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리화학실험 계면활성제(surfactants)의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CMC) 측정 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물리화학실험 계면활성제(surfactants)의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CMC) 측정 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15
문서 내 토픽
-
1. BZA의 keto와 enol tautomersBZA의 흡수 스펙트럼에서 두 개의 흡수띠(absorption bands)가 나타나는데, 이는 BZA의 keto와 enol tautomers에서 어떠한 전자전이에 기인한다. enol 형은 keto형에 비해 콘쥬게이션이 많아 HOMO와 LUMO의 차이가 줄어들어 전자전이에 필요한 에너지도 적어진다. 따라서 enol이 keto보다 더 긴 파장, 즉 낮은 에너지 차이로 전자전이가 일어난다.
-
2. 흡수 스펙트럼의 isosbestic point등흡수점은 분광학에서 화학반응 또는 물리적 변화시 시료의 총 흡광도에서 변하지 않는 특정 파장을 말한다. 이번 실험에서는 keto형과 enol형의 흡광도가 같아지는 지점이 isosbestic point이다. 이러한 점이 나타나는 이유는 계면활성제 농도가 증가하면서 미셀이 형성됨에 따라 enol형으로 존재하려는 경향이 커져, keto형은 줄어들고, enol형이 늘어나면서 두 성분의 농도가 반전되기 때문이다.
-
1. BZA의 keto와 enol tautomersBZA(Benzaldehyde)는 keto-enol 타우토머리즘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화합물입니다. 이 화합물은 카르보닐 탄소와 α-탄소 사이의 수소 이동을 통해 keto 형태와 enol 형태 간에 평형을 이루게 됩니다. 이러한 타우토머리즘은 BZA의 화학적 및 물리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는 BZA의 반응성, 용해도, 분광학적 특성 등에서 관찰됩니다. 특히 용액 상태에서 keto와 enol 형태의 상대적인 비율은 용매, pH, 온도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이러한 타우토머 평형은 BZA의 화학적 반응성과 생물학적 활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흡수 스펙트럼의 isosbestic point흡수 스펙트럼의 isosbestic point는 화학 반응이나 평형 상태 변화 과정에서 관찰되는 특징적인 현상입니다. Isosbestic point는 반응 전후 또는 평형 상태 변화 전후에도 흡광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파장 영역을 의미합니다. 이는 반응 전후 또는 평형 상태 변화 전후에도 특정 파장에서의 흡광도가 변화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isosbestic point는 화학 반응이나 평형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H 변화에 따른 화합물의 해리 평형, 용매 변화에 따른 용해도 변화, 효소 반응 등을 분광학적으로 관찰할 때 isosbestic point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반응 진행 과정이나 평형 상태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
약제학 실습 - 계면활성제에 의한 난용성약물의 가용화(난용성 약물의 용해도 차이를 통해 임계미셀농도(CMC)를 확인)1.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는 극성(친수성) 부분과 비극성 부분으로 이루어진 양친매성 분자이다. 계면활성제는 용액의 표면이나 계면으로 흡수되어 표면과 계면의 자유에너지를 변화시킨다.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부분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계면활성제가 존재하는데,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성이온성, 비이온성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 여러 가지 계면활성제 중에서 HL...2025.05.10 · 의학/약학
-
Emulsion 제조 실험1.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는 액체와 액체, 액체와 기체 등 계면의 경계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계면이 가지고 있던 표면장력을 약화시킨다. 또한 분자 내에 친수기와 친유기를 가진 화학적 구조를 지닌다. 2. 콜로이드 콜로이드는 용매에 1 nm~1 µm 크기를 갖는 입자가 분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순히 섞여있는 것이라 균일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2025.05.10 · 공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