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3개
-
분만 후 자궁수축 출혈위험성 간호진단2025.05.311. 분만 후 자궁수축 및 출혈 위험성 간호진단 1.1. 간호정보조사 김ㅇㅇ 대상자는 29세 여성으로, 임신 41주차에서 유도분만을 시행한 산모이다. 이 대상자는 고등학교 때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합성갑상선호르몬제를 복용한 병력이 있다. 분만 전 체중은 41kg이었고, 현재 체중은 48kg이며, 신장은 154cm, 혈액형은 A형 RH+이다. 임신 4개월째부터 철분제(훼로바)를 복용하고 있다. 분만력은 1-0-0-0-0으로 초산모이다. 마지막 생리 일은 2020년 12월 24일이었고, 예정분만일은 2021년 10월 1일로 41주 임신...2025.05.31
-
자궁수축 저하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간호과정2025.05.291. 서론 자궁수축 저하로 인한 출혈의 위험성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큰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자궁수축 저하는 자궁무력증, 자궁경부 또는 질의 열상, 잔류 태반 조직, 자궁 파열, 자궁내반, 유착 태반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출혈은 조기 산후출혈과 지연성 산후출혈로 구분된다. 조기 산후출혈은 출산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출혈량이 많고 이환율이 높다. 지연성 산후출혈은 출산 24시간 이후부터 산후 6주까지 발생하는 출혈로, 태반 잔류와 자궁 퇴축 부전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출혈 발생 시...2025.05.29
-
유도분만 문헌고찰2025.08.20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유도분만의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자연적인 자궁수축이 시작되기 전에 인위적으로 자궁수축을 유도하는 유도분만은 임신의 지속이 모체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거나 모체의 상태가 태아의 생존에 영향을 미칠 때, 만삭이 되어도 분만이 시작되지 않을 때 시행한다. 유도분만의 성공은 재태기간보다 분만기전의 성숙도와 관련이 깊기 때문에 태아를 잘 관찰하고 합리적으로 날짜를 정한다고 해도 달력상의 날짜와 실제적인 분만시기가 일치하지 않아서 어려움이 있다. 유도분만에 의한 미숙아의 발생빈도는 약 5%로, 만삭...2025.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