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자간전증 전자간증 preeclampsia 케이스
본 내용은
"
여성 자간전증 전자간증 preeclampsia 케이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22
문서 내 토픽
  • 1. 임신성 고혈압 PIH,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20주 이후에 나타나는 고혈압으로 6시간 간격으로 혈압을 두 번 이상 측정하였을 때, 수축기 혈압이 140㎜Hg 이상 / 이완기 혈압이 90㎜Hg 이상으로 혈압이 상승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평소에 비해 수축기 혈압이 30㎜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15㎜Hg 이상 상승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대개는 분만 후 12주 이내에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오게 된다. 하지만 혈압을 잘 관리하지 않으면 자간전증과 자간증으로 발전될 수 있으며, 초기에는 단백뇨 없이 혈압의 상승만을 보이지만 경과가 지날수록 단백뇨를 동반한 고혈압이 나타나고 이와 함께 경련과 발작이 시작되면 이를 자간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 2. 자간전증 (preeclampsia)
    자간전증은 임신 20주 이후에 혈압 상승, 단백뇨, 그리고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자간전증의 증상은 치료나 분만에 의해 없어질 수 있으나, 자간증의 증상은 지속된다. 고혈압은 자간전증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이며 갑자기 혹은 점진적으로 발생한다. 혈압은 임신 전의 평소 혈압과 비교하였을 때, 수축기압이 30㎜Hg 이상, 이완기압이 15㎜Hg 이상 상승하였거나 혹은 혈압 자체가 140/90㎜Hg 이상일 때를 말한다. 그 외에도 갑작스러운 체중 증가로 인해 조직 내의 수분 축적에 의한 얼굴 및 손가락의 부종이 나타난다. 단백뇨 역시 자간전증에서 많이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며, 이는 고혈압이나 체중 증가보다 뒤늦게 나타나는 증상이므로 임신성 고혈압의 진행 정도를 확인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 3. 자간증 (eclampsia)
    자간증은 자간전증의 비교적 심각한 상태로 발작과 경련을 동반한다. 이는 항상 두통을 선행하며 흥분이나 과민반응, 시야흐림이나 일시적 실명과 같은 시각장애, 심와부 통증, 혈액농축 등의 증상을 보인다. 자간증의 경련은 갑작스럽게 시작되어 60-75초간 지속되며, 자간증 시 발생하는 경련의 단계는 침습기, 수축기, 경련기, 혼수기로 나눌 수 있다.
  • 4. HELLP 증후군
    HELLP 증후군은 중증 자간전증 환자에게서 발견되는 특징적인 양상으로 용혈(Hemolysis), 간효소 증가(elevated liver enzyme), 저혈소판증((low platelet)의 주요 병리적 소견을 나타낸다. 이는 대부분 임신 36주 이전에 나타나며 오심과 구토, 권태감, 우상복부의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는 주산기 사망률과 이환률을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기에, 임부의 상태에 대한 자세한 사정과 혈소판 수치의 감시, 태아 상태의 지속적인 사정 등 적절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 5. 임신성 고혈압 치료
    정기적인 산전 관리를 통해 조기 예방 및 발견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만일을 대비하여 모든 임부는 임신 3기 첫 2주간은 2주마다, 마지막 4주는 매주 사정하며 정기적인 혈압을 측정하여 기록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경한 자간전증 시에는 태아의 성장 지연이 없을 때에만 가정관리가 가능하며, 약물을 투여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필요시 즉각적으로 약물을 투여해야 한다. 자간증 환자의 가장 즉각적인 치료는 임신의 종결, 즉 출산이다.
