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산업의 분류
문서 내 토픽
  • 1. UN의 서비스산업 분류
    UN의 잠정적 중심상품분류체계(Provisional CPC)에 기초하여 WTO/GATS의 서비스 양허표에서 서비스산업을 12개 분야(사업서비스, 통신서비스, 건설, 유통, 교육, 환경, 금융, 보건 ? 사회서비스, 관광, 문화 ? 오락 ? 스포츠, 운송, 기타)로 크게 분류하고 있으며, 이들 각 분야는 다시 155개의 소분야로 세분화되어 있다. 현재 WTO 서비스양허위원회에서는 CPC 분류표 개정을 논의 중이다.
  • 2. 한국의 서비스산업 분류
    한국은 UN의 분류방식을 수정 및 보완하여 한국표준산업분류기준에 따라 서비스산업을 대분류 G에서 T까지로 분류하고 있다. 8차 개정에서는 운수업과 통신업의 구분, 금융보험업의 세분화, 부동산 및 임대업의 구분, 보건업의 세분화, 영화 ? 방송 및 공연예술산업의 세분화 등이 이루어졌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UN의 서비스산업 분류
    UN의 서비스산업 분류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 분류 체계로, 서비스 산업의 다양한 영역을 체계적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국의 서비스 산업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분류 체계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다만 각국의 산업 구조와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이를 토대로 국가별 맞춤형 분류 체계를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 2. 한국의 서비스산업 분류
    한국의 서비스산업 분류는 UN의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하되, 국내 산업 현황과 특성을 반영하여 세부 분류를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 서비스 산업의 구조와 동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IT, 금융, 의료 등의 분야를 세부적으로 구분하고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다만 새로운 서비스 산업의 등장과 기술 발전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지속적인 분류 체계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서비스산업의 분류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31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