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0개
-
응급실 내 억제대 사용의 윤리적 딜레마2024.09.171. 윤리적 의사결정 1.1. 윤리원칙 윤리원칙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의료진이 지켜야 할 가장 기본적인 윤리적 기준으로, 자율성 존중의 원칙, 선행의 원칙, 악행금지의 원칙, 정의의 원칙이 있다. 자율성 존중의 원칙은 환자가 의사결정을 할 능력이 있어야 하고, 자발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환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가 자발적으로 동의해야 한다. 그러나 환자가 의사결정능력이 없다면 대리인의 결정을 따르게 된다. 선행의 원칙은 환자에게 이득이 되고 해가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선행의 원칙에는...2024.09.17
-
간호연구개론 기말2025.06.171. 간호연구개론 기말 고사 대비 1.1. 간호윤리와 이론 1.1.1. 도덕, 도덕과 무관함 도덕(moral)이란 말은 평가적 의미로 쓰일 때에는 그 반대어가 부도덕 또는 비도덕이라는 의미의 immoral이고, 분류적 의미로 쓰일 때에는 그 반대어가 도덕과 무관하다는 의미인 amoral 또는 nonmoral이 된다. 신생아와 같이 판단력이 없는 존재는 amoral한 존재이며, 경제적 가치나 미적 가치 등은 nonmoral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도덕은 인간이 인간으로서 행하여야 할 기본 도리와 그것을 자각하여 실천하는 행위...2025.06.17
-
간호학개론기말고사2025.06.171. 간호학개론의 개념과 이론 1.1. 도덕, 윤리, 권리와 의무의 개념 도덕, 윤리, 권리와 의무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도덕은 인간의 내면과 외적인 행위를 규제하는 규범이다. 도덕적 행위는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이자 관습에서 유래된 것이다. 반면 도덕과 무관한 것을 비도덕적(immorral) 또는 비윤리적이라 한다. 예를 들어 신생아는 도덕감이 없는 아도덕적(amoral)존재이다. 옳음(right)은 도덕원칙이나 규칙에 부합하는 행위이며, 그름(wrong)은 도덕 법칙을 위반한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좋음(g...2025.06.17
-
간호학개론기말고사2025.06.171. 간호학개론 기말고사 요약 1.1. 간호윤리와 이론 1.1.1. 윤리학의 기본 개념 도덕, 도덕과 무관함 도덕moral이란 말이 평가적 의미로 쓰일 때에는 그 반대어가 부도덕 또는 비도덕인 immoral이고, 분류적 의미로 쓰일 때에는 그 반대어가 도덕과 무관하다는 의미인 amoral 또는 nonmoral이 된다. amoral의 의미에 포함되는 예로 신생아를 들 수 있으며, nonmoral의 예로는 경제적 가치, 미적가치 등이 있다. 옳음, 그름, 착함 '옳음'은 어떤 행위를 수행할 의무가 있다는 의미이고, '그름'은 ...2025.06.17
-
죽음2024.09.031. 생명과 죽음에 대한 이해 1.1. 생명의 정의와 변화 1.1.1. 생명에 대한 다양한 정의 생명에 대한 다양한 정의는 철학적, 종교적, 생물학적, 임상적 관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철학적 관점에서 생명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체적 이성과 이치에 따라 먹고 성장하고 쇠락하는 몸"이라고 정의한 것처럼 생명의 근원에 생기가 존재한다고 보았다"" 둘째, 생물학자 F.엥겔스는 생명을 "생명이란 단백질의 존재 양식이다"라고 정의하며, 생물체의 물질대사의 특성에 주목하였다"" 셋째, 1940년대 이후 생명학자들은 단백질...2024.09.03
-
의료거부하는 특정문화권 사례2024.09.031. 간호윤리 및 관련 법규 1.1. 간호단위에서 법적, 윤리적 기준 1.1.1. 간호사의 면허와 자격 간호사는 '평가인증기구의 인증을 받은 간호 학을 전공하는 대학이나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간호사 국가시험에 합격한 후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아야' 간호사가 될 수 있다. 이때 면허는 보통 학문상으로 허가로서 법규에 의한 일반적 금지를 특정한 경우에 해제하여 사실상 또는 법률상 일정한 행위를 적법하게 할 수 있도록 헌법상 자유를 회복시켜주는 행위를 말한다. 또한 의료법 제78조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장관은 간호사에게 간호사 면허 외...2024.09.03
-
윤리적 의사결정 (HIV2024.09.191. 간호윤리와 생명윤리 1.1. 비밀유지 의무와 간호사의 딜레마 비밀유지 의무는 간호사가 환자를 돌보는 과정에서 환자의 정보를 보호해야 하는 윤리적 의무이다. 그러나 때로는 이러한 비밀유지 의무와 간호사의 다른 의무 간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사례에서 김 간호사는 환자 송씨의 남자친구가 이전에 다니던 병원에서 HIV 감염자로 진단받아 약물치료를 받았던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로 인해 송씨가 HIV에 감염될 위험이 있는 상황이지만, 송씨는 자신의 남자친구가 HIV 감염자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 이 경우 김 간호사는 송씨에...2024.09.19
-
간호윤리2025.04.171. 서론 간호윤리학은 간호사가 따라야 할 윤리가 무엇이며, 간호사가 함양해야 할 품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간호윤리는 기본적으로 "대상자에게 옳은 것은 무엇인가?", "간호사의 책임은 무엇인가?"와 같이 간호학 지식체가 가진 윤리적 질문에서 시작한다. 또한 시대와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간호윤리의 핵심내용과 윤리규칙, 간호사가 함양해야 할 품성에 대한 탐구도 필요하다. 간호사들이 윤리적 가치관의 갈등과 불일치를 경험하게 될 때 간호사 자신의 개인적 발전에 장애가 되며 간호실무활동의 직접적인 면에 영...2025.04.17
-
간호학개론 기말고사2025.04.211. 간호학개론의 주요 내용 1.1. 윤리학의 기본 개념 도덕은 사람이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하는 도리 또는 그에 준하는 행위를 지칭하는 말이다. 도덕은 인간의 내면과 외적인 행위를 규제하는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부도덕한 행위는 도덕 법칙을 위반한 것이며, 도덕감이 없는 존재는 아모럴한 존재이다. 옳음은 의무와 마땅함을 의미하고, 그름은 도덕원칙이나 규칙에 위배되는 것을 의미한다. 선은 인간행위의 목적이 되는 본래의 가치이고, 악은 선의 반대말이다. 권리는 어떤 이익을 자기를 위해 주장할 수 있는 법률상의 힘이며, 의무는...2025.04.21
-
간호실무현장의 윤리적 딜레마를 구체적 예시를 들어서 윤리원리 분석과 윤리규칙분석2024.10.051. 간호윤리와 법적 책임 1.1. 간호윤리의 개념과 원칙 윤리란 일상생활에서 선, 악을 구별하는 문제, 또는 인간관계에 있어서 지켜야 할 도리 및 규범과 관련된 문제라 할 수 있다. 간호윤리의 개념이란 간호실무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와 의사결정에 대한 것이다. 간호윤리의 원칙에는 자율성 존중의 원칙, 악행금지의 원칙, 선행의 원칙, 정의의 원칙이 포함된다. 자율성 존중의 원칙은 치료 과정과 방법, 그리고 필요한 약품의 효능과 부작용 등을 거짓 없이 상세히 설명하고, 환자는 충분한 설명과 자발적 선택에 의거하여 치료에 동의해야...2024.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