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기업의 정의
문서 내 토픽
  • 1. 다국적기업의 정의
    다국적기업이란 용어가 비교적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학문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1960년을 전후한 시기이다. 다국적기업이란 용어의 어원은 1959년 말 미국의 매킨지사(Mckensey Co. Ltd)의 클리(G. H. Clee)와 디시피오(A. di Scipio)가 공동으로 작성한 '세계기업의 창조(Creating a World Enterprise)'라는 논문에서 사용한 '세계기업(World Enterprise)'이다. 이들은 동 논문에서 미국의 대기업이 세계적 규모에서 경영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 어떤 경영 이념 하에 행동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논의하는데 있어서 국적을 초월하는 대기업을 세계기업이라고 정의하였다. 한편 다국적기업이란 용어는 1960년에 릴리엔탈(D. E. Lilienthal)이 그의 저서인 '다국적기업의 경영(Management of Multinational Corporation)'에서 처음 사용하였으며, 1964년에는 미국의 미싱회사인 싱거사(Singer Co., Ltd)의 커쳐(D. P. Kircher) 사장이 초국적기업(Transnational Enterprise)이란 용어를 사용했다. 그 후 이와 비슷한 용어들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다국적 기업, 국제기업, 초국적 기업, 범국적 기업 등의 용어는 비슷한 동의어로 볼 수 있으며 때로는 그 규모와 경영활동의 형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용어를 확대하여 부르기도 한다.
  • 2. 다국적기업의 용어 정의
    다국적기업에 대한 용어의 정의는 클리와 디시피오 외에도 아하로니(Yair Aharoni), 펄뮤터(H. V. Perlmutter), 페이웨드(J. Fayerweather), 콜데(X. J. Kolde), 자코비(N. M. Jacoby), 딤자(W. A. Dymsza), U.N. 등에 의한 정의들이 있다. 다국적기업의 용어는 통일되지 못하고 세계기업, 국제기업, 초국적기업, 범국적기업, 무국적기업 등으로 다양하게 혼용되어 불리고 있다. 다국적기업이란 용어 자체도 일본에서 먼저 만들어진 용어라 해서 정확한 역어가 되지 못한다 하여 한때 다국기업 또는 다국간기업으로 부를 것을 주장하는 자도 있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고 또 사용되고 있는 용어는 다국적기업이라고 하겠다.
  • 3. 다국적기업의 영문 표기
    원어의 표기도 매우 다양하여 Multinational Corporation(MNC), Multinational Enterprise(MNE), Multinational Company, Multinational Concerns, Multinational Business, Multinational Firm 등이 있다. 영문 접두어의 표기도 다양하여 Multinational 외에도 World(wide) -, International- Transnational- Supranational, Extranational-, Global-, Cosmopolitan- 등이 있다. 한편 Multinationals, Cosmo Crop. Megafirm 등으로 접미어 없이 표기되기도 한다.
  • 4. UN의 다국적기업 용어 정의
    UN의 공식 명칭은 처음에는 Multinational Corporation을 사용하였으나 1974년 UN 경제사회이사회(ECOSOC)의 개발도상국 그룹이 Transnational Corporation이란 용어를 사용하기를 주장하였고, 이에 선진국과 UN이 동의함으로써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UN의 공식 명칭은 Transnational Corporation(TNC)으로 되어 있어 모든 UN 발간자료와 간행물에서는 Transnational Corporation(TNC)으로 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 통칭으로는 Multinational Corporation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 5. UNCTAD의 다국적기업 정의
    UNCTAD의 정의에 따르면, '다국적기업은 민간, 공공 또는 민간 ? 공공 합작 소유를 포함하여 국적과 소유권에 관계하지 않으며 지분 또는 비지분 연계를 통하여 2개국 이상에서 입지한 모회사와 계열회사들이다. 모회사와 계열회사의 그룹 가운데 한 개 이상의 기업은 여타 기업의 활동에 대해서 특히 지식, 자원, 책임을 공유하면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다국적기업의 정의
    다국적기업은 본사가 있는 국가 외에 다른 국가에 지사나 공장을 설립하고 경영 활동을 하는 기업을 말한다. 이러한 기업은 국경을 넘나들며 다양한 국가에서 사업을 영위하기 때문에 국내기업과는 구별된다. 다국적기업은 자본, 기술, 인력 등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화와 시장에 진출함으로써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하지만 다국적기업의 활동이 특정 국가의 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규제와 관리가 필요하다.
  • 2. 다국적기업의 용어 정의
    다국적기업은 다양한 용어로 표현되는데, 대표적으로 '다국적기업(Multinational Corporation)', '초국적기업(Transnational Corporation)', '다국적기업집단(Multinational Enterprise Group)' 등이 있다. 이들 용어는 기업의 국제화 정도와 활동 범위에 따라 구분되며, 각각의 특성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다국적기업'은 본사가 있는 국가 외에 다른 국가에 지사나 공장을 설립하고 경영 활동을 하는 기업을 의미하며, '초국적기업'은 국가 간 경계를 넘나들며 활동하는 기업을 지칭한다. 이처럼 다국적기업에 대한 용어 정의는 기업의 국제화 수준과 활동 범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 3. 다국적기업의 영문 표기
    다국적기업의 영문 표기는 'Multinational Corporation(MNC)', 'Transnational Corporation(TNC)', 'Multinational Enterprise(MNE)'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이 중 'Multinational Corporation(MNC)'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Multinational'은 '다국적인'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Corporation'은 '기업'을 의미한다. 따라서 'Multinational Corporation'은 '다국적기업'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영문 표기라고 할 수 있다. 한편 'Transnational Corporation(TNC)'은 국가 간 경계를 넘나들며 활동하는 기업을 지칭하며, 'Multinational Enterprise(MNE)'는 다국적기업집단을 의미한다. 이처럼 다국적기업에 대한 영문 표기는 기업의 국제화 수준과 활동 범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 4. UN의 다국적기업 용어 정의
    UN(United Nations)은 다국적기업에 대해 '두 개 이상의 국가에서 경영 활동을 하는 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정의에 따르면 다국적기업은 본사가 있는 국가 외에 다른 국가에 지사나 공장을 설립하고 경영 활동을 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UN은 다국적기업의 활동이 국가 간 경계를 넘나들며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국제적 규제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UN은 다국적기업에 대한 정의를 통해 이들 기업의 활동 범위와 특성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 5. UNCTAD의 다국적기업 정의
    UNCTAD(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는 다국적기업을 '두 개 이상의 국가에서 경영 활동을 하는 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UN의 다국적기업 정의와 유사하다. UNCTAD는 다국적기업이 본사가 있는 국가 외에 다른 국가에 지사나 공장을 설립하고 경영 활동을 하는 기업이라고 보고 있다. 또한 UNCTAD는 다국적기업의 활동이 국가 간 경계를 넘나들며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국제적 규제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UNCTAD의 다국적기업 정의는 UN의 정의와 맥락을 같이하며, 다국적기업의 특성과 중요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국적기업의 정의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19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