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간호학실습 대상자 척도
본 내용은
"
노인간호학실습 대상자 척도(보바스 기념병원 낙상 위험도 평가도구, 욕창 위험도 사정도구,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한국형 조기 치매검사, 한국어판 노인우울척도, 노인 통증 사정 도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25
문서 내 토픽
-
1. 보바스 기념병원 낙상 위험도 평가도구보바스 기념병원 낙상위험도 평가도구는 노인 환자의 낙상 위험도를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나이, 낙상 과거력, 활동 수준, 의식 상태, 의사소통 능력, 위험 요인, 관련 질환, 약물 등 8개 항목을 평가하여 총점을 산출합니다. 총점이 15점 이상이면 낙상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며, 20점 이상이면 개인 간병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
2. 욕창 위험도 사정도구 (Braden Scale)욕창 위험도 사정도구(Braden Scale)는 노인 환자의 욕창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감각 인지, 습기, 활동, 움직임, 영양 상태, 마찰력과 전단력 등 6개 항목을 평가하여 총점을 산출합니다. 총점이 15-18점이면 저위험, 13-14점이면 중위험, 10-12점이면 고위험, 9점 이하이면 초고위험으로 분류됩니다.
-
3.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K-ADL)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는 노인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옷 입기, 세수하기, 목욕하기, 식사하기, 이동하기, 화장실 사용, 대소변 조절 등 7개 항목을 평가하며, 각 항목별로 혼자서 할 수 있음(1점), 약간의 도움 필요(2점), 전적으로 도움 필요(3점)로 점수를 부여합니다. 총점이 낮을수록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
4. 한국형 조기치매검사 (K-MMSE)한국형 조기치매검사(K-MMSE)는 노인 환자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지남력, 기억등록, 주의집중 및 계산, 기억회상, 언어, 시각적 구성 등 6개 영역을 평가하며, 총점 30점 만점으로 측정됩니다. 24점 이상이면 확정적 정상, 20-23점이면 치매 의심, 15-19점이면 경증 치매 의심, 14점 이하이면 중증 치매 의심으로 판단됩니다.
-
5. 한국어판 노인우울척도 (GDS)한국어판 노인우울척도(GDS)는 노인 환자의 우울 수준을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총 1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에 대해 '예'(1점) 또는 '아니오'(0점)로 응답합니다. 총점이 8점 이상이면 우울한 상태로 판단됩니다.
-
6. 노인 통증 사정 도구노인 통증 사정 도구는 노인 환자의 통증을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통증의 양상, 강도, 악화 및 완화 요인, 기분, 우울 수준, 활동 장애, 수면의 질, 배변 습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통증 강도는 0-10점 척도로 측정되며, 우울 수준은 별도의 우울 척도로 평가됩니다.
-
1. 보바스 기념병원 낙상 위험도 평가도구보바스 기념병원 낙상 위험도 평가도구는 노인 환자의 낙상 위험을 사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환자의 과거 낙상 경험, 보행 능력, 약물 복용 상태, 인지 기능 등 다양한 요인을 평가하여 낙상 위험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낙상 예방을 위한 적절한 중재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이 필요하며,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2. 욕창 위험도 사정도구 (Braden Scale)욕창 위험도 사정도구인 Braden Scale은 환자의 감각 인지, 습기, 활동, 운동성, 영양 상태, 마찰과 전단력 등 6개 영역을 평가하여 욕창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하며,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별 환자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일부 영역에서 주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도구를 활용할 때는 환자 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와 함께 전문가의 임상적 판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3.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K-ADL)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는 노인 환자의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식사하기, 옷 입기, 목욕하기, 화장실 사용하기, 대소변 조절하기, 이동하기 등 6개 영역을 평가하여 노인의 기능 수준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K-ADL은 한국 노인 인구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국내 임상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도구는 간단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어 왔습니다. 다만 일상생활 수행 능력 외에 다양한 기능적 측면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다른 평가 도구와의 병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한국형 조기치매검사 (K-MMSE)한국형 조기치매검사(K-MMSE)는 치매 선별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간단한 인지기능 평가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시간 및 장소 지남력, 기억력, 주의력, 언어 기능 등을 평가하여 인지 기능의 전반적인 수준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K-MMSE는 한국 노인 인구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국내 임상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도구는 간단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경도 인지장애나 초기 치매 환자를 선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다른 평가 도구와의 병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한국어판 노인우울척도 (GDS)한국어판 노인우울척도(GDS)는 노인의 우울 증상을 선별하고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이 도구는 노인 우울증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되었으며,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합니다. GDS는 우울 증상의 유무와 정도를 파악할 수 있어 노인 우울증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도구는 국내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어 왔습니다. 