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상운송계약
본 내용은
"
해상운송계약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25
문서 내 토픽
-
1. 개품운송계약개품운송계약은 주로 정기선의 경우에 이용되는 계약형태로 선박회사가 다수의 화주와 화물에 대한 운송계약을 개별적으로 체결하는 것을 말한다. 세계 주요 항로에는 다양한 국적의 정기선사들이 취항을 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우리 주위의 대부분의 무역화물은 개품운송계약의 형태로 운송되고 있다. 개품운송계약은 송화인(shipper) 또는 그 대리인이 운송인인 선박회사나 그 대리점에 선복의 사용을 신청하면, 운송인이 이를 수락함으로써 운송계약이 성립된다.
-
2. 용선운송계약용선운송계약은 송화인이 선박회사로부터 선복의 전부 또는 일부를 빌려 화물을 운송하고자 할 경우에 체결하는 계약을 말한다. 이때 계약체결의 증거로 용선계약서(Charter Party : C/P)가 발행된다. 용선계약은 선복의 범위에 따라 전부용선계약(whole charter)과 일부용선계약(partial charter)으로 구분되며, 용선료의 계산방법에 따라 다시 정기용선(time charter), 항해용선(voyage charter), 그리고 나용선(bare boat charter)으로 구분된다.
-
3. 정기용선계약정기용선계약은 내항성(耐航性)을 갖춘 선박에 필요한 모든 용구와 선원까지 승선시킨 선박을 일정 기간 동안 용선하여 그 기간을 기준하여 보수를 지불하는 계약이다. 선주는 선박의 감가상각비, 보험료, 금리 등의 간접비와 선원비, 수리비, 선용품비 등의 직접비를 부담해야 하며, 용선자는 용선료 외에 연료비, 항구세 등 운항비를 부담한다.
-
4. 항해용선계약항해용선계약은 선적항에서 양륙항까지 1항해를 기준으로 체결되는 용선계약이다. 항해용선계약은 다시 화물의 수량과 관계없이 한 항해에 얼마라고 포괄운임을 내는 선복용선계약(lump-sum charter)과 1일 단위로 용선료가 책정되는 일대용선계약(daily charter) 등으로 구분된다.
-
5. 나용선계약나용선계약은 용선자가 선주로부터 선박 자체만을 빌리는 대신 선원, 장비, 소모품과 선박보험료, 항만비, 항해비, 수리비 등의 일체를 부담하는 형태의 계약으로 선박임대차계약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외국선박을 나용선하여 우리나라의 선원과 장비를 갖추어 다른 나라에 재용선(sub-charter)을 많이 하고 있다.
-
1. 개품운송계약개품운송계약은 화주와 운송인 간의 계약으로, 화물을 특정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합니다. 이 계약에서 운송인은 화물의 안전한 운송을 책임지며, 화주는 운송료를 지불할 의무가 있습니다. 개품운송계약은 화물의 종류, 운송 방식, 운송 기간 등 다양한 조건을 포함하고 있어 화주와 운송인 간의 권리와 의무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화물 운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품운송계약은 화물 운송 시장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2. 용선운송계약용선운송계약은 선박 소유자와 용선자 간의 계약으로, 선박의 전체 또는 일부를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합니다. 이 계약에서 선박 소유자는 선박의 운항과 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며, 용선자는 선박 사용에 따른 대가를 지불할 의무가 있습니다. 용선운송계약은 화물 운송 시장에서 선박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선박 소유자와 용선자 간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선박 운영과 관련된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용선운송계약은 화물 운송 시장의 유연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3. 정기용선계약정기용선계약은 선박 소유자와 용선자 간의 계약으로, 선박을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합니다. 이 계약에서 선박 소유자는 선박의 운항과 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며, 용선자는 선박 사용에 따른 대가를 지불할 의무가 있습니다. 