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다니엘블레이크(2016) 영화 보고 느낀점+ 문제의식, 계기, 문제, 해결법
본 내용은
"
나다니엘블레이크(2016) 영화 보고 느낀점+ 문제의식, 계기, 문제, 해결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16
문서 내 토픽
-
1. '나 다니엘블레이크'에 대한 감상이 영화는 2016년에 각종 영화제와 시상식을 휩쓴 작품이었다. 2016년에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탔으니 더 말할 것도 없이 이 영화는 그 해에 개봉한 영화 가운데 손에 꼽께 뛰어난 영화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영화의 줄거리는 단조롭다. 누구에게나(물론 여기서 말하는 '누구'는 영국인을 의미할 것이다. 이 영화가 영국을 배경으로 하며, 주인공은 평생을 영국에서 목수로 일해온 영국 근로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단 이 영화가 대중에게 던지는 메시지는 영국으로 국한되지는 않는다.) 일어날 수 있는 일, 언젠가 일어날 일을 다루고 있다.
-
2. '나 다니엘블레이크'에 나타난 영국 사회의 문제점영화 속의 다니엘 블레이크가 그러하듯이 말이다. 물론 실업급여를 무한정으로 줄 수는 없으며, 구직 활동을 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고, 일을 하지 않으면서 놀고 먹는 사람들에게 국가가 실업급여를 주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정말 게으르고 나태하며 무능하여 스스로 일 하기를 거부하는 사람들이라면, 즉 자발적으로 실업 상태에 놓인 사람이라면 그 사람에게는 실업급여를 줄 필요가 없을 것이며, 오히려 이들에게 실업급여를 주는 것이 형평성에 어긋날 것이다.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얼마나 불공평한 처사이겠는가.
-
3. 또 다른 다니엘 블레이크가 생기지 않기 위한 방법영화는 주인공 다니엘 블레이크가 그가 평생을 앓아 온, 그리고 더 이상 일을 하지 못하게 만든, 그래서 그가 말년에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 그의 시간과 에너지를 투입하게 만들었던, 그리고 그를 비참하게 만들었던 바로 그 '심장병' 때문에 사망한다. 영화는 주인공의 비극적 결말을 통해 일종의 충격 요법을 주는 셈이다. 다니엘 블레이크처럼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는, 그래서 구직 활동을 하는 것이 무의미한 사람들은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
-
1. 주제2: '나 다니엘블레이크'에 나타난 영국 사회의 문제점영화 '나 다니엘 블레이크'는 영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점을 보여줍니다. 첫째, 복지 제도의 문제입니다. 다니엘 블레이크는 심장 수술 후에도 장애 수당을 받지 못하는 등 복잡한 관료 체계와 까다로운 기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는 복지 제도가 실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보호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둘째, 빈곤과 불평등의 문제입니다. 다니엘 블레이크와 그의 이웃들은 생활고에 시달리며, 이는 영국 사회의 심각한 불평등 문제를 반영합니다. 셋째, 사회적 고립과 소외의 문제입니다. 다니엘 블레이크는 혼자 살며 주변 사람들과 소통하지 못하는 등 사회적 고립을 경험합니다. 이는 영국 사회에서 취약계층이 겪는 소외와 고립의 문제를 보여줍니다. 이 영화는 이러한 문제들을 통해 영국 사회가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