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응급간호
본 내용은
"
2022년 응급간호.1) 기본소생술(BLS)의 과정을 기술하시오. 제세동기 사용까지 포함하여 기술하고, COVID-19 감염 의심 환자 시의 기본소생술 과정도 추가로 기술.2) 전문심장소생술(ACLS)의 과정을 기술하시오. 투여 약물까지 포함하여 기술하고, COVID-19 감염 의심 환자 시의 전문심장소생술 과정,3) 제세동과 심율동전환 차의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24
문서 내 토픽
-
1. 기본소생술(BLS)의 과정기본소생술(Basic Life Support)은 1차 소생술을 말하며 특별한 기구가 없는 상태에서 처음 목격한 사람이 입과 손으로 인공호흡법과 가슴 압박법을 동시에 적용하는 소생술이다. 1단계 : 환자의 반응을 확인한다. 2단계 : 응급의료체계 신고한다. 3단계 : 호흡을 확인한다. 4단계 : 가슴압박을 한다. 5단계 : 기도유지 한다. 6단계 : 인공호흡을 한다. 7단계 : 제세동은 심장전기충격기며 심장에 전기적 충격을 주어 동방결절이 제기능을 찾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세동, 심율동 전환하는데 사용한다. COVID-19 감염 의심 환자 시의 기본소생술의 경우에는 현장 안전을 확인하며 보건용 마스크(KF94)쓰고 환자의 반응을 확인하며 구조 요청을 한다. 기본 소생술과 동일 하며 호흡을 확인 할때는 코와 입을 천 또는 수건을 사용하여 덮고 시행한다.
-
2. 전문심장소생술(ACLS)의 과정전문심장소생술(ACLS)의 목표는 뇌기능의 소생이다. 의료인에 의한 전문적 처치가 요구되며 심폐 혹은 심혈관의 응급상황에 대한 발견, 제세동법, 고급기도 유지관리, 심장리듬에적당한 투약을 포함하며 빠른 원인 치료가 필수적이다. 1차 ABCD평가에 이은 2차 ABCD로 구성되어 단계별 접근한다. Airway : 기도기 삽입에는 경구기도기(OPA), 경비기도기(NPA), Aavanced airway, 후두마스크를 사용한다. Cicculation : 심전도 소견에 따른 치료방법에는 심실세동, 무맥성 심실빈맥에는 제세동, Epinephrine 사용하며 무맥성 전기활동, 무수축에는 Epinephrine 하용한다. Differential : 심정지의 가역적인 원인을 5H, 5T로 파악하여야 한다. COVID-19 감염 의심 환자 시의 전문심장소생술 과정에는 전문기도기를 삽관하지 않은 상태(기본소생술)에서는 환자의 마스크를 씌운 후 가습압박을 하며, 전문기도기를 삽관한 상태에서 가슴압박을 할 때는 가능한 기도 필터(airway filter)를 연결한 후 인공호흡을 한다.
-
3. 제세동과 심율동전환의 차이제세동 (Defibrillation) : 수동형과 자동형이 있으며 심장에 전기적 충격을 주어 동방결절이 제기능을 찾도록 하는 방법이며 제세동, 심율동 전환에 쓰인다. 심실세동의 유일한 치료방법이며 심장에 전기를 흘려 보내 심실의 비정상적 흥분을 가라 앉히는 처치이다. 적응증에는 무맥성 심실빈맥, 심심세동. 심율동전환법 (cardioversion) : 적응증에는 심실빈맥, 심방세동, 심방조동, 발작성 심실빈맥. 대게 제세동보다 더 낮은 에너지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세동의 목적은 심실세동을 없애는 것이며 무맥성 심실빈맥, 심실세동에 사용하고. 심율동전환의 목적은 심방성 혹은 심실상성 빈맥을 정상리듬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심실상성 빈맥, 심방세동, 심방조동, 단형 심실빈맥에 적응한다.
