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진단 신체 기동성 장애 SOAPIE
본 내용은
"
간호진단 신체 기동성 장애 SOAPI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02
문서 내 토픽
-
1. 간호진단환자는 심한 통증으로 인해 팔을 움직이기 어려워하고 있습니다. 오른쪽 팔이 부종으로 부어있고 피부 탄력이 없으며 접촉에도 통증을 호소합니다. 또한 오른쪽 팔의 말초 부위에 조직괴사가 관찰되고 있습니다. 환자는 혈압 측정을 위해 팔을 들어올리는 것도 어려워하며 고정된 자세로 누워있습니다. 통증 수준은 NRS 4-5점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2. 간호목표장기목표는 퇴원 전까지 통증으로 인한 오른쪽 팔의 수동적 관절 가동 범위를 정상 범위(0~180도)까지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단기목표는 2일 이내에 혈압 측정 시 불편감 없이 팔을 들어올릴 수 있게 하고, 5일 이내에 통증 수준을 NRS 2점까지 낮추는 것입니다.
-
3. 간호계획1. 관절 가동 범위, 신체 기동성 정도를 사정합니다. 2. 운동 방법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교육합니다. 3. 주변인의 도움을 받아 수동적으로 관절 운동을 합니다. 4.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합니다. 5.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배게, 수건 등을 사용합니다.
-
4. 간호수행1. 매일 관절 가동 범위와 신체 기동성을 사정했습니다. 2. 팔과 어깨 관절 운동 방법을 교육했습니다. 3. 주변인의 도움을 받아 수동적으로 관절 운동을 했습니다. 4. 통증 호소 시 무리하지 않고 진통제를 투여했습니다. 5.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배게, 수건 등을 사용했습니다.
-
5. 간호평가2일 이내에 혈압 측정 시 불편감 없이 팔을 들어올릴 수 있었고, 5일 이내에 통증 수준이 NRS 2점까지 감소했습니다. 2주 이내에 오른쪽 팔의 수동적 관절 가동 범위가 0~90도까지 향상되었습니다.
-
1. 간호진단간호진단은 간호사가 환자의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첫 단계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간호 문제를 정확히 진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환자와의 면담, 신체 검진, 검사 결과 분석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야 합니다. 또한 간호진단 시 환자의 가치관과 선호도를 고려하여 환자 중심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정확한 간호진단은 효과적인 간호 중재와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2. 간호목표간호목표는 간호진단을 바탕으로 수립되며, 환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간호목표는 SMART 원칙(Specific, Measurable, Achievable, Relevant, Time-bound)에 따라 수립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간호사와 환자가 공동으로 달성해야 할 명확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간호목표는 환자의 상황과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수립되어야 하며, 환자의 참여와 동의 하에 결정되어야 합니다. 이는 환자 중심의 간호를 실현하고 환자의 자기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3. 간호계획간호계획은 간호진단과 간호목표를 바탕으로 수립되며, 환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중재 방안을 제시합니다. 간호계획 수립 시 간호사는 환자의 특성, 선호도, 가용 자원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다학제 팀과의 협력을 통해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간호계획은 환자 참여를 바탕으로 수립되어야 하며, 환자의 이해와 동의를 얻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중심의 간호를 실현하고 환자의 자기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간호계획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고 필요에 따라 수정되어야 합니다.
-
4. 간호수행간호수행은 간호계획에 따라 실제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단계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간호 중재를 수행해야 합니다. 이때 간호사는 근거 기반 실무와 전문적 지식을 바
-
case study 간호진단 변비, 신체기동성장애 (SOAPIE 형식) 4페이지
간호 과정진단번호발생날짜간호 진단#15/11과학적 근거- 변비란 변이 마르고 단단하여 배변의 어려움으로 배변 횟수가 감소한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 관련 요인으로는 불충분한 수분섭취, 저섬유질 식사, 활동 없음, 부동성, 배변의 고통에 대한 두려움 등이 있다.합리적 근거주관적 자료- “엉덩이 쪽이 너무 아파서 움직일 수가 없어.”- “아파서 배에 힘을 줄 수 없어.”객관적 자료- bed rest 유지 중- 검사를 위해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것 외에는 어떠한 움직임도 노력하지 않음- 배변을 5일 동안 보지 못함장기 목표1) 대상자는 ...2021.09.10· 4페이지 -
간호과정(SOAPIE 형식), 간호진단 비효과적기도청결, 신체기동성장애 2페이지
간호진단#1.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S-O- 20/10/08~ tracheostomy state- mucomyst로 nebulizer 4회 1일 실시 중- 20/12/15 9:30, 13:30 노OO님의 호흡이 거칠어지고 몸의 반동과 함께 기침한 후, 간병인이 tracheostomy suction하는 것 2회 관찰함.- 20/12/16 19:30 노OO님이 거친 호흡과 기침을 함. 간병인이 suction실시함. 마찬가지로 가래가 뿜어져 나왔음.- 20/12/16 19:30 폐 청진 시 호흡 곤란은 없으나 흉부 청진...2021.10.26· 2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간호과정] 신체기동성 장애, 낙상 위험성 8페이지
의미 있는 자료간호진단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수술하고 힘이 없어서 못 움직이겠어.”“넘어질 것 같아서 일어나질 못하겠어.”“움직일 때 수술 부위가 불편해서 피곤하고 어지러워.”- 76세로 고령에 해당함- 9/6 Femoral head fracture 진단받음- 9/8 THR 수술받음- 수술 후 침대에 누워 있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침상에서 일어날 때 얼굴을 찡그림수술 후운동 제한으로 인한 근력 저하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일어나면 넘어질 것 같아.”“자세를 바꿀 때마다...2022.02.10· 8페이지 -
a+ 성인간호학 케이스_복강내출혈 23페이지
목 차Ⅰ. 간호과정1. 사례연구2. 간호진단3. 자료분석4. 간호진단 및 계획5. 간호수행6. 간호평가Ⅱ. 참고문헌25Ⅰ. 간호과정1. 사례연구- NANDA 인간반응양상 중심 -1. 일반적 사항 작 성 일 2022.11.08.작 성 자정보제공자 본인성 명정ㅇㅇUnit No.병 실487입 원 일2022.10.27연 령29년 6개월성 별F입원경위외래응 급 실?기 타입원방법도보Wheel chairStretcher?기 타1) 주진단명: hemoperitoneum2) 발병일시 : 2022 년 10 월 27 일3) 주 증 상 : right h...2024.01.22· 23페이지 -
[급성심근경색 간호과정] 감염의 위험, 성인욕창의 위험 10페이지
사례연구보고서질환명 : 급성심근경색AMI(Acute Myocardial Infarction)Ⅰ. 문헌고찰관상동맥질환(CAD)관상동맥질환이란 심근에 산소 및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관상동맥이 산소를 충분하게 공급하지 못하여 심근에 국소빈혈을 초래하게 되는 질환으로, 허혈성심질환(IHD)라고도 한다. 허혈성심질환에는 협심증, 심근경색증이 포함되며, 협심증은 안정형협심증, 불안정협심증이 있다. 불안정형협심증, 심근경색증은 급성심장동맥증후군(ACS)라고도 한다.1.원인관상동맥질환은 심장동맥내 죽상경화성 병변이 10년에서 30년간 서서히 진행되...2025.03.27·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