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STS에 유용한 신생아 용혈성 질환 정리본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STS에 유용한 신생아 용혈성 질환 정리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17
문서 내 토픽
  • 1. Rh 부적합증
    Rh 음성 여성이 Rh 양성 아기를 임신하게 되면 엄마의 항-D가 태반을 넘어가서 아기의 Rh 양성 적혈구를 파괴하여 심한 황달, 빈혈 등의 증상을 나타나게 하는 질환이다. 태아 사망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 자궁 내 수혈을 실시할 수 있으며, 심한 신생아 용혈성 질환과 과빌리루 빈혈증의 치료에 교환 수혈을 이용한다. 예방으로는 임신 26~32주에 Rh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고, 분만 후 72시간 이전에 투여하여 Rh 신생아 용혈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 2. ABO 부적합증
    혈액형이 O형인 임신부가 A형 또는 B형인 아기를 가졌을 때 엄마가 가지고 있던 면역글로불린 G 유형(IgG type)의 항A, B항체(anti-A, B)가 태반을 건너가 아기의 적혈구 항원과 결합하여 비장에 있는 마크로파지(macrophage)에 의해 적혈구를 파괴되는 질환을 말한다.
  • 3. 임상증상
    가장 위험한 증상으로는 태아 수종(hydrops fetalis)이 있다. 용혈이 심해지면 빈혈 현상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저산소증이 나타나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심박출량이 증가되어 심부전으로 빠질 수 있다. 결국 혈액량 증가, 정맥압 상승, 나트륨(Na) 및 염(Cl)의 체류, 전신 부종 등이 생긴다. 적혈구가 파괴되면 빌리루빈이 생성되는데 이 빌리루빈이 너무 많아 제대로 포합과정을 거치지 않고 혈중에 많이 떠다니게 되고, 비포합 빌리루빈은 혈뇌장벽을 통과하여 핵황달(kernicterus)이 발생하게 된다.
  • 4. 진단
    신생아의 직접 항글로불린 검사가 양성이면 적혈구로부터 항체를 용출하여 특이성을 확인하고, 산모의 혈청 중에 항체가 존재하면 항체동정 검사로 신생아 적혈구 용출액 내의 항체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 5. 치료 및 예방
    태아 사망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 자궁 내 수혈을 실시할 수 있다. 심한 신생아 용혈성 질환과 과빌리루 빈혈증의 치료에 교환 수혈을 이용한다. 예방으로는 임신 26~32주에 Rh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고, 분만 후 72시간 이전에 투여하여 Rh 신생아 용혈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 6. 신생아 간호
    출생 후 신생아 간호로는 흡인, 보온, 예방접종 등이 있다. 호흡유지를 위해 출생 직후 자극을 통해 호흡을 유도하고 기도 내 분비물을 흡인해 주어야 한다. 체온조절을 위해 증발, 복사, 대류, 전도 등의 열손실 방지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7. 약물 투여
    Vitamin K1(피토나디온 주사액)은 신생아 출혈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며, Euvax B Injection은 B형 간염의 예방 백신(소아용)이다. TerramycinOphthalmicOintment는 세균성 안감염증 치료제이며, RhoGAM은 Rh 부적합증의 산전 예방에 사용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Rh 부적합증
    Rh 부적합증은 임신 중 Rh 음성 산모의 태아가 Rh 양성일 경우 발생하는 문제로, 산모의 면역 체계가 태아의 Rh 항원을 이물질로 인식하여 항체를 생성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태아의 적혈구가 파괴되어 태아 빈혈, 황달, 수종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h 부적합증의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산전 검사를 통해 Rh 혈액형을 확인하고, Rh 면역글로불린 투여 등의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시기에 분만을 유도하는 등 신중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 2. ABO 부적합증
    ABO 부적합증은 산모와 태아의 ABO 혈액형이 다를 때 발생하는 문제로, 산모의 항체가 태아의 적혈구를 공격하여 용혈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태아 빈혈, 황달, 수종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ABO 부적합증은 Rh 부적합증에 비해 증상이 경미한 경우가 많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산전 검사를 통해 ABO 혈액형을 확인하고,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필요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분만 후 신생아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임상증상
    Rh 부적합증과 ABO 부적합증의 임상증상은 유사하지만, 그 정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Rh 부적합증의 경우 태아 빈혈, 황달, 수종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반면, ABO 부적합증은 대부분 경미한 증상을 보입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는 용혈성 질환, 황달, 신경학적 합병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전 검사와 태아 모니터링을 통해 부적합증의 진행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신생아 관리 시에도 혈액 검사와 증상 관찰을 통해 합병증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 4. 진단
    Rh 부적합증과 ABO 부적합증의 진단은 산모와 태아의 혈액형 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산전 검사에서 산모의 Rh 혈액형이 음성이고 태아의 Rh 혈액형이 양성인 경우 Rh 부적합증을, 산모와 태아의 ABO 혈액형이 다른 경우 ABO 부적합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산모의 항체 검사와 태아의 용혈 지표 검사를 통해 부적합증의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초음파 검사, 자궁 내 수혈 검사 등을 통해 태아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해야 합니다.
  • 5. 치료 및 예방
    Rh 부적합증과 ABO 부적합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서는 산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산전 검사를 통해 혈액형을 확인하고, Rh 음성 산모의 경우 Rh 면역글로불린 투여 등의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태아의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에는 조기 분만을 고려하거나 자궁 내 수혈 등의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 관리 시에는 황달 관리, 수혈, 광선 치료 등의 방법으로 합병증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산모와 신생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부적합증의 예방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태아와 신생아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6. 신생아 간호
    신생아 간호에 있어서 Rh 부적합증과 ABO 부적합증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신생아의 혈액형과 용혈 지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황달, 빈혈, 수종 등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필요시 광선 치료, 수혈, 교환 수혈 등의 치료를 시행하여 신생아의 건강을 보호해야 합니다. 또한 신생아의 신경학적 상태와 발달을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장기적인 합병증 발생을 예방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산모와 신생아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며, 의료진 간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합니다.
  • 7. 약물 투여
    Rh 부적합증과 ABO 부적합증의 치료에 있어서 약물 투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Rh 음성 산모의 경우 Rh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여 Rh 항체 생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태아의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여 용혈 반응을 억제하고 태아의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습니다. 신생아 관리 시에는 황달 치료를 위한 광선 요법, 수혈, 교환 수혈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신생아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 투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약물 투여 시 부작용 발생 여부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용량 조절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