출생아) × 100' 로 계산할 수 있는데, 쉽게 말해 여아 100명당 남아수를 의미합니다. 2011년은 전년도에 비해 다소 큰 감소폭을 보였으나, 이후 5년간은 매우 완만한 감...2025.01.25 ·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