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분석의 목적과 직무설계 시 활용방법 - 인적자원관리, 학점은행제
본 내용은
"
직무분석의 목적과 직무설계 시 활용방법 - 인적자원관리, 학점은행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01
문서 내 토픽
  • 1. 직무분석의 목적
    직무분석의 목적은 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와 직무명세서(Job Specification)를 만들고, 둘째로 이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인적자원을 관리, 교육, 확보, 개발, 평가, 보상 및 유지관리를 하기 위한 합리적이고 공정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셋째로 직무분석은 직무, 성과, 인사 등 성과주의 인사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마지막으로 현재 급격한 경영환경의 변화와 기업 사이에서 조직을 성공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기업 및 임직원들의 직무만족을 이끌어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 2. 개인의 직무설계 - 직무확장
    개인의 직무설계는 크게 두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직무확장이 있다. 직무확장이란 직무의 범위를 수평적으로 확장하는 것으로 하나의 직무를 구성하는 과업의 수를 늘리는 방법이다. 이는 직무의 기술적 다양성과 과업적 정체성이 높은 직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의사결정의 권한이나 책임의 증가는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 3. 개인의 직무설계 - 직무충실화
    두 번째로는 직무충실화가 있다. 직무충실화는 종업원의 직무를 수직적으로 확대함으로써 직무내용을 보다 풍부히 하는 것으로 의사결정에 대해 재량권을 주고, 책임의 부과를 핵심내용으로 하는 직무설계의 활용방법이다. 이는 개인에게 재량권과 책임감을 부여하여 창의력을 개발할 수 있고, 직무의 완전성을 증대함으로써 직무의 싫증과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 4. 기업의 직무설계 - 직무순환
    기업의 입장에서의 직무설계는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압축된다. 먼저 직무 순환이다. 직무순환이란 작업자에게 다양한 직무를 순환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작업자의 기술적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직무설계 방법이다. 이는 작업자에게 다양한 직무를 수행시킴으로써 직무의 단조로움과 싫증, 지루함을 극복하게 할 수 있다.
  • 5. 기업의 직무설계 - 직무교차
    두 번째는 직무 교차이다. 직무 교차란 작업자의 직무 일부분을 타 작업자와 중복되게 하여 중복된 과업부분을 타 작업자와 공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직무설계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작업자 간 협동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하여 능률이 향상될 가능성이 있고 이를 통한 작업자 간 끈끈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 6. 기업의 직무설계 - 자율적 작업팀
    마지막으로는 자율적 작업팀이다. 팀이 수행하는 작업을 수직적으로 통합하는 방법이다. 즉, 팀에게 목표가 부여되고 계획, 진행, 조정 등을 자유롭게 결정하여 업무를 수행한다. 이는 구성원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협동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식을 공유할 수 있고, 이는 개인의 성장욕구를 충족하게 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직무분석의 목적
    직무분석은 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직무분석을 통해 직무의 내용, 요구사항, 수행 방법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인력 배치, 교육 및 훈련 계획 수립, 공정한 보상 체계 마련 등이 가능합니다. 또한 직무분석 결과는 직무 설계, 인력 계획, 채용, 성과 관리 등 인적자원 관리 전반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직무분석을 통해 조직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구성원의 만족도와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2. 개인의 직무설계 - 직무확장
    직무확장은 개인의 직무 범위를 늘려 직무의 수직적 확대를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며, 성취감과 자아실현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직무 수행 과정에서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어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됩니다. 기업 입장에서도 직무확장은 인력 활용도를 높이고, 유연한 인력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만 직무확장이 과도하게 이루어질 경우 개인의 스트레스와 피로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준의 직무확장이 필요할 것입니다.
  • 3. 개인의 직무설계 - 직무충실화
    직무충실화는 개인의 직무 내용을 보다 복잡하고 도전적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율성과 책임감을 가지고 직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성취감과 자아실현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직무 수행 과정에서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어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됩니다. 기업 입장에서도 직무충실화는 인력의 동기부여와 몰입도를 높이고,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직무충실화가 과도하게 이루어질 경우 개인의 스트레스와 피로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준의 직무충실화가 필요할 것입니다.
  • 4. 기업의 직무설계 - 직무순환
    직무순환은 개인이 일정 기간 동안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며, 조직 전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직무 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순 반복 업무로 인한 피로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도 직무순환은 인력의 유연성을 높이고, 다양한 경험을 가진 인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직무순환이 과도하게 이루어질 경우 개인의 전문성 축적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준의 직무순환이 필요할 것입니다.
  • 5. 기업의 직무설계 - 직무교차
    직무교차는 개인이 자신의 주된 직무 외에 다른 직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며, 조직 전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직무 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순 반복 업무로 인한 피로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도 직무교차는 인력의 유연성을 높이고, 다양한 경험을 가진 인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직무교차가 과도하게 이루어질 경우 개인의 전문성 축적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준의 직무교차가 필요할 것입니다.
  • 6. 기업의 직무설계 - 자율적 작업팀
    자율적 작업팀은 팀 구성원들이 자율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율성과 책임감을 가지고 직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팀워크와 협력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팀 구성원들이 서로 다른 경험과 전문성을 가지고 있어 창의적인 문제 해결이 가능합니다. 기업 입장에서도 자율적 작업팀은 의사결정 속도 향상, 생산성 향상, 구성원의 만족도 및 몰입도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자율적 작업팀이 과도하게 운영될 경우 팀 간 갈등이나 조직 전체의 통제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준의 자율성 부여가 필요할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