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리학] 05 감염
문서 내 토픽
-
1. 감염의 개념감염은 병원미생물이 생체의 방어기전을 뚫고 체내로 침입하여 정착 또는 증식하는 것을 말한다.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미생물에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 있으며, 감염으로 인해 생체에 염증반응을 동반한 각종 병태가 발생하는 것을 감염병이라고 한다. 감염은 증상감염(현성 감염)과 무증상감염(불현성 감염)으로 구분되며, 내인성감염과 외인성감염, 직접감염과 간접감염, 급성 감염과 만성 감염, 수평감염과 수직감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2. 병원미생물의 종류병원미생물에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 있다. 세균은 그람염색에 따라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구분되며, 세균 감염병은 임상에서 가장 빈번하게 접하게 되는 질환이다. 진균은 곰팡이, 효모, 버섯 등을 포함하며, 대부분 기회감염을 일으킨다. 바이러스는 핵산과 단백질 외피인 캡시드로 구성된 병원미생물로, 숙주세포에 의존해서 증식하기 때문에 항바이러스제 개발이 어렵다. 기생충에는 원충과 연충이 있으며, 이에 대한 항원충제가 사용된다.
-
3. 감염경로병원미생물이 숙주의 체내로 들어가는 감염경로에는 피부, 호흡기, 소화기, 혈액, 생식기 등이 있다. 피부를 통해서는 황색포도알균이나 진균이, 호흡기를 통해서는 폐렴알균이나 인플루엔자균이, 소화기를 통해서는 살모넬라, 비브리오, 대장균 등이 침입한다. 혈액을 통해서는 B형 간염바이러스, C형 간염바이러스, HIV 등이, 생식기를 통해서는 임균, 매독, 클라미디아, HIV 등이 침입한다.
-
4. 장기 특이적 감염병세균 감염병 중에서 특정 장기에 주로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폐렴알균은 폐렴을, 임균은 요도염을, 매독균은 심혈관계 및 중추신경계 감염을 일으킨다. 이러한 장기 특이적 감염병은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
5. 감염병의 치료세균 감염병에는 세포벽 합성 억제, 단백질 합성 억제, DNA 복제 억제, RNA 중합 억제, 엽산 대사 억제 등의 기전으로 작용하는 항균제가 사용된다. 진균 감염병에는 세포벽 구성성분 합성 억제, 세포막 구성성분 합성 억제, 세포막에 작용, 핵산 합성 억제 등의 기전으로 작용하는 항진균제가 사용된다. 바이러스 감염병에는 핵산복제억제제, 역전사효소억제제, 프로테아제억제제, 방출억제제 등의 항바이러스제가 사용된다.
-
6. 균교대현상과 기회감염균교대현상은 항균제 사용으로 인해 원래의 정상균총이 변화하여 다른 균이 증식하는 현상을 말한다. 기회감염은 감염력이 약한 병원미생물이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한다. 고령자, 암 환자, 당뇨병 환자, AIDS 환자 등은 면역력이 저하되어 기회감염에 쉽게 노출된다.
-
1. 감염의 개념감염은 병원체가 숙주 생물체 내부로 침입하여 증식하고 그 과정에서 숙주에게 해를 끼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감염은 병원체의 종류, 숙주의 면역력, 감염경로 등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염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감염병 예방과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감염의 원인, 증상, 전파 과정 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2. 병원미생물의 종류병원미생물은 인체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미생물을 말합니다. 세균, 바이러스, 진균, 원생동물 등이 대표적인 병원미생물의 종류입니다. 각 병원미생물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감염 양상과 치료 방법이 다릅니다. 따라서 감염병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병원미생물의 종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새로운 병원미생물의 출현에 대비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3. 감염경로감염병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공기를 통한 전파, 접촉을 통한 전파,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한 전파 등이 대표적입니다. 감염경로에 따라 예방 및 관리 방법이 달라지므로, 감염병의 특성과 전파 양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개인위생 관리, 환경 관리, 백신 접종 등 다양한 예방 조치를 통해 감염병 확산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감염경로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대응 방안 마련이 감염병 관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장기 특이적 감염병장기 특이적 감염병은 특정 장기나 조직에 주로 감염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폐렴은 폐에 주로 감염되고, 간염은 간에 주로 감염됩니다. 이러한 장기 특이적 감염병은 해당 장기의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적 특성, 면역 반응 등에 따라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장기 특이적 감염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감염 장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의료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장기 특이적 감염병의 예방을 위해서는 해당 장기의 건강 관리가 중요합니다.