-
1. 기본소생술(BLS)의 과정기본소생술(BLS)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응급처치 과정입니다. BLS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의식 확인 및 119 신고, 2) 기도 개방, 3) 인공호흡, 4) 가슴압박, 5) 제세동기 사용 등입니다. 이 과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BLS는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기술로, 응급상황에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일반 시민들도 BLS 교육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2. 전문심장소생술(ACLS)의 과정전문심장소생술(ACLS)은 의료진이 심정지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다 전문적인 응급처치 과정입니다. ACLS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심정지 원인 파악, 2) 약물 투여, 3) 전문기도유지술, 4) 심율동 분석 및 제세동, 5) 심폐소생술 등입니다. ACLS는 BLS보다 복잡하고 전문적인 기술이 요구되므로, 의료진들이 정기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숙련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ACLS를 통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3. 제세동과 심율동전환의 차이제세동과 심율동전환은 모두 부정맥 치료를 위한 전기적 충격 치료법이지만, 그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세동은 심실세동이나 무맥성 심실빈맥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기 충격을 가해 심장을 정상 리듬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반면 심율동전환은 심방세동이나 심방조동과 같은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기 충격을 가해 정상 심장 리듬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제세동은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게 사용되지만, 심율동전환은 보다 안정적인 상황에서 시행됩니다. 이처럼 두 치료법은 부정맥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됩니다.
-
뇌내출혈 환자의 응급실 간호 사례1. 뇌내출혈 뇌내출혈은 겉질하 백색질부위의 작은 동맥과 정맥의 출혈로 인해 혈액이 뇌실질조직에 축적된 것이다. 이는 갑자기 발병하는 응급질환으로서 신경계 결손은 물론 영구적인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즉각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뇌출혈 환자 수는 2018년 9만 7420명에서 2022년 10만 2127명으로 5년 동안 꾸준히 증...2025.01.08 · 의학/약학
-
응급재난보고서 화재1. 화재의 정의와 분류 화재란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화학적인 폭발현상을 말한다. 화재의 3요소는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방화에 의해 발생, 소화의 필요가 있는 연소 현상, 소화 시설 등의 사용 필요가 있다. 화재는 A급(가연성 물질), B급(인화성 액체), C급(전기)...2025.01.03 · 의학/약학
-
아동간호학 PICO 과제1. 급성 열성경련 4세 5개월된 남아 강OO은 내원 1일 전, 2022년 11월 14일 19시부터 열이 나기 시작하였고 콧물, 기침을 동반하여 다음날 아침에 로컬 소아과를 다녀옴. 그날 저녁에 고열이 떨어지지 않고 몸이 뻣뻣해지고 손발을 부들부들 떨었으며, 눈이 돌아가는 증상을 2분 정도 보여 2022년 11월 15일 밤 23시 40분경에 OO대학교 병원...2025.01.12 · 의학/약학
-
이태원 참사 이후 정신간호학적 접근1. 이태원 참사 개요 2022년 10월 29일 토요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해밀톤호텔 서편 골목에서 발생한 압사 사고. 할로윈 축제를 즐기려던 많은 인파가 몰리면서 발생한 사고로, 사망 159명, 부상 196명의 피해가 발생했다. 사고 초기 구조 및 응급처치가 지연되면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으며, 정부의 미흡한 대응과 재난대응체계의 문제점이 드러났다....2025.01.06 · 보건
-
지역사회간호학 국내와 국외의 재난관리 비교분석 + 간호사의 역할1. 재난의 정의 재난(disaster)이라는 용어는 원래 별의 불길한 모습을 상징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하늘로부터 비롯된 인간의 통제가 불가능한 해로운 영향"으로 풀이한다. 재난(disaster)의 어원을 분석하면, dis는 어원상 분리, 파괴, 불일치의 뜻이며, aster는 라틴어로 astrum 또는 star라는 것을 의미한다. 과거의 재난(D...2025.05.09 · 보건
