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동전영역지휘통제체계(JADC2)체계 개념을 국방AI 구현 측면에서 설명하고, AI 기반지휘결심지원체계를
본 내용은
"
합동전영역지휘통제체계(JADC2)체계 개념을 국방AI 구현 측면에서 설명하고, AI 기반지휘결심지원체계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15
문서 내 토픽
-
1. 합동전영역지휘통제(JADC2)의 개념합동전영역지휘통제체계는 육군, 해군, 공군 등 각군의 정보수집감지장치와 지휘통제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려는 계획이다. 미국 국방부가 추진하는 사업 계획이며, 한국군도 이 체계에 편입되었다. 이 시스템은 미군의 미래작전수행의 일환인 '다영역작전(MDO)'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합동전영역지휘통제체계의 필요성은 중국과 러시아,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현실화되고 있는 시대적 상황 하에서 대두했으며, 한국이 이 체계에 포함되면 한반도 유사시 미군뿐 아니라 주일 미군, 다목적군 사이에서도 정보 공유가 가능해져 한반도의 안보와 국방에 도움이 된다.
-
2. 국방 인공지능(국방AI)과 AI 기반지휘결심지원체계인공지능은 인식과 학습 같은 인간의 고유한 지적 능력과 활동의 일부, 전부를 컴퓨터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합동전영역지휘통제체계가 가동하면 육, 해, 공군이 수집하는 방대한 양의 자료가 한곳으로 모이게 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이 필요하다. 특히 LLM(초대형 딥 러닝 모델)을 활용하면 인간을 대신해 군사적, 전략적 결정을 인공지능이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인간이 범할 수 있는 오류와 실수를 줄일 수 있다.
-
1. 합동전영역지휘통제(JADC2)의 개념합동전영역지휘통제(JADC2)는 다양한 군사 플랫폼과 센서, 데이터 소스를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개념입니다. 이를 통해 전장 상황에 대한 통합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인 작전 수행이 가능해집니다. JADC2는 각 군의 독립적인 체계를 통합하여 합동 작전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 우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또한 AI 기술을 활용하여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함으로써 전투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JADC2 구현을 위해서는 기술적, 제도적, 문화적 장벽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가 있습니다.
-
2. 국방 인공지능(국방AI)과 AI 기반지휘결심지원체계국방 인공지능(국방AI)은 군사 분야에 AI 기술을 적용하여 작전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정보 수집, 분석, 의사결정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AI 기반 지휘결심지원체계는 방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최적의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지휘관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여 전투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AI 기술의 편향성, 신뢰성, 안전성 등에 대한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또한 AI 기술의 군사적 활용에 대한 윤리적 논의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합동전영역지휘통제체계(JADC2) 개념과 국방 AI 구현 측면에서의 AI 기반 지휘결심지원체계1. 합동전영역지휘통제(JADC2) 개념의 필요성 합동전영역지휘통제체계(JADC2)는 육군, 해군, 공군 등 각 군의 정보수집 및 감지 시스템을 통합하여, 모든 군사적 영역에서의 지휘와 통제를 하나의 통합된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개념입니다. 이 시스템은 각 군의 지휘 및 통제 장비와 센서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해 실시간으로 전황을 공유하고, 합동 작전을 효...2025.01.24 · 공학/기술
-
국방혁신 4.0과 한국군의 국방정책의 변화를 위한 주요접근1. 국방혁신 4.0의 필요성 미래의 우리나라 국방은 대내외적으로 많은 도전에 직면할 것이다. 국제적 정세는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 약화와 중국과 러시아의 패권국으로의 상승 시도 등으로 인해 국제적인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민주주의와 공산주의의 전통적 대립구조에서 경제 이권에 부합하고 정치 체계의 갈등 양상인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간의 새로운 진영 간 대립적인 ...2025.01.14 · 공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