  • 6. 임신성 고혈압 간호
    경증 자간전증 임부 간호에서는 좌측위로 대정맥이 눌리지 않도록 하며 침상안정, 균형잡힌 식이, 단백질 섭취의 증가, 과도한 수분 섭취 제한, 필요시 염분 제한, 매일 혈압과 체중 측정, 단백뇨 검사 및 24시간 소변검사, 태아 상태 확인 등이 중요하다. 중증 자간전증 임부 간호에서는 경련에 대비하여 간호사실과 가까운 병실에 배정하고, 경련 대비 물품을 준비하며, 활력징후와 수분 섭취량/배설량을 모니터링한다. 자간증 임부 간호에서는 경련 시 기도 확보, 손상 방지, 구토물 흡인, 경련 재발 방지를 위한 약물 투여 등이 필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임신성 고혈압 PIH,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임신성 고혈압 PIH(Pregnancy-induced hypertension)는 임신 중 발생하는 고혈압 질환으로, 임신 20주 이후에 새로 발생하는 고혈압을 말합니다. 이는 임신 중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이므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PIH는 자간전증과 자간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면밀한 관찰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산모의 혈압, 단백뇨, 간 기능, 신장 기능 등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증상이 악화되면 즉시 의료진과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임신성 고혈압 예방을 위해 산모의 생활 습관 관리, 스트레스 관리, 규칙적인 산전 관리 등이 중요합니다.
  • 2. 자간전증 (preeclampsia)
    자간전증(preeclampsia)은 임신성 고혈압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로, 임신 20주 이후에 발생하는 고혈압과 단백뇨를 특징으로 합니다. 자간전증은 산모와 태아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자간전증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태반 기능 이상, 면역 체계 이상, 유전적 요인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간전증 산모는 고혈압, 단백뇨, 부종, 두통, 시력 변화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간 기능 이상, 신장 기능 저하, 혈소판 감소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간전증 산모는 입원 치료와 함께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증상이 악화되면 조기 분만을 고려해야 합니다.
  • 3. 자간증 (eclampsia)
    자간증(eclampsia)은 자간전증이 악화되어 발생하는 가장 심각한 합병증으로, 고혈압, 단백뇨,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상태입니다. 자간증은 산모와 태아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자간증 산모는 갑작스러운 경련, 의식 소실, 두통, 시력 변화, 상복부 통증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자간증 치료에는 혈압 조절, 경련 예방, 산모와 태아의 상태 모니터링 등이 포함됩니다. 자간증은 산모와 태아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임신성 고혈압 산모의 관리와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 4. HELLP 증후군
    HELLP 증후군은 자간전증의 일종으로, 고혈압, 용혈(Hemolysis), 간 효소 수치 상승(Elevated Liver enzymes), 혈소판 감소(Low Platelet count)를 특징으로 하는 심각한 합병증입니다. HELLP 증후군은 산모와 태아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조기 발견과 신속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HELLP 증후군 산모는 상복부 통증, 구토, 두통, 시력 변화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혈액 검사에서 용혈, 간 효소 수치 상승, 혈소판 감소 등이 확인됩니다. 이러한 경우 즉시 입원 치료가 필요하며, 증상이 악화되면 조기 분만을 고려해야 합니다. HELLP 증후군은 자간전증의 위험 요인이 되므로, 임신성 고혈압 산모의 면밀한 관찰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 5. 임신성 고혈압 치료
    임신성 고혈압의 치료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경증의 임신성 고혈압 경우 혈압 조절, 산전 관리 강화, 휴식 등의 보존적 치료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간전증이나 HELLP 증후군과 같은 중증 합병증이 동반되거나 증상이 악화되면 즉시 입원 치료가 필요합니다. 입원 치료에는 혈압 조절, 경련 예방, 태아 모니터링, 조기 분만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자간증이나 HELLP 증후군이 발생한 경우 분만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임신성 고혈압 치료에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증상에 따라 약물 치료, 입원 치료, 조기 분만 등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임신성 고혈압 간호
    임신성 고혈압 산모의 간호에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 모니터링, 증상 관리, 합병증 예방 등이 포함됩니다. 간호사는 정기적으로 산모의 혈압, 단백뇨, 부종 등을 확인하고 변화를 관찰해야 합니다. 또한 두통, 시력 변화, 상복부 통증 등의 증상 발현 시 즉시 의료진에게 보고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자간전증이나 HELLP 증후군 등 중증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집중 치료와 함께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임신성 고혈압 산모의 간호에는 약물 투여, 수액 관리, 산소 공급, 경련 예방 등의 중재가 포함되며, 산모와 가족에게 질환과 치료에 대한 교육도 제공해야 합니다. 임신성 고혈압 간호는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