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간호학 분만실(DR) 케이스스터디
본 내용은
"
여성간호학 분만실(DR) 케이스스터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12
문서 내 토픽
-
1. 분만(Labor)태아 및 그 부속물이 자궁수축으로 인해 산도를 따라 질강 밖으로 만출 되는 전 과정.
-
2. 자연분만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분만법으로, 산모의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고 태아도 건강하면 자연적으로 진통이 올 때까지 기다렸다 가 진통이 시작되면 정상적인 분만으로 진행하여, 질을 통해 아기를 낳는 분만법.
-
3. 정상분만요소산도, 태아, 만출력, 심리상태, 산모의 자세가 정상적인 분만을 위한 요소이다. 산도는 모체의 골반과 연조직으로 구분되며, 태아는 아두, 태세, 태위 등과 관련된다. 만출력은 불수의적인 자궁수축, 수의적으로 내려미는 힘, 항문올림근의 수축 등으로 구성된다.
-
4. 태세(fetal attitude)태아 각부분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태위(fetal lie)와 함께 중요한 개념이다.
-
5. 태위(fetal lie)태아의 장축과 모체의 장축과의 관계를 말하며 종위(longitudinal lie)와 횡위(transverse lie)로 나뉜다. 종위는 선진부에 따라 두정위와 둔위로 나뉜다.
-
6. 선진부(presenting part)태아의 밑부분으로 분만시 제일 먼저나오는 부분이다. 두부, 둔부, 어깨 등으로 태위, 태향을 결정한다.
-
7. 태향(position)각태위의 지표와 모체의 골반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
8. 하강도(station)지표는 양쪽 좌골극으로 태아의 선진부가 양쪽 좌골극을 연결한 선에 도달한 상태는 하강도 "0"으로 표시하며 위로 1cm 정도에 도달한경우는 -1, 아래로 1cm 만큼 내려갔으면 +1이다.
-
1. 분만(Labor)분만은 태아가 자궁 밖으로 나오는 과정으로, 임신 기간 동안 축적된 에너지와 호르몬의 작용으로 자궁 수축이 일어나면서 진행됩니다. 분만 과정은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중요한 단계이며, 안전하고 순조로운 분만을 위해서는 산모의 건강 상태, 태아의 상태, 분만 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분만 과정에서 산모와 의료진의 긴밀한 협력과 소통이 필수적이며, 산모의 편안함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자연분만자연분만은 의학적 개입을 최소화하고 산모의 자연스러운 분만 과정을 존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연분만은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산모의 회복 속도가 빠르고 모유 수유 등 산후 관리에도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건강 상태나 분만 과정의 진행 상황에 따라 의학적 개입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산모와 의료진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중요합니다. 자연분만을 선택할 경우 산모의 안전과 편안함이 최우선되어야 하며, 의료진의 전문적인 조언과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
3. 정상분만요소정상분만을 위해서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 상태, 분만 과정의 진행 상황, 분만 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정상분만 요소에는 자궁 수축의 강도와 빈도, 태아의 하강 정도, 산도의 확장 정도, 태아의 자세와 위치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적절하게 진행되어야 안전하고 순조로운 분만이 가능합니다. 의료진은 이러한 요소들을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와의 긍정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산모의 편안함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합니다.
