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국가'에 대한 독후감
본 내용은
"
(동서양고전의이해) 독후감을 쓰는 과제입니다. 교재의 1~15장 중 하나를 골라서 ‘기본 내용 및 해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9
문서 내 토픽
  • 1. 정의에 대한 통념
    소크라테스는 주로 통념상에 존재하는 정의에 대해서 거론하는데 이 때 소피스트 중에서 트라쉬마코스가 정의가 강자의 이익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정의가 남들에게나 좋지 사실 자신에게는 불의가 더 좋다는 것인데 불의를 썼을 때 지혜를 써서 이를 탄로나지 않게 하거나 탄로가 나더라도 용기를 써 남들을 이겨버리면 그게 덕이라는 것이다.
  • 2. 이상적 국가와 영혼
    플라톤의 형제인 아데이만토스와 글라우콘은 스승인 소크라테스에게 질문하면서 귀게스의 반지 이야기를 꺼낸다. 이 반지를 낀 사람은 투명인간이 될 수 있는데 어떤 짓을 하더라도 남에게 발각당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불의를 저지르지 않을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즉, 사람이 정의롭고 착하게 살아가는 것은 결국 다른 사람의 시선이 무섭기 때문이라고 한다.
  • 3. 철학자의 통치와 좋음의 이데아
    소크라테스가 제시한 국가 구상에 대하여 제자들은 여성의 공직 진출 문제와 사적 영역이 박탈된 상태의 수호자계급에 대한 효율성, 해당 나라가 실현될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제시한다. 이에 대하여 소크라테스의 대답은 지성에서는 남녀에서의 능력 차이가 없다고 하였으며 사적 재산을 가지거나 결혼을 할 수 없는 수호자 계급의 효율성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대신에 이들은 모든 아이들의 아버지나 어머니가 될 수 있어서 사회 전체적으로 효용성을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 4. 이상국가의 몰락
    만일 모든 사람들이 제대로 교육을 받고 자신의 일을 정확하게 수행할 경우 국가는 큰 어려움없이 유기체와 같이 운영될 것이다. 그렇지만 모든 사회에서는 몰락의 위험요소가 있는데 이에 대하여 소크라테스는 명예지상정과 과두정, 참주정의 순으로 몰락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 5. 플라톤의 '국가'의 의의와 영향
    결국 국가가 추구하는 것은 정의로운 삶과 행복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 플라톤이 저술한 저서 '국가'는 자신의 스승인 플라톤과의 대화를 통하여 이러한 국가관에 대하여 명확하게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철학자에 의한 국가통치에 대하여 생각해보게 하면서 정치인들이 자신들의 도덕성과 철학을 되새겨볼 수 있는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정의에 대한 통념
    정의에 대한 통념은 플라톤이 『국가』에서 다루고 있는 핵심 주제 중 하나입니다. 플라톤은 정의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가 부족하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정의를 개인의 덕성과 사회의 조화로운 질서로 정의하고자 했습니다. 정의는 단순히 법률을 준수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과 사회가 조화를 이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플라톤은 정의에 대한 통념을 비판하고 보다 근본적인 정의의 개념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 2. 이상적 국가와 영혼
    플라톤은 『국가』에서 이상적인 국가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는 국가를 개인의 영혼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즉, 국가는 이성, 기개, 욕망이라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세 부분이 조화를 이루어야 정의로운 국가가 실현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플라톤의 이상적 국가론은 개인의 덕성과 사회의 조화를 강조하는 것으로, 이는 정의에 대한 그의 근본적인 견해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 3. 철학자의 통치와 좋음의 이데아
    플라톤은 이상적 국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철학자가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철학자가 진리인 '좋음의 이데아'를 깨달은 자라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철학자는 이데아를 바탕으로 국가를 통치함으로써 정의로운 사회를 실현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는 플라톤의 이상주의적 정치철학의 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철학자 통치론은 현실적으로 실현되기 어려운 이상적 구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 4. 이상국가의 몰락
    플라톤은 『국가』에서 이상적 국가가 점차 타락하여 몰락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는 이상국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귀족정에서 티모크라시, 올리가르키, 민주정, 그리고 마지막으로 폭정으로 변질된다고 보았습니다. 이는 국가 내부의 세 부분인 이성, 기개, 욕망 간의 균형이 깨지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플라톤의 이상국가 몰락론은 이상과 현실의 괴리, 그리고 정치 체제의 변화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 5. 플라톤의 '국가'의 의의와 영향
    플라톤의 『국가』는 서양 정치철학의 고전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저작에서 플라톤은 정의, 이상적 국가, 철학자 통치론 등 근본적인 정치 문제들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비록 플라톤의 이상주의적 구상이 현실적으로 실현되기 어렵다는 비판이 있지만, 그의 사상은 이후 서양 정치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국가와 개인의 관계, 정의의 개념, 이상적 정치 체제 등에 대한 그의 견해는 후대 철학자들에게 중요한 토대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플라톤의 『국가』는 서양 정치철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