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귀농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귀농귀촌 계획
1.1. 귀농귀촌 계획서 제출하기
1.2. 귀농귀촌 특별한 계획 - 농자재 판매업
1.3. 특용작물 재배 계획 - 비타민나무
2. 귀농귀촌 계획의 실행
2.1. 귀농계획 실습 및 경험
2.2. 농자재 판매업 실습
2.3. 비타민나무 재배 계획 및 관리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귀농귀촌 계획
1.1. 귀농귀촌 계획서 제출하기
귀농귀촌 계획서 제출하기는 근래의 미디어에서 자주 다뤄지는 주제이다. 도시에 지친 현대인들이 농촌으로 돌아가 조용하고 여유로운 삶을 꿈꾸는 모습이 자주 조명되고 있다. 특히 삼시세끼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제로 농촌으로 내려가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도시의 복잡한 생활에 지친 사람들이 자연 속에서 여유와 평화를 찾기 위해 귀농귀촌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조용한 분위기, 싱그러운 흙냄새, 넓은 개방형 공간 등에서 삶의 보람을 찾고자 한다.
하지만 실제로 귀농귀촌을 실천하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 경제적인 여건과 사회적 관계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경제적인 여건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실질적인 생활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도시에서 오랫동안 살아왔던 관계를 정리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귀농귀촌을 계획하는 사람들은 체계적인 준비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 첫 단계가 바로 귀농귀촌 계획서 제출이다. 귀농귀촌 계획서에는 구체적인 귀농귀촌 계획, 장소 선정, 경제 계획, 그리고 목표 등이 포함된다.
먼저 귀농귀촌 계획서를 작성할 때는 기존의 성공적인 귀농귀촌 사례를 참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실질적으로 귀농귀촌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떤 절차와 준비가 필요한지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북 상주의 정양리 귀농 마을은 좋은 사례로 꼽힌다. 이 마을에는 다양한 직업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이 귀농을 결심하고 정착했으며, 마을 내에서 새로운 삶을 영위하고 있다.
또한 계획서에는 귀농귀촌을 위한 구체적인 장소 선정이 포함된다. 개인적으로는 경북 상주 지역을 유력한 후보로 꼽고 있다. 이 지역은 기후와 토양이 좋아 농작물 재배에 매우 유리하며, 바다와 인접해 있어 생활 여건도 좋다. 실제로 상주 지역은 오래전부터 귀농귀촌의 대표적인 사례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경제 계획에서는 귀농귀촌 이후의 수익 모델을 구체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주 지역의 특산품인 곶감을 활용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곶감 산업은 상주 지역의 대표 산업으로, 7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현재 상주 시에서는 4,500여 가구가 1만 1,298톤의 곶감을 생산하고 있으며, 연간 매출 3,000억 원을 달성하고 있다. 이처럼 상주의 곶감 산업에 참여하는 것은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귀농귀촌의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계획서에서는 네 가지 핵심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가족과 함께하는 삶을 누리는 것이다. 둘째, 많은 가족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다. 셋째, 내 이름의 브랜드를 만드는 것이다. 넷째, 순수한 농촌 사람들과 함께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바탕...
참고 자료
“'다큐 3일' 상주 정양리 귀농마을 72시간…농부의 탄생” 국제신문. 2016.10
“이정백 상주시장“550년 상주곶감, 이제 세계를 꿴다”“ 한국일보. 2016.9
전남도 “친환경농업 선도 ‘유기농 명인’ 도전하세요”, 박영래 기자, 뉴스1, 2017-05-21.
[표 1] 귀농귀촌종합센터-귀농귀촌실태조사결과-7 지역사회 참여 9 귀농·귀촌 관련 교육 및 훈련.
강원비타민나무 영농조합법인,
https://www.vitaminnamoo.com:41766/mall/ezboard.php?BID=vitamin&GID=root
“비타민 나무(산자나무)를 아시나요”, 농업뉴스, 한농민,
http://www.hannongmin.com/information_1/3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