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한국 영국 보건의료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 및 국외 보건의료 정책 동향
1.1. 우리나라 보건의료 정책
1.1.1. 국민건강보험
1.1.2. 민간보험
1.1.3. 주요 건강 문제와 정책
1.2. 영국 보건의료 정책
1.2.1. 국민보건서비스(NHS)
1.2.2. 의료전달체계
1.2.3. 주요 건강 문제와 정책
1.3. 우리나라와 영국의 보건의료 정책 비교 및 개선점
1.3.1. 의료보험 제도
1.3.2. 진료비 지불제도
1.3.3. 국가의 주요 문제에 따른 정책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우리나라 및 국외 보건의료 정책 동향
1.1. 우리나라 보건의료 정책
1.1.1. 국민건강보험
국민건강보험은 한국의 사회보장제도(social insurance)의 하나로, 공공의료보험(public health care)에 속한다. 1989년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건강보험가입이 강제된다.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르면 "국내에 거주하는 국민"을 적용대상으로 하며, 보험료 납부의 강제성을 부여하여 실효성을 확보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은 사회보험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부담능력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 부과하고 필요에 따라 보험급여를 균등하게 받을 수 있다. 즉, 국민건강보험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강제가입 방식의 공공 의료보험 제도이다.
우리나라의 건강보험 제도는 의사의 진료행위마다 일정한 값을 정하여 진료비를 결정하는 행위별 수가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양질의 고급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신의료기술 및 신약개발 등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과잉진료와 과잉검사, 국민의료비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다.국민건강보험은 1989년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시행되어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균등한 보장을 받을 수 있는 제도이다. 이는 전국민 의료보험 체계를 갖춘 대표적인 예로,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보험가입 및 보험료 납부의 의무가 부여된다는 특징이 있다.
국민건강보험은 국민들의 건강을 보장하고자 하는 국가의 노력의 결과물이다. 국민 누구나가 보편적으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보험료 납부를 강제화하고 있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적 의료보장제도로서, 부담 능력에 따른 보험료 차등 부과와 필요에 따른 균등한 보험급여가 이루어지는 사회보험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민건강보험은 행위별 수가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과 의료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나, 과잉진료 및 과잉검사, 국민의료비 증가 등의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장단점을 고려하여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지속가능성과 보장성 강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1.2. 민간보험
우리나라의 민간보험은 국민건강보험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민간보험은 보장의 범위, 질병 위험의 정도, 계약의 내용 등에 따라 개인별 보험료를 부담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보험료 수준과 계약 내용에 따라 개인별로 다르게 보장받게 된다.
민간보험은 국민건강보험이 보장하지 않는 비급여 진료비용이나 상급병실료 등을 보장하여 추가적인 의료비 지출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로 인해 보장률이 높아지면서 민간보험의 역할이 점점 축소되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술의 발달과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증가로 인해 민간보험의 필요성은 여전히 높다.
국민건강보험과 민간보험이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와 더불어 민간보험의 역할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의료기관과 민간보험사의 연계를 강화하고, 민간보험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1.1.3. 주요 건강 문제와 정책
우리나라의 주요 건강 문제와 정책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는 2021년 출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가 26만600명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7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
참고 자료
박승현, 배계완, 김준범, 김세동, 김세동. (2021). 유해인자 노출감시를 통한 산업보건서비스 강화. 한국산업보건학회지, 31(2), 147-155.
직업건강협회 > 정보자료실 > 산업보건 http://www.kaohn.or.kr/sub07/sub01.php
법제처 > 국가법령정보센터 > 산업안전보건법 https://www.law.go.kr/LSW/lsSc.do?section=&menuId=1&subMenuId=15&tabMenuId=81&eventGubun=060101&query=%EC%82%B0%EC%97%85%EB%B3%B4%EA%B1%B4%EB%B2%95#undefined
이영란 외 (2018). (원론) 지역사회간호학. 서울: 신광출판사.
OECD Health Statistics 2021 http://www.oecd.org/health/health-data.htm
Choe, S. Y. (2021). 해외사례 비교를 통한 중대재해 처벌법 향후 정책방향.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2(2), 21-25.
통계청 > 국가통계포털(KOSIS) 통계표 > 산업재해현황 : 휴업재해 현황-재해율 https://kostat.go.kr/wnsearch/search.jsp
박선영(2020), 주요 국가간 산업재해율 변화 추이 비교분석, 울산광역시: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보건공단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국외정보 > 국제동향 > 2022년 제1호 국제 안전보건동향 https://www.kosha.or.kr/kosha/data/activity_A.do?mode=view&articleNo=428489&article.offset=0&articleLimit=10
안전보건공단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https://www.kosha.or.kr/kosha/researchField/researchReportSearch.do
안전보건공단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재해사례 > 산재사망통계 https://www.kosha.or.kr/kosha/report/kosha_statistics.do
통계청 > 국가통계포털(KOSIS) 통계표 > 국제·북한통계 > 국제통계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vwcd=MT_RTITLE&menuId=M_02_01
고용노동부(2021). 2020년도 산업재해 현황분석. 세종특별자치시청: 고용노동부.
임대성, 김기연, 조용민 and 서성철. (2021). 국내ㆍ외 라돈 관련 제도 비교를 통한 산업안전보건법 개선방안. 한국산업보건학회지, 31(3), 226-236.
뢰희정 외(2019). 지역사회간호학Ⅱ. 서울: 현문사. 474-483.
유인술(2015). 한국의 재난관리대책. Hanyang Med Rev. 35(3). p157-173.
류은희(2018). 선진국의 국가위기관리시스템 운영 비교 연구: 미국·영국·독일을 중심으로. 경찰복지연구. 6(1). p148-186.
국가기록원, https://theme.archives.go.kr/next/koreaOfRecord/medicalInsurance.do
국민건강보험공단, https://www.nhis.or.kr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ttps://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11000000
NHS, https://www.nhs.uk/
박경선 김정희 이유진 주, 「주요국의 건강보장제도 현황과 개혁동향(2020.12)」, 제 9권 영국, 11-12p,
https://www.nhis.or.kr/static/html/wbha/d/a/9.%20%EC%98%81%EA%B5%AD.pdf
아주경제, [줄어드는 경제인구] 합계출산율 0.7명도 위험…답 없는 저출산 대책, 안선영 기자,
2022.08.24., https://www.ajunews.com/view/20220824115605243
수출뉴스, 영국 비만과의 전쟁 선포, KATI 농식품수출정보, 21.06.07,
https://www.kati.net/board/exportNewsView.do?board_seq=93285&menu_dept2=35&menu_dept3=71
연합뉴스, '비만과의 전쟁' 나선 영국, 고지방식품 '1+1' 판촉도 금지, 20.12.28.,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105563?sid=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