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2개
-
건강사정 폐와 호흡기계2024.09.211. 호흡기계 개요 1.1. 해부학적 구조 호흡기계의 해부학적 구조는 다음과 같다. 호흡기계는 크게 상기도와 하기도로 나뉜다. 상기도는 코와 부비동, 인두와 후두를 포함하며, 하기도는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폐포로 구성된다. 코는 호흡의 통로이자 공기를 정화, 가온, 가습하는 역할을 한다. 비강 내부에는 중격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 있으며, 3개의 비갑개가 돌출되어 있어 표면적을 늘린다. 부비동은 두개골과 안면골 내부의 공기로 채워진 공간으로, 머리의 무게를 가볍게 하고 발성 시 공명작용을 한다. 인두는 두개저에서 제4경...2024.09.21
-
평영 입영2025.05.211. 수상인명구조 1.1. 구조법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구조법이 있다.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고 부력이 있는 물건을 물에 빠진 사람에게 던지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구조자와 요구조자의 안전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다. 만약 주변에 부력이 있는 물건이 있고 이를 통해 요구조자의 신변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수상인명구조를 위한 영법 등을 익히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직접 물에 뛰어드는 행동은 돌발 변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방법이 없는...2025.05.21
-
CPR 교육2025.05.181. 서론 1.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필요성 심폐소생술은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춘 상태에서 가슴압박, 인공호흡, 제세동 등의 행위를 통해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켜 심장과 뇌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과정이다. 심정지가 발생한 후 4~5분이 지나게 되면 뇌에 비가역적인 손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특히 초기의 대응이 매우 중요하며, 심정지를 목격한 경우 응급의료체계에 신고하고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조치는 아무런 행동을 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소생 확률을 2~3배 이상...2025.05.18
-
Cpr 프로토콜2025.04.231. 심폐소생술 (CPR) 프로토콜 1.1. 심폐소생술의 목적 심폐소생술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기본 심폐소생술의 목적은 전문 심폐소생술이 시행될 때까지 혈액순환을 유지함으로써 임상적 사망이 생물학적 사망으로 진행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이다. 전문 심폐소생술의 목적은 심박동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심전도 감시, 심전도에 바탕을 둔 전기적 제세동, 약물 투여 및 각종 장비 등을 사용하여 조기에 심박동을 회복시켜서 뇌손상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소생 후 치료의 목적은 심박동이 회복된 후 심정지의 재발을 방지하고, 뇌손상을 ...2025.04.23
-
심장제세동기2025.04.071. 심장제세동기 심장제세동기는 저혈량증, 저산소증, 대사성산증, 저/고칼륨혈증, 저체온증 등의 심정지의 가역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신속하게 교정하기 위한 핵심적인 응급처치 도구이다. 심근세포에 강력한 전기적 자극을 주어 비정상적인 심실세동 또는 무맥성 심실빈맥을 정상 동성 리듬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심장에 원인 제거와 기능 회복을 시도하는 것이다. 제세동의 원리는 심실세동 상태에 있는 심근세포를 일시적으로 완전 불응기에 빠뜨려 심박동의 정상 기원인 동방결절(SA node)로 하여금 정상적인 자동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2025.04.07
-
심폐소생술2025.07.171. 서론 1.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은 심장의 활동이나 호흡이 갑자기 정지되는 동안에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응급으로 행하는 시술이다. 심정지 후 3~4분 이내에 심장에 압박을 가하여 효과적인 심박을 유지하면서 뇌 대사에 필요한 충분한 산소량을 가지도록 폐호흡을 적절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기도 확보, 인공호흡, 순환유지 등 응급처치를 하는 것이다. 현대적 개념의 심폐소생술이 도입되었을 당시에는 심정지 환자를 회생시키기 위해 행하는 인공호흡과 흉부압박만을 뜻하였으나, 점차 치료방법이 발달하면서 전문인이 행하는 제세동, ...2025.07.17
-
기관내삽관 방법과 절차 안내2025.04.211. 기관내삽관 개요 1.1. 기관내삽관의 정의 기관내삽관은 인공기도(artificial airway) 중 하나의 형태로 의사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다. 구강이나 비강을 통해 삽입되고, 성대 하부의 기관 내로 삽입하는 관으로 후두경을 이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 주로 응급 시에 사용된다. 관은 후두와 성대를 지나기 때문에 대상자는 말을 할 수 없게 된다. 1.2. 기관내삽관의 적응증 전신마취나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응급환자(기도폐색 및 폐쇄 우려가 있는 환자)에게 주로 적용된다. Glasgow Coma Scale(GCS...2025.04.21
-
응급실 의료장비2025.04.251. 응급실 의료장비 1.1. 응급실 구조 및 주요 시설 응급실의 구조 및 주요 시설이다. 응급실은 접수 및 분류(Triage) 구역, 진료구역, 소생구역(Resuscitation Area), 처치실(Procedure Room), 관찰실(Observation Room), 격리실(Isolation Room), 영상의학실(Radiology Room), 약국 및 검사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시설 및 장비로는 심폐소생술 장비, 산소 공급 및 기도 유지 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응급 처치 장비, 외상 처치 장비, 감염 예방 시설 등...2025.04.25
-
Cpcr2025.06.121. 서론 1.1. 심폐소생술의 정의 및 필요성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도 혈액을 순환시켜,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마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다. 심정지 후 4-6분부터 뇌손상이 시작되므로 심정지 발생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과 제세동이 적용되어야 소생의 성공률이 높아진다. 1.2. 심정지 발생의 주요 원인 심정지 발생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심장 관련 요인으로는 심근경색증, 관상동맥류 등에 의한 혈액순환 저하가 있다. 또한 패혈증 쇼크, 심장성 쇼크 등의 쇼크상태와 심낭압전, 심...2025.06.12
-
심폐소생술 간호 교육안2025.05.311. 심폐소생술 간호 교육안 1.1. 보건교육 강의안 및 교육내용 심폐소생술은 심장과 폐를 소생시키기 위한 응급처치 방법이다. 갑자기 심장 기능과 호흡이 멈춘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심폐소생술을 통해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은 의식이 없고 숨을 쉬지 않는 환자를 대상으로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을 시행하여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이다. 심폐소생술을 통해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뇌 손상을 예방하고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 심장이 멈춘 후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환자의 생존률이 60% 이상 증가한다. 이 ...2025.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