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세계 및 한국의 벼 생산과 소비 현황 및 대책
본 내용은
"
식용작물학(기말)_1. 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 나라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과 전체 소비량을 조사 분석하고 앞으로의 대책에 대해 논하시오. 2. 벼의 기상생태형에 따른 국내 육성 벼 장려품종을 분류하고, 재배적 특성을 설명하시오. (1)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26
문서 내 토픽
  • 1. 2021년 세계 벼 생산량
    2021년 기준 세계 벼 생산량은 7억 8,729만 톤이며, 이 중 중국이 27.03%, 인도가 24.82%를 차지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521만 톤으로 전체의 0.661%를 생산하고 있다.
  • 2. 2021년 한국 벼 재배면적
    2021년 한국의 벼 재배면적은 729,814헥타르이며, 이 중 전남이 21%, 충남이 18%를 차지하고 있다. 2023년 벼 재배면적은 역대 최소인 708,041헥타르로 예상된다.
  • 3. 2021년 한국 벼 생산량
    2021년 한국의 벼 생산량은 521만 톤이며, 10a당 생산량은 530kg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미 기준이며, 백미 기준으로는 388만 톤으로 추정된다.
  • 4. 한국의 쌀 소비량 추이
    한국의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2021년 기준 56.9kg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3년 67.2kg에 비해 약 15% 감소한 수준이다.
  • 5. 한국 쌀 자급률 현황 및 대책
    한국의 곡물 자급률은 20.9%, 식량자급률은 44.4%로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정부는 쌀 재배면적 3만 7천 ha 감축을 계획하고 있으나, 식량안보 차원에서 쌀 자급률 제고가 필요한 상황이다. 쌀 수요 증대를 위한 지속적인 홍보와 캠페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6. 벼의 기상생태형 분류
    벼의 기상생태형은 기본영양생장형, 감온형, 감광형, blt형 등 4가지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종 등 다양한 품종이 육성되어 보급되고 있다.
  • 7. 기상생태형별 벼 품종의 재배 특성
    조생종 품종은 내냉성, 불시 이삭패기, 내수발아성 등이 강하며, 중생종은 내도복성, 내수발아성이 강하다. 중만생종은 내도복성, 수발아 강도가 강한 편이다. 각 품종별로 재배 적응지역과 재배 시 유의사항이 다르게 나타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2021년 세계 벼 생산량
    2021년 세계 벼 생산량은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벼 생산국들의 기상 여건이 양호했고, 농업 기술 발전으로 단위 면적당 수확량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기후변화와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 수요 증가 등을 고려할 때, 앞으로도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과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벼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 지원과 인프라 투자가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2021년 한국 벼 재배면적
    2021년 한국의 벼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농촌 인구 감소와 고령화, 쌀 소비 감소 등 구조적인 요인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쌀 생산 조정 정책을 통해 벼 재배면적을 줄이고 있지만, 식량 안보와 농가 소득 안정을 위해서는 적정 수준의 벼 재배면적 유지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해 쌀 수급 안정화, 쌀 가공식품 개발, 논 활용도 제고 등 다각도의 정책적 노력이 요구됩니다.
  • 3. 2021년 한국 벼 생산량
    2021년 한국의 벼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재배면적 감소와 기상 여건 악화 등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쌀 소비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식량 안보와 농가 소득 안정을 위해서는 적정 수준의 벼 생산량 유지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해 기후 변화에 강한 품종 개발, 병해충 관리 기술 향상, 관개 시설 개선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쌀 가공식품 개발, 수출 확대 등 새로운 수요 창출 방안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 같습니다.
  • 4. 한국의 쌀 소비량 추이
    한국의 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는 식생활 변화, 1인 가구 증가, 밀가루 등 대체 식품 소비 증가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보입니다. 쌀 소비 감소는 농가 소득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정부는 쌀 소비 촉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쌀 소비 감소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쌀 가공식품 개발, 새로운 소비 채널 개척, 쌀 수출 확대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쌀 이외의 작물 재배 확대, 논 활용도 제고 등 구조적인 변화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 같습니다.
  • 5. 한국 쌀 자급률 현황 및 대책
    한국의 쌀 자급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쌀 소비 감소, 재배면적 감소, 생산성 정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보입니다. 식량 안보와 농가 소득 안정을 위해서는 적정 수준의 쌀 자급률 유지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정부는 쌀 생산 조정, 논 활용도 제고, 쌀 가공식품 개발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쌀 자급률 제고를 위해서는 기술 혁신을 통한 생산성 향상, 새로운 수요 창출, 논 활용도 제고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쌀 이외의 작물 재배 확대, 농가 소득 안정화 등 구조적인 변화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 같습니다.
  • 6. 벼의 기상생태형 분류
    벼의 기상생태형 분류는 벼 재배 지역의 기후 조건에 따라 구분되는데, 이는 벼 품종 선택과 재배 기술 적용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기상생태형별로 벼 품종의 특성과 재배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맞춤형 재배 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생태형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품종 개발과 재배 기술 혁신이 요구됩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벼 생산과 농가 소득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7. 기상생태형별 벼 품종의 재배 특성
    기상생태형별로 벼 품종의 재배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맞춤형 재배 기술 개발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한랭형 벼 품종은 저온 내성이 강하지만 고온 스트레스에 취약할 수 있고, 온난형 벼 품종은 그 반대의 특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상생태형별 벼 품종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재배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벼 생산과 농가 소득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생태형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품종 개발과 재배 기술 혁신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