-
4. 태세(fetal attitude)태세는 태아의 자세를 의미하며, 정상적인 태세는 태아의 몸이 구부러져 있는 상태입니다. 태세는 분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태아의 자세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 분만 과정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은 산전 검진을 통해 태아의 태세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태아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분만 과정에서도 태아의 태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안전한 분만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5. 태위(fetal lie)태위는 태아의 몸의 방향을 의미하며, 정상적인 태위는 태아의 몸이 자궁 내에서 종축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입니다. 태위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 분만 과정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은 산전 검진을 통해 태아의 태위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태아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분만 과정에서도 태아의 태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안전한 분만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6. 선진부(presenting part)선진부는 분만 과정에서 가장 먼저 자궁 입구를 통과하는 태아의 부위를 의미합니다. 정상적인 선진부는 태아의 두부(머리)이며, 이 외의 부위가 먼저 나오는 경우 분만 과정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은 산전 검진과 분만 과정에서 선진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선진부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선진부의 상태는 분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의료진은 이를 면밀히 관찰하고 산모와 긴밀히 소통하며 안전한 분만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7. 태향(position)태향은 태아의 몸이 자궁 내에서 어떤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정상적인 태향은 태아의 두부가 자궁 입구를 향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태향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분만 과정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은 산전 검진과 분만 과정에서 태향을 면밀히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태아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태향은 분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의료진은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산모와 긍정적인 소통을 통해 안전한 분만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8. 하강도(station)하강도는 분만 과정에서 태아의 두부가 골반 내에서 어느 정도 하강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정상적인 하강도는 분만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하강도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 분만 과정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은 산전 검진과 분만 과정에서 하강도를 면밀히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하강도는 분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의료진은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산모와 긍정적인 소통을 통해 안전한 분만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여성간호학 분만실 DR Case study 유착태반, 회음열상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1개 16페이지
실습 A+(칭찬받음!!)간호진단 5개1. 혈액 손실과 관련된 쇼크 위험2.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3. 자궁수축과 관련된 분만통증4. 분만과 관련된 감염위험5.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낙상위험간호과정 1개산후출혈[유착태반/회음열상]postpartum hemorrhage/placenta accreta/perineal lacerationCASE STUDY과목여성건강간호학실습2실습기관00병원DR실습기간20XX년 XX월 XX일~20XX년 XX월 XX일이름000학번-학년0학년반-분반제출일시-■ Case Study : 간호과정 보고서(분만실...2024.12.24· 16페이지 -
여성건강간호학실습 - A+/분만실/DR/제왕절개술/C-sec/케이스스터디/여성건강간호학 31페이지
여성건강간호학 실습DR Case Study실습 기간실습지과목학번담당교수이름- Cesarean Section -학번이름실습지(병동)실습기간이름 : 허OO성별 : F연령 : 33세진료과 : GYDiagnosis: Normal preterm (NP) cesarean section delivery, twinGeneral patient data사회정보직업: 의료인교육정도: 대졸종교: 무교결혼여부: 기혼의료비 지불 능력: 유사회복지 서비스 필요: 무입원정보입원일시: 20XX-XX-XX입원경로: 외래입원방법: 도보병에 대한 인식: 유주증상: f...2023.03.16· 31페이지 -
A+ 여성간호학실습, 모성간호, 분만실(DR), 급성 신우신염, 조기진통, 발열, 오한,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14페이지
여성(모성)건강간호학 DR(분만실)CASE STUDY여성건강간호학실습 Case studyⅠ. 환자 소개 및 임상 문제가. 자료수집A. 일반 정보이름환자A성별F나이31세직업주부결혼유무기혼종교무교Ⅱ. 간호력 (및 병력)A. 건강력입원일2022. 00. 00입원경로응급센터입원방법눕는차발병일2022. 00. 00병에 대한 인식유주증상Fever, ut. contraction진단명① Intrauterine pregnancy(IUP) 33wks(자궁 내 임신, 33주)② Spontaneous preterm labour without delive...2022.01.17· 14페이지 -
여성간호학실습 분만실 A+케이스스터디 조기산후출혈/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1개(문헌고찰+) 20페이지
여성건강간호학 DR 실습DR 분만실 A+ 케이스 스터디조기산후출혈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문헌고찰+)과 목여성건강간호학 실습실 습 지분만실이 름-학번-실습기간-질환명조기산후출혈정의출산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출혈로 출혈량이 많고 이환율이 높다. 임신 말기에 이르면 혈액량과 심박출량이 증가해서 심박출량의 20% 혹은 분당 600ml의 혈액이 태반을 관류하면서 태아의 성장을 돕는다. 분만과정에서 자궁벽에서 태반이 분리될 때 자궁 혈관들이 태반으로부터 분리된다. 태반 만출 이후 정상 지혈기전은 자궁근육들이 수축하여 태반으로 혈...2024.12.24· 20페이지 -
여성건강간호학실습 분만실 DR실습 NSVD 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 A++++++++ 33페이지
여성건강간호학 실습case study실습병원 :실습기간 :담당교수 :학번 :이름 :< 목 차 >Ⅰ. 서론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2. 문헌고찰Ⅱ. 본론1. 자료수집2. 간호문제3. 간호진단4. 간호과정 적용Ⅲ. 결론1. 연구결과 총 정리2. 참고문헌Ⅰ. 서론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출산은 대부분의 여성들이 일생동안 한번 이상은 경험하는 일이다. 출산은 여성개인의 일이라기보다 가족에게도 새로운 가족구성원이 생기고, 부모로써의 가족역할을 가지며 건강한 출산에 대란 연구의 필요성은 계속되어왔다.따라서 사례를 통해 NSVD(normal...2018.05.14· 3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