다만 우울 증상 외에 다양한 정신건강 측면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다른 평가 도구와의 병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노인 통증 사정 도구노인 통증 사정 도구는 노인 환자의 통증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도구들은 통증의 강도, 양상, 위치 등을 파악하여 적절한 중재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대표적인 노인 통증 사정 도구로는 Visual Analog Scale, Numeric Rating Scale, Faces Pain Scale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들은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하며, 노인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습니다. 하지만 노인 환자의 인지 기능, 의사소통 능력 등에 따라 통증 평가의 정확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노인간호학실습과제(CASE과제, 프로그램 적용 및 일지, 노인사정도구 적용)1. 노인간호학실습 노인간호학실습 CASE과제와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실습 기관, 기간, 제출자 정보와 함께 대상자의 사례연구, 건강사정, 진단검사, 약물, 낙상기록, 노인 대상자 활용 척도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노인의 건강관리와 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1. 노인간호학실습 노인간호학실습은 노인 환자들의 특별한 요구...2025.01.03 · 의학/약학
-
노인간호학실습 - 대상자 척도 검사1. 낙상 위험도 평가 보바스 기념병원 낙상위험도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박OO 대상자와 유OO 대상자의 낙상 위험도를 평가했습니다. 박OO 대상자는 13점으로 낙상 고위험군에 속하지 않았고, 유OO 대상자도 13점으로 낙상 고위험군에 속하지 않았습니다. 2. 욕창 위험도 사정 Braden Scale을 사용하여 박OO 대상자와 유OO 대상자의 욕창 위험도를 사...2025.01.07 · 의학/약학
-
[노인간호실습 A++] 인지행동적 치매 예방 프로그램, 노인간호 건강교육 프로그램 계획서 + 수행일지1. 치매 예방 프로그램 치매는 전 세계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에서 5-10% 정도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고, 우리나라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2015년 9.8%에서 2050년에는 13.2%가 될 것으로 추정되며 10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것으로 통계된다.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치료약이나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약물은 현재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치매를 예방하...2025.05.03 · 의학/약학
-
A++) 노인간호학실습 - 대상자 척도 검사 (보바스 기념병원 낙상위험도 평가도구, 욕창 위험도 사정도구,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한국형 조기치매검사, 한국어판 노인우울척도, 노인 통증 사정 도구) 6페이지
노인간호학실습 - 대상자 척도 검사 1. 보바스 기념병원 낙상위험도 평가도구 구분 척도 점수 박OO (대상자) 유OO 나이 60세 미만 0 3 2 60-69세 1 70-79세 2 80세 이상 3 낙상 과거력 없음 0 0 0 지난 1년 이내 낙상 1 지난 1~5개월 이내 낙상 2 지난 4주 이내 낙상 3 활동수준 와상상태 0 3 3 1명 이상의 많은 도움으로 휠체어 이동 가능(지속적인 sitting 유지 어려움) 1 1명의 약간의 도움으로 휠체어 이동 가능(static standing이 가능) 2 보조기나 한 사람의 도움으로 보행 가...2024.01.28· 6페이지 -
노인간호학 실습 건강교육 프로그램 보고서 37페이지
2022학년도노인간호학 실습건강교육 프로그램 보고서실습 기관실습 기간2022.05.09.(월)~ 2022.05.20.(금)제 출 자학 번담당 교수Work Sheet① worksheet Day 1 5/11(수) - EVENING 근무일 시실습내용 및임상질문자율학습을 통해 확인한 내용 (참고문헌 포함)1430BST 측정노인환자의 경우 대부분 당뇨를 가진 사람들이 많았고 하루 4번 측정함을 알 수 있었다.(기본간호학 Ⅰ 2019/ 양선희 외 / 현문사)1500D-E 인수인계팀간호로 A팀, B팀 나눠서 인수인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1...2023.04.27· 37페이지 -
[노인간호실습 A++] 노인성 치매 Senile Dementia, 노인대상자 활용 척도 6가지, 노인건강사정 도구 15페이지
노인간호학실습-Senile Dementia 노인대상자 활용 척도-실습 기관화홍병원실습 부서6병동 IM/GI/NS/PED/GS실습 기간이 름학 번제출일자22.03.14담당교수- 목차 -Ⅰ. Dementia 문헌고찰Ⅱ. 대상자 소개1. 일반적 사항 (개인력)2. 건강사정3. 신체사정4. 진단검사; 영상의학검사 및 임상검사Ⅲ. 노인대상자 활용 척도 6가지1. 보바스 기념병원 낙상위험도 평가도구2. 욕창 위험도 사정도구 Braden scale3. 한국형 일상생활 측정도구 K-ADL4.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 MMSE-K5. 한국어판 노인...2023.03.13· 15페이지 -
노인간호학실습 알츠하이머성 치매 21페이지
노인 간호학 실습case study알츠하이머성 치매(Alzheimer disease)Ⅰ. 문헌고찰알츠하이머(Alzheimer disease)● 정의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1907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 (Alois Alzheimer) 박사에 의해 최초로 보고되었다. 알츠하이머병은 매우 서서히 발병하여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과가 특징적이다. 초기에는 주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에서 문제를 보이다가 진행하면서 언어기능이나 판단력 등 다른 여러 인지기능의 이상을 동반하게 되다가 결...2022.12.09· 21페이지 -
A+ 노인간호학 실습 낙상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8페이지
낙상문헌고찰, 단어, 간호과정노인간호학 실습A+Ⅰ. 낙상1. 정의낙상은 갑자기 의도하지 않은 자세의 변화로 인해 당시의 몸의 위치보다 낮은 곳으로 넘어지거나 바닥에 눕는 것이다. 불균형을 교정하려는 반사기전이 부적절하거나 평형기전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낙상은 노년기 안전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75세 이상 노인의 1/3은 낙상경험이 있으며, 과거 낙상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과반수에서 다시 낙상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다.낙상으로 인한 문제점에는 신체손상 시 회복이 쉽지 않고 활동이 감소한다. 재낙상에 대한 두...2021.09.22·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