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CMO(체외 막형 산화 장치) 관리
본 내용은
"
ECMO(체외 막형 산화 장치) 관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8
문서 내 토픽
-
1. ECMO(체외 막형 산화 장치)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는 회복 가능성이 있는 심각한 호흡부전이나 순환부전이 있는 환자에서 일반적인 치료방법으로 호전이 불가능한 경우, 심폐기능이 회복될 때까지 수일에서 수주 동안 생명유지를 도와주는 체외순환 장치입니다. ECMO의 역사는 1954년 Gibbon이 개심술에서 체외순환 장치를 적용한 것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1969년 Bartlett 등이 심각한 호흡부전의 치료로서 체외순환이 사용될 수 있음을 보고하였습니다. 국내에서는 1992년 Choi 등이 국내 최초 증례를 보고하였습니다.
-
2. ECMO 운용 방식ECMO는 정맥-동맥간 ECMO(V-A ECMO), 정맥-정맥간 ECMO(V-V ECMO), 동맥-정맥간 ECMO(pumpless arterio-venous ECMO)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용될 수 있습니다. V-A ECMO는 심장 및 호흡 기능 지원에 사용되며, V-V ECMO는 호흡 기능 지원에만 사용됩니다. 또한 동맥-정맥간 ECMO는 펌프 없이 운용되는 방식입니다.
-
3. ECMO 적응증ECMO는 심폐소생술 시 자발 순환의 회복이 어려운 경우(E-CPR), 중증 외상 환자의 출혈성 쇼크를 동반한 호흡부전 치료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호흡부전 환자에서도 적응증이 될 수 있습니다.
-
4. ECMO 장착 및 제거ECMO 장착 시 회로의 충진(priming), 카테터 삽입과 회로 연결(cannulation), CRRT(지속적 신대체요법)의 연결, IABP(대동맥내 풍선펌프)의 추가 등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제거 시에는 카테터 제거 및 혈관 재건(decannulation and vascular repair)이 필요합니다. 혈관 합병증 예방을 위해 혈관외과 의사의 조기 개입이 권장됩니다.
-
5. ECMO 관리ECMO 관리에는 폐 보호 환기, 항응고 요법, ECMO 이탈(weaning) 등이 포함됩니다. 폐 보호 환기를 위해 최고흡기압, 분당호흡수, 일회환기량, 호기말양압, 산소농도 등을 조절합니다. 항응고 요법으로는 주로 헤파린을 사용하며, 혈소판 수치와 헤모글로빈 수치도 관리합니다. ECMO 이탈은 V-V형과 V-A형에 따라 기준이 다릅니다.
-
6. ECMO 합병증ECMO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합병증으로는 출혈, 혈전색전증, 카테터 삽입 관련 합병증, 헤파린 유발 혈소판 감소증(HIT) 등이 있습니다. V-A ECMO 특이 합병증으로는 폐출혈, 심장 혈전, 관상동맥/뇌 저산소증 등이 있습니다.
-
7. ECMO의 미래최근에는 혈관 내에 산화기를 직접 삽입하는 동물실험이 진행 중이며, ECMO의 침습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CESAR(Conventional versus ECMO for Severe Adult Respiratory Failure) 연구를 통해 ECMO 치료의 유용성이 보다 분명하게 제시되고 있습니다. 향후 호흡부전 발생 초기에 ECMO를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1. ECMO(체외 막형 산화 장치)ECMO(체외 막형 산화 장치)는 심폐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사용되는 중요한 의료 기술입니다. ECMO는 환자의 혈액을 체외로 끌어내어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폐와 심장의 부담을 줄여주어 회복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ECMO는 급성 호흡부전, 심장 수술 후 합병증, 폐동맥 고혈압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생명을 구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ECMO 사용에는 출혈, 혈전 형성, 감염 등의 위험이 있어 숙련된 의료진의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앞으로 ECMO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안전성과 접근성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ECMO 운용 방식ECMO 운용 방식은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됩니다. 주요 운용 방식으로는 정맥-동맥 ECMO(VA-ECMO), 정맥-정맥 ECMO(VV-ECMO), 그리고 이를 혼합한 방식 등이 있습니다. VA-ECMO는 심장 기능 저하 환자에게 적용되며, 혈액을 정맥에서 끌어내어 산소를 공급한 뒤 동맥으로 보내줍니다. VV-ECMO는 주로 호흡 부전 환자에게 사용되며, 정맥에서 혈액을 끌어내어 산소를 공급한 뒤 다시 정맥으로 보내줍니다. 이 외에도 상황에 따라 VA-ECMO와 VV-ECMO를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ECMO 운용 방식의 선택은 환자의 상태와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결정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회복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ECMO 적응증ECMO는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의료 기술입니다. 