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실습) 급성담관염(cholangitis) 사례보고서 case study A+ 자료입니다.
문서 내 토픽
  • 1. 급성 담관염
    급성 담관염은 담관의 염증질환으로 혈압저하, 의식저하를 동반한 패혈증과 같은 전신의 염증으로 빠르게 진행되어 사망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응급질환입니다. 담관 폐쇄로 담즙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담도에 종양이 생기는 경우, 기생충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우상복부 통증, 오한 및 발열, 황달 등이 나타나며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C-반응성 단백질(CRP), 간기능 효소 수치,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인산분해효소의 상승을 보입니다. 치료는 금식 및 수액 공급, 항생제 주사치료, 담관 배액술 시행 등이 필요합니다.
  • 2. 총담관 결석증
    총담관 결석증은 총담관에 담석이 있는 질환으로, 담즙 성분의 변화, 담낭의 담석이 담낭관을 빠져나와 총담관에 담석을 형성하는 경우, 담관의 감염 혹은 담즙 정체로 인하여 처음부터 총담관 안에서 담석이 만들어지는 경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담즙성 산통, 담도폐색, 췌장염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혈액 검사에서 빌리루빈 수치나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P)가 증가되어 있으면 총담관 결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치료로는 경피적 담석절개술, 복강경 담낭절제술, 체외 충격파쇄석술,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등이 시행됩니다.
  • 3. ERCP(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ERCP는 진단 검사와 치료 시술이 동시에 가능한 방법으로, 구강을 통해 십이지장 내로 내시경을 삽입한 후 조영제를 넣어 담도를 관찰하고 담석이 있으면 제거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적 유두 괄약근 절개술(EST)을 통해 담관하부 끝을 절개하여 그물망을 통과시켜 담석을 꺼내거나, 내시경적 유두 풍선확장술(EPBD)을 통해 십이지장 유두부를 풍선카테터로 확장시켜 담석을 십이지장으로 배출시킬 수 있습니다. 제거 후에는 담즙의 원활한 배액을 위해 관을 설치해 두기도 합니다.
  • 4. 간호중재
    ERCP 시술 전 간호로는 수술 동의서 확인, 조영제 부작용 확인, IV route 확보, 항응고제/항혈소판제 복용 확인, 진정제/진통제/진경제 준비, 금식 등이 필요합니다. 시술 후에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금식 유지, 오심/구토 관찰, 급성췌장염 발생 가능성 확인, 간기능 검사 등을 시행합니다. 또한 통증 관리, 감염 예방, 낙상 예방, 질병 관련 교육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급성 담관염
    급성 담관염은 담관 내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우상복부 통증, 발열, 황달 등이 있으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원인으로는 담석, 종양, 협착 등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ERCP, 수술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항생제 치료와 수액 공급, 통증 관리 등의 보존적 치료도 중요합니다. 급성 담관염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2. 총담관 결석증
    총담관 결석증은 담관 내에 결석이 형성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우상복부 통증, 황달, 발열 등이 있으며, 심각한 경우 담관염이나 췌장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초음파, CT, ERCP 등의 검사가 필요하며, 치료로는 내시경적 또는 수술적 방법을 통한 결석 제거가 필요합니다. 결석 제거 후에도 재발 방지를 위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총담관 결석증은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문의의 진료와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3. ERCP(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ERCP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담도와 췌관을 직접 관찰하고 진단 및 치료를 하는 중요한 검사 및 시술 방법입니다. 주요 적응증으로는 담석, 담도암, 췌장암, 담도 협착 등이 있으며,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적 목적으로도 널리 사용됩니다. 시술 과정에서 췌장염, 출혈, 천공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시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시술 전후 적절한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ERCP는 담도 및 췌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시술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 4. 간호중재
    간호중재는 환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증진시키기 위해 간호사가 수행하는 다양한 활동을 의미합니다. 간호중재에는 투약, 상처 관리, 활력징후 모니터링, 교육 및 상담 등이 포함됩니다. 간호중재는 환자의 상태와 요구에 맞추어 개별화되어야 하며, 근거 기반 실무에 따라 수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간호사의 전문성과 숙련도가 중요하며, 다학제 팀 접근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간호중재는 환자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지속적인 교육과 연구를 통해 발전되어야 할 것입니다.
성인간호실습) 급성담관염(cholangitis) 사례보고서 case study A+ 자료입니다.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