정기용선계약은 화물 운송 시장에서 선박의 장기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선박 소유자와 용선자 간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선박 운영과 관련된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기용선계약은 화물 운송 시장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4. 항해용선계약항해용선계약은 선박 소유자와 용선자 간의 계약으로, 선박을 특정 항해 또는 항해 경로에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합니다. 이 계약에서 선박 소유자는 선박의 운항과 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며, 용선자는 선박 사용에 따른 대가를 지불할 의무가 있습니다. 항해용선계약은 화물 운송 시장에서 선박의 단기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선박 소유자와 용선자 간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선박 운영과 관련된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해용선계약은 화물 운송 시장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5. 나용선계약나용선계약은 선박 소유자와 용선자 간의 계약으로, 선박의 운항과 관리에 대한 책임을 용선자에게 이전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합니다. 이 계약에서 선박 소유자는 선박의 소유권과 선박 자체에 대한 책임을 지며, 용선자는 선박의 운항과 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됩니다. 나용선계약은 화물 운송 시장에서 선박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선박 소유자와 용선자 간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선박 운영과 관련된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나용선계약은 화물 운송 시장의 유연성과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해상운송 및 해상운송계약의 형태1. 해상운송 해상운송(ocean transportation)은 해상에서 선박을 이용하여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하고 그 대가로 운임을 얻는 상행위를 말한다. 이는 육상이나 항공운송에 비하여 많은 위험이 있고 운송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만, 한꺼번에 대량의 화물을 저렴한 비용으로 운반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해상운송은 국제무역...2025.01.29 · 농수산/해양
-
해상운송의 의의와 유형, 해상운송계약의 형태1. 해상운송의 의의 해상운송(carriage by sea)은 해상에서 선박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의 화물이나 사람을 운송하고, 그 대가로 운임을 받는 상업활동을 말한다. 해상운송의 특징은 대량수송이 가능하고 경제성이 있으며 원거리의 국제운송에 적합하다. 2. 해상운송의 형태 해상운송은 선박의 운항형태에 따라 정기선운송, 부정기선운송, 특수전용선운송으로 구분...2025.01.28 · 농수산/해양
-
해상운송의 의의와 형태(유형), 해상화물운송계약, 해상운송 관련 서류, 컨테이너운송1. 해상운송의 의의 해상운송(carriage by sea)이란 항해용으로 제공된 선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해상예서의 화물 또는 여객의 운송을 말한다. 해상운송은 무역거래에 이용되는 운송방식 중 가장 보편적인 것으로서 대량수송이 가능하고 운송원가가 저렴하며 주로 장거리운송에 이용된다. 2. 해상운송의 형태 해상운송은 선박의 운항형태에 따라 정기선 운송과 부...2025.01.18 · 농수산/해양
-
[해상운송] 운송계약과 정기선의 운임1. 해상화물 운송계약 해상화물 운송계약에는 개품운송계약과 용선운송계약이 있다. 개품운송계약은 운송인이 다수의 송하인으로부터 화물을 운송하는 계약이며, 용선운송계약은 선주가 제공한 선박의 전부나 일부 선복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계약이다. 용선계약에는 일부용선계약과 전부용선계약이 있으며, 전부용선계약은 다시 항해용선계약과 기간용선계약으로 구분된다. 2....2025.04.28 · 경영/경제
-