주요 ECMO 적응증으로는 급성 호흡부전, 심장 수술 후 합병증, 폐동맥 고혈압, 심근경색, 심근염, 심장 이식 대기 중 상황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ECMO는 폐와 심장의 부담을 줄여주어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회복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히 약물 치료나 기계 환기로 호전되지 않는 급성 호흡부전 환자에게 ECMO는 매우 중요한 치료 수단이 됩니다. 또한 심장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심장 기능 저하 상황에서도 ECMO가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앞으로 ECMO의 적응증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더 많은 환자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ECMO 장착 및 제거ECMO 장착 및 제거는 매우 전문적이고 숙련된 의료진의 관리가 필요한 과정입니다. ECMO 장착 시에는 환자의 혈관에 관을 삽입하여 혈액을 체외로 끌어내고 다시 보내주는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출혈, 혈전 형성, 감염 등의 위험이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ECMO 제거 시에는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며 점진적으로 ECMO 의존도를 낮추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폐와 심장 기능이 정상화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ECMO 장착 및 제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앞으로 ECMO 장착 및 제거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의료진의 전문성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ECMO 관리ECMO 관리는 환자의 생명을 지키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CMO 관리에는 혈액 응고 관리, 감염 예방, 장기 부전 관리, 영양 공급 등 다양한 요소가 포함됩니다. 특히 혈액 응고 관리는 ECMO 운용 중 발생할 수 있는 혈전 형성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ECMO 회로 내 감염 예방을 위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장기 부전 관리와 영양 공급 또한 ECMO 환자의 회복을 위해 중요한 요소입니다. ECMO 관리에는 다학제 팀의 협력이 필요하며,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긴밀히 협조하여 환자 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앞으로 ECMO 관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의료진의 전문성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ECMO 합병증ECMO 사용에는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요 ECMO 합병증으로는 출혈, 혈전 형성, 감염, 신장 손상, 뇌 손상 등이 있습니다. 출혈은 ECMO 회로 내 혈액 흐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혈전 형성은 ECMO 회로 내 혈액 응고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ECMO 회로 내 감염, 신장 손상, 뇌 손상 등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의료진의 세심한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ECMO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합병증 예방 및 관리 기술의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ECMO 사용의 안전성 향상은 환자 생명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7. ECMO의 미래ECMO는 심폐 기능 저하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ECMO 기술의 발전 방향으로는 안전성 향상, 접근성 개선, 적응증 확대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먼저 ECMO 사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합니다. 또한 ECMO 장비의 소형화와 이동성 향상을 통해 더 많은 환자들이 ECMO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ECMO 적응증을 확대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ECMO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ECMO는 더욱 발전하여 심폐 기능 저하 환자들의 생명을 구하고 회복을 돕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ECMO ppt1. 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는 엄밀한 의미에서 ECLS(Extra-corporeal life support, 체외순환생명유지장치)의 일부에 해당하는 개념이나, 통상적으로 VAD를 포함한 ECLS 전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혼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3년도부터 도입되어 사용하기 시작하...2025.01.11 · 의학/약학
-