-
낙상 응급재난보고서1. 낙상의 정의와 발생현황 낙상은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몸을 다치는 것으로 노인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모든 나이에서 발생이 가능하다. 특히 노인 낙상의 발생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심각한 손상을 동반하거나 낙상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에까지 이르게 된다. 낙상은 손상으로 인한 응급실 내원 및 입원의 주요한 원인으로 의료비 부담이 큰 손상이다. 낙상 사망자는 ...2025.01.24 · 보건
-
성인간호학 응급실 실습 관련 용어 단어 시험지와 답안지 4페이지
2022년 성인간호학실습 실습 응급실관련 용어 및 약어 퀴즈 답지학번: 이름: 실습: 병동:번호약어Full Name의미1BLSbasic life support기본적 생명유지2DIdrug intoxication약물중독3DOAdeath on arrival도착시 사망4ECCemergency cardiac care응급 심장간호5EC(K)Gelectro cardiography심전도6EMSemergency medical services응급 의료서비스7EMTemergency medical technician응급 의료기사8GCSGlasgow co...2022.07.07· 4페이지 -
지역 응급의료기관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능력 자기효능감이 중증도분류 역량에 미치는 영향 논문요약 3페이지
논문요약지역 응급의료기관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능력,자기효능감이 중증도 분류역량에 미치는 영향학과(학부)교 수 명과 목 명(실습병원/ 부서)학년/반/번호학 번성 명제출일자담당교수확 인논문 제목지역 응급의료기관 응급실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능력, 자기효능감이 중증도 분류역량에 미치는 영향연구자김수진, 김수올학술지명성인간호학회지. 2022년 06월, 제34권 제3호: 304-312key word분류, 응급실, 수행능력, 자기효능감논문 요약1. 연구의 필요성지금까지 응급실 간호사의 KTAS 중증도 분류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는 권역 ...2024.03.24· 3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재난간호보고서(화상간호) A+ 7페이지
응급ㆍ재난 간호 보고서화재 - 화상간호목 차I. 서론3II. 본론51. 임상실습 중 응급ㆍ재난 간호술에 대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52. 대상자의 상황에 따라 시행된 응급ㆍ재난 간호술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53. 대상자의 상황에 따른 응급ㆍ재난 간호술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부족한 부분과 잘 수행된 간호술에 대해 분석하시오.6III. 결론(자아성찰)7IV. 참고문헌7I. 서론통계청(e-지방지표, 2022년)에 따르면 화재발생건수는 총 40,111건으로 전년도(2021년)36,266건 보다 증가한 상태다. 이러한 화재 발...2023.06.15· 7페이지 -
응급실 논문요약 보고서 6페이지
2023년 성인간호학실습 Ⅳ논문요약 보고서과제 보고서[ER]과 목성인간호학실습 Ⅳ담당교수분반이 름학 번제 출 일학번 / 이름실습병원 / 병동00000 병원 / 응급실 ER발표일2023년 9월 7일논문 제목응급실 급성 호흡곤란 환자를 대상으로 한 비강 캐뉼라와비재호흡 마스크를 동시에 적용한 산소 제공 요법의 효과저자장윤덕, 정웅빈, 지재구, 김성주저널명, 권, 호, 페이지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Vol. 24, No. 4 pp. 234-241연구의 필요...2023.11.01· 6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4)_응급재난간호보고서(화상) 9페이지
2023년도 2학기 성인간호학실습(4) 응급·재난 간호보고서 -화상- 과목명 성인간호학실습(4) 담당 교수 학년/분반 학번 이름 제출일 목 차 Ⅰ. 서론3-4 Ⅱ. 본론 1. 임상실습 중 응급, 재난 간호술에 대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5 2. 대상자의 상황에 따라 시행된 응급, 재난 간호술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5-8 3. 대상자의 상황에 따른 응급, 재난 간호술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부족한 부분과 잘 수행된 간호술에 대해 분석하시오.8 Ⅲ. 결론(자아성찰)9 Ⅳ. 참고문헌9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023년...2024.06.06·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