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 주제 선정 및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애인 지원과 관련하여 평생교육에서 기여할 수 있는 주제
1.1.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평생교육 선정의 이유와 근거
1.2.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평생교육의 중요성
2.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평생교육과 관련된 법규 및 실제 사례
2.1.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평생교육과 관련된 법규
2.2. 발달장애인 보완대체의사소통 프로그램 사례
2.3. 발달장애인 보완대체의사소통 프로그램의 선정 이유
2.4. 발달장애인 보완대체의사소통 프로그램의 장단점 및 보완점
3. 장애인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평생교육
3.1. 장애인 지원과 관련한 평생교육 주제 선정의 이유와 근거
3.2. 장애인 디지털 역량 강화 평생교육의 필요성
3.3. 장애인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3.4. 장애인 디지털 교육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부와 지역사회의 지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장애인 지원과 관련하여 평생교육에서 기여할 수 있는 주제
1.1.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평생교육 선정의 이유와 근거
발달장애인의 의사소통 평생교육을 선정한 이유와 근거는 다음과 같다.
발달장애 아동들의 의사소통 결함은 사회적 단서를 이해하고 의사소통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아동기에 발견된 문제는 성인기에도 사라지지 않고 지속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성인 발달장애인은 언어 및 의사소통 문제로 인해 사회로 진입할수록 여러 상황에서 어려움을 경험한다. 성인 발달장애인의 주된 어려움을 보이는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의 결함은 가족이나 친구, 담임교사, 직장 동료와의 관계에서 대상자들과 좋지 못한 관계를 형성한다. 즉,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것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의사소통 시 부족한 대화기술 및 화용 능력으로 일상생활의 부적응과 직업 선택의 제한성 그리고 직장생활의 부적응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의사소통 어려움으로 인하여 성인 발달장애인의 직업 및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화기술 및 사회적 상황 이해 능력 습득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필요성은 성인이 되면 더욱 절실해 진다. 이에 따라 성인 전환기 발달장애인에게는 지속적인 평생교육과 독립된 인간으로 생활할 수 있는 다양한 재활치료 지원 그리고 관심이 필요하다.
1.2.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평생교육의 중요성
발달장애인이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응 능력을 필요로 하며 그 가운데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회생활이나 직업생활 시 인간관계 기술이 요구되며, 이러한 인간관계 기술 중 매우 중요하고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의사소통 능력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발달장애인의 경우 언어 발달이 지체되거나 손상되며, 의사소통 능력 또한 지체되거나 손상되어 전반적인 화용언어 능력에 많은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자폐성장애는 정상발달을 보이는 대상자와 달리 의사소통 의도가 낮고 의사소통 기능과 유형을 제한되게 사용하며,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적장애는 지적 능력 및 주의집중의 제한으로 대인관계 기술과 같은 대인상호작용에 어려움, 문제해결 기술의 어려움, 부적절한 의사소통을 보인다.
이러한 의사소통 제한으로 인해 발달장애 학생들은 학교생활 적응 및 교육과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며, 자신의 의도를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해 자해행동, 상동행동 등의 부적절한 행동을 보인다. 결국 이러한 제한점들은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게 하며, 궁극적으로 독립생활을 영위하는데 어려운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초기 성인기의 발달장애인들은 사회에 적응하며 자립생활을 해야 하고, 의사소통 가운데 자기결정 및 문제해결 능력을 키워야 하는 등 교육해야 할 많은 과제들이 존재한다. 특히 의사소통 영역에 있어서 화용적 어휘나 상황을 배우고, 사람들과 다양한 주제로 대화가 가능하다면 사회적 의사소통에서 보다 원활한 관계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성인 장애인의 최종 재활 목적은 생활의 자립이며 이는 직업훈련을 받은 장애인들이 직업을 가지고 이를 통하여 성취감을 느끼고 사회적으로 통합되어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는 것이라 하였다. 이러한 현실에서 자립생활을 위한 신체적 작업 기능을 배우고 익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불어 사회생활과 관련된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는 것은 일상생활 영위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성인 발달장애인이 사회생활에 관련된 의사소통을 할 때 수동적인 자세나 위축되지 않고 능동적인 감정과 자존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접근이 필요하다.
2.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평생교육과 관련된 법규 및 실제 사례
2.1.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평생교육과 관련된 법규
발달장애인 의사소통 평생교육과 관련된 법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10조(의사소통지원)에 따르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발달장애인이 자신의 의사를 원활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학습에 필요한 의사소통도구를 개발하고 의사소통지원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발달장애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교와 평생교육기관 등을 통하여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행정안전부장관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민원담당 직원이 발달장애인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 지침을 개발하고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이처럼 발달장애인이 자신의 권리와 의무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지능정보화 기본법은 장애인의 디지털 정보 ...
참고 자료
곽지영, 박수지, 이동영, & 전지혜. (2024). 장애인복지론. 신정.
김두영. (2022). 장애인 평생교육의 이해. 창지사.
부천시 평생학습센터. 장애인평생교육.
https://learning.bucheon.go.kr/site/homepage/menu/viewMenu?menuid=165002007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온라인 직업훈련 프로그램. https://www.kead.or.kr/onljobprpst/cntntsPage.do?menuId=MENU0228
한국장애인고용공단. KEAD 직업훈련 캠퍼스. https://www.kead.or.kr/campus/edctTrnn/cntntsPage.do?menuId=MENU0909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자립생활기술연구팀. https://www.nrc.go.kr/research/html/content.do?depth=ri&menu_cd=01_04_06
수원시 평생학습관.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사업. https://learning.suwon.go.kr/lmth/03_suwon0302.asp
김미옥 외, 장애인복지시설 서비스 환경과 긍정적 돌봄의 관계, 한국장애인복지학, 2018.
김민, 서울시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 실태 및 개선 방안,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논문, 2008.
김혜원, 성인발달장애인 의사소통능력 증진에 대한 기관종사자와 보호자의 인식 및 요구조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논문, 2021.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양회택 외, 발달장애인 보완대체의사소통 활용 교육자료, 오산, 2011.
장혜정,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연구에 관한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논문, 2023.
2023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디지털배움터 www.디지털배움터.kr
디지털 평생교육 확산 동향 https://narasallim.net/view3/1566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