성인간호실습 ECMO 관련 내용1. 체외순환 막형 산화요법(ECMO) 체외순환 막형 산화요법(ECMO)은 기존 표준 치료에 반응이 없으며 다른 치료 대안이 없는 중증 심부전 또는 중증 호흡부전 환자에서 인공 산화기와 혈액 펌프로 구성된 체외순환장치를 통해 심폐 기능을 보조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가스의 교환 및 순환의 유지가 목적이며, 환자의 순환 및 호흡 기능을 보조하는 장치일 뿐 직접...2025.01.17 · 의학/약학
-
신생아 산소요법 보고서1. 신생아 산소요법 신생아에게 적용되는 산소요법의 종류와 간호중재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산소요법의 목적은 조직에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고, 저산소증에서 생기는 젖산의 축적을 방지하며, 동시에 산소독성의 가능성을 피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산소 공급 방법과 산소요법의 종류, 그리고 간호중재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2. 고유량 산소요법 고유량 산소...2025.04.28 · 의학/약학
-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하여1.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COVID 19)의 병원체 특징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COVID 19)의 병원체는 SARS-Cov-2이며, 단일 가닥 RNA genome을 가진, 나선 대칭의 뉴클레오캡시드를 가진 외피 보유 바이러스이다. 외피 표면에는 돌출된 특징적인 곤봉 모양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이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세포와 강하게 결합해서...2025.01.19 · 보건
-
ECMO ward class/체외막산소요법 워드클래스/ICU ECMO 사전학습 4페이지
3.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체외막 산소화장치)[사진4] ECMO(출처: https://blog.naver.com/carolloinfo/222139690807)1) 정의 / 사용목적산소화막장치를 통해 산소를 공급하고 펌프를 이용하여 심장을 보조하여 호흡기능이나 심장기능을 상실했을 때 적용한다. 이는 호흡부전 또는 순환부전이 있는 환자가 일반적인 치료로 호전이 불가능한 경우 개흉술 없이 막형 산화기와 펌프를 이용하여 가스교환 및 체외순환을 유지하는 것이다. 심장수술에 사용하는 CPB...2024.06.08· 4페이지 -
성인간호학 ECMO(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자료 3페이지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1. 정의- ECMO(체외순환막형산화요법,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는 생명 유지를 도와주는 체외순환 기기이며, 기존의 일반적인 치료 방법으로는 회복 가능성이 희박한 호흡부전 환자나 순환부전 환자에게 시행- 심폐기능이 회복될 때까지 수일에서 수주 동안 생명을 유지시킬 수 있음- 말기 심부전 또는 호흡부전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체외순환을 유지- 정맥혈관에 도관을 삽입하여 배액하고 산소화기를 통해 산소화한 혈액을 돌려보...2020.06.26· 3페이지 -
체외막산소공급ECMO, 지속적신대체요법CRRT 자세하게 정리했습니다! 10페이지
체외막산소공급, 지속적신대체요법● 체외막산소공급(ECMO: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정의: 생명 유지를 도와주는 체외순환 기기심장과 폐의 기능을 대신해서 혈액을 환자 몸에서 빼내어서 체외 산화장치에서 산소를 혈액에 주입한 동시에 혈액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다시 환자 몸 속으로 혈액으로 돌려 보내는 장치원리: 심장 및 폐의 기능1. 이산화탄소를 다량 함유한 정맥혈을 펌프로 뽑아냄2. 이산화탄소화 산소 교환및 노폐물 제거3. 산소를 다량 함유한 동맥혈을 다시 몸 안으로 집어넣음ECMO 시스...2021.01.07· 10페이지 -
아동간호학 신생아 산소요법 보고서 2페이지
신생아에게 적용되는 산소요법의 종류와 간호중재산소요법의 목적은 조직에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고, 저산소증에서 생기는 젖산의 축적을 방지하며, 동시에 산소독성의 가능성을 피하는 것이다. 산소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모든 산소는 주입되기 전에 따뜻하게 가습되어야 한다. 영아에게 기계적 환기보조가 필요하지 않다면 비강 캐뉼라 또는 비강 튜브를 이용하여 지속적 기도 양압법으로 산소를 공급한다. 만약 혈액의 산소포화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없고 이산화탄소 분압이 높아지면 기계 환기 보조가 필요하다.1. 산소 공급 방법1) 고유량...2023.01.26· 2페이지 -
체외막 산소공급과 심실보조장치(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and Ventricular Assist Device) 10페이지
과목명학과명학번이름체외막 산소공급과 심실보조장치(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and Ventricular Assist Device)1. 체외막 산소공급(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호흡부전 또는 순환부전이 있는 환자가 일반적인 치료로 호전이 불가능한 경우 개흉술 없이 막형 산화기와 펌프를 이용하여 가스교환 및 체외순환을 유지하는 것이다. 1950년대 중반 체외 순환 장치가 개발되어 심폐기를 이용한 심장수술이 보편화된 이후 1970년대 성인 급성 호...2017.07.07·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