무역학개론 오픈북시험정리(무역계약의 성립, 품질, 수량, 가격의 조건, 신용장관련, 해상운송, 수입통관절차)1. 무역계약의 성립절차 무역계약의 성립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해외시장조사를 통해 목표시장을 선정하고 잠재고객을 파악한다. 둘째, 목적시장의 잠재고객을 고려하여 유능한 거래처를 선정한다. 셋째, 선정된 업체에 거래를 희망하는 거래권유장을 보낸다. 넷째, 거래제의를 받은 업체에서 거래의사가 있는 경우 거래조건에 대해 상세하게 문의하여 회신한다. 다섯...2025.01.24 · 경영/경제
-
[해상운송서류] 선하증권과 해상화물운송장1. 선하증권 선하증권은 해양운송계약 하 운송화물을 표창하여 발행되는 것으로서 운송계약의 증거와 운송인의 당해 화물을 인수하였다는 수령증의 역할을 담당한다. 선하증권은 유가증권 또는 권리증권적 성질을 지니며, 화물이 도착하기 전에도 이를 처분 및 전매할 수 있는 유통성을 가지고 있다. 2. 해상화물운송장 해상화물운송장은 선하증권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2025.01.24 · 경영/경제
-
해상운송 및 해상운송계약의 형태 4페이지
해상운송 및 해상운송계약의 형태해상운송(ocean transportation)은 해상에서 선박을 이용하여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하고 그 대가로 운임을 얻는 상행위를 말한다.이는 육상이나 항공운송에 비하여 많은 위험이 있고 운송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지만, 한꺼번에 대량의 화물을 저렴한 비용으로 운반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해상운송은 국제무역의 운송 수단으로 가장 널러 이용되고 있다.우리나라의 경우 지리적인 특징 등으로 인하여 해상운송은 더욱 발전되어 있다. 즉, 외국과 육로가 거의 연결되어 있지 않아 ...2024.12.20· 4페이지 -
해상운송의 의의와 유형, 해상운송계약의 형태 5페이지
해상운송의 의의와 유형, 해상운송계약의 형태목차해상운송(1) 해상운송의 의의(2) 해상운송의 형태1) 정기선운송2) 부정기선운송3) 특수전용선운송(3) 해상운송계약의 형태1) 개품운송계약2) 용선운송계약1/ 정기용선계약2/ 항해용선계약3/ 나용선계약* 참고문헌해상운송(1) 해상운송의 의의무역에서 의미하는 해상운송(carriage by sea)이란 해상에서 선박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의 화물이나 사람을 운송하고, 그 대가로 운임을 받는 상업활동을 말한다.해상운송의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다.첫째, 해상운송은 대량수송이 가능하다. 해상운송은...2024.12.07· 5페이지 -
[해상운송] 운송계약과 정기선의 운임 8페이지
[해상운송] 운송계약과 정기선의 운임목차[해상운송] 운송계약과 정기선의 운임(1) 해상화물 운송계약1) 개품운송계약2) 용선운송계약1/ 일부용선계약2/ 전부용선계약(2) 정기선의 운임1) 정기선 운임의 계산방법1/ 화물의 중량기준2/ 화물의 부피기준3/ 종가단위4/ 개수단위5/ 적하량단위6/ 박스 레이트2) 해상운임의 종류1/ 선불운임과 후불운임2/ 부과방법3/ 운송완성도의 분류3) 할증운임1/ 중량할증운임2/ 용적 및 장척할증료3/ 체선할증료4/ 통화할증료5/ 유류할증료6/ 양륙항 선택화물할증7/ 벽지항 할증료* 참고문헌[해상운송...2023.02.01· 8페이지 -
해상운송의 의의와 형태(유형), 해상화물운송계약, 해상운송 관련 서류, 컨테이너운송 8페이지
해상운송의 의의와 형태(유형), 해상화물운송계약, 해상운송 관련 서류, 컨테이너운송목차해상운송1. 해상운송의 의의2. 해상운송의 형태1) 정기선운송2) 부정기선운송3) 정기선운송 방식의 변화3. 해상화물운송계약1) 개품운송계약2) 용선계약4. 해상운송 관련 서류1) 선하증권2) 해상화물운송장5. 컨테이너운송* 참고문헌해상운송1. 해상운송의 의의해상운송(carriage by sea)이란 항해용으로 제공된 선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해상예서의 화물 또는 여객의 운송을 말한다. 여기에서 선박은 상행위에 제공되는 상선을 의미하며, 무역거래의...2024.07.19· 8페이지 -
해상운송계약 3페이지
해상운송계약목차해상운송계약(1) 개품운송계약(2) 용선운송계약1/ 정기용선계약2/ 항해용선계약3/ 나용선계약* 참고문헌해상운송계약(1) 개품운송계악주로 정기선의 경우에 이용되는 계약 형태로 선박회사가 다수의 하주와 화물에 대한 운송계약을 개별적으로 체결하는 것을 말한다. 세계 주요 항로에는 다양한 국적의 정기선사들이 취항을 하고 있어 우리 주위의 대부분의 무역화물은 개품운송계약의 형태로 운송되고 있다.(2) 용선운송계약송하인이 선박회사로부터 선복(Ship's Space)의 전부 또는 일부를 빌려 화물을 운송하고자 할 경우에 체결하는...2025.01.04·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