-
5. 감염병의 치료감염병의 치료는 감염 원인, 증상의 심각도, 환자의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등의 약물 치료와 함께 수액 공급, 증상 완화 등의 보존적 치료가 병행됩니다. 또한 면역력 강화,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등의 보조적 치료도 중요합니다. 최근에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감염병 치료에 있어서는 개인의 특성과 감염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균교대현상과 기회감염균교대현상은 특정 병원균이 우세하게 증식하다가 다른 병원균이 우세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항생제 사용, 면역력 저하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회감염은 정상적인 면역 기능을 가진 사람에게는 감염을 일으키지 않지만,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를 말합니다. 균교대현상과 기회감염은 감염병 관리에 있어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항생제 사용의 적절성 검토, 면역력 증진, 감염 관리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새로운 병원균 출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대응 방안 마련도 중요합니다.
[병리학] 05 감염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08
-
병리학 중간고사 요점정리 30페이지
01.병리학 서론1.병리학의 영역병리학이란√질병의 본질적 성질을 다루는 의학의 한 분야√병을 일으킨 원인, 병에 의한 신체의 조직이나 기관의 형태적.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병의 원인, 발병, 경과 등을 연구하는 학문√‘pathology’의 어원- 그리스어로 질병(disease)을 나타내는 ‘pathos’와 이유(reason)를나타내는 ‘logos’의 합성어2.병리학의 분류√인체병리학질병으로 사망한 사람이나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서 얻은 인체 시료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실험병리학동물이나 배양세포 등을 재료로 하여 질병을...2022.06.25· 30페이지 -
[병리학] 15 조혈계통 4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FILE:BinData/image1.jpg..FILE:BinData/image2.jpg..FILE:BinData/image3.jpg..FILE:BinData/image4.jpg..FILE:BinData/image5.png..FILE:BinData/image6.jpg..FILE:BinData/image7.jpg..FILE:BinData/image8.j...2024.10.07· 4페이지 -
간호학과 병리학 정리(레포트) - 염증과 수복, 순환장애, 면역질환, 신생물(종양), 감염성 질환, 순환계통질환, 혈구생성계통 질환, 호흡계통질환, 소화계통질환, 비뇨계통질환, 생식/내분비계통질환, 신경/감각/근육뼈대계통/피부 질환 42페이지
병리학 요약정리이00출처: 병리학 (현문사)제출일전공간호학과과목병리학학번/반담당 교수CHAPTER 01 병리학이란?· 병리학: 우리 인간의 질병에 대한 본질을 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로 형태학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1. 병리학의 어원· 병리학(Pathology)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질병(disease)을 나타내는 Pathos와 학문 또는 과학을 나타내는 logs의 합성어로 질병의 발생 원리를 밝히기 위한 의학의 가장 기초분야이다.2. 병리학의 분류1) 인체병리학(human pathology)(1) 병리학병의 원인이나 ...2023.01.23· 42페이지 -
[병리학] 병리학적 용어와 개념정리 4페이지
병리학적 용어와 개념정리[01. 병리학의 영역]1. 질병의 발병이나 예후에 관여하는 요인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①내적요인 ②병원체나 유해물질 등의 외적요인 ③ 식습관, 운동, 흡연, 음주 등 생활습관요인의 3가지가 중요하다. 생활습관을 개선함으로써 질병의 발병이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질환’으로 알려져있다.[02. 세포ㆍ조직과 손상]2. 괴사와 세포자멸사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괴사(necrosis)는 손상이 심해져 회복 불능 상태가 되면 살아 있는 개체 내의 세포나 조직이 죽는 것으로 세포내 국소적인 조직의 죽음을 말한다...2021.10.28· 4페이지 -
근골격계, 순환기계, 조혈장기, 신경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내분비계, 비뇨생식기계, 감각기계, 피부 등 질환을 문제로 내고 답/ 풀이 같이 적음 A+자료 6페이지
병리학 문제 만들기01. 근골격계의 질환1. 뼈의 내분비 이상과 대사장애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①뼈의 신생과 흡수의 균형이 붕괴된 결과 이상이 생긴 것이다.②구루병은 비타민 D가 결핍되어 발생하는 골질환이다.③비타민 D가 결핍되면 뼈의 석회화가 저해되면서 어린이는 골연화증이 된다.④골다공증은 뼈의 구조는 정상이지만 단위 면적당 골량이 감소한다.⑤파세트병은 뼈의 흡수와 그 후에 석회화를 동반하는 섬유성 조직이 증가하는 질병이다.답/풀이: ③, 비타민 D는 칼슘대사에 큰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결핍되면 뼈의 석회화가 저해되...2021.06.03·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