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1.1. 출혈의 증상 사정
출혈의 증상 사정은 대상자의 주관적 자료와 객관적 자료를 모두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주관적 자료로는 대상자가 호소하는 ""화장실에서 피 섞인 대변이 많이 나왔어요"", ""좀 어지러운 것 같은데…왜 그렇죠?"", ""목이 너무 말라요"" 등의 증상을 파악할 수 있다"". 객관적 자료로는 위장관 출혈 진단 여부, 혈변(hematochezia) 증상 관찰, 활력징후 측정 결과의 저혈압 확인, 대상자의 반응 속도 저하 및 졸림 증상 관찰, 피부와 점막의 건조 상태 확인 등을 통해 출혈로 인한 체액 부족 징후를 사정할 수 있다"".
1.2. 체액부족 징후 사정
체액부족 징후 사정은 대상자의 주관적, 객관적 자료를 통해 이루어진다. 대상자는 갈증, 구강 건조, 피부 건조와 같은 주관적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또한 저혈압, 빈맥, 운동 시 어지러움, 피로감 증가 등의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 객관적 사정으로는 피부 탄력성 감소, 점막 건조, 눈 주변 어둡고 꺼짐, 요량 감소, 혼돈 및 정신 상태 변화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체액부족 징후를 면밀히 사정하여 체액 균형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1.3. 체액 균형 유지를 위한 중재
체액 균형 유지를 위한 중재는 다음과 같다.
간호사는 처방에 따라 정맥 수액 요법을 시행한다. 체액손실로 인한 저혈압에서 수액을 빠르게 주입하여 순환계에 volume으로 부하를 주어 혈압을 상승시키기 위한 중재이다. 정맥 주입으로 손실된 수분보충 및 전해질, 아미노산 및 칼로리를 보급한다.
또한 처방에 따라 혈압상승제를 투여한다. 노프린은 급성 저혈압, 쇼크, 심정지의 보조치료제로 쓰이는 승압제이다. 부작용으로 심계항진, 두통, 어지러움, 불안, 구역, 구토, 흉통 등이 나타날 수 있어 과다 주입 시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주 혈압을 모니터링하며 정확한 용량 사용이 중요하다.
처방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