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동적사고 현실검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자동적 사고와 인지 삼제
2.1. 자동적 사고의 개념
2.2. 인지 삼제
3. 우울증 환자의 자동적 사고 논박
3.1. 재귀인과 재정의
3.2. 소크라테스식 질문
3.3. 객관적 관점 형성
4. 우울증 극복을 위한 전략
4.1. 자신의 생각과 감정 탐색
4.2. 실천 가능한 목표 설정
4.3. 전문가 조력의 중요성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울증은 홀로 감당하기 힘든 병이라고 할 수 있다. 우울감은 심리학적으로 살펴보면 근본적으로 상실과 실패에 대한 심리적인 반응으로 우울한 상태의 강도에 따라 정상적인 우울과 병적인 우울을 구분한다. 병적인 우울인 우울증은 우울한 기분 강도가 심각하고 그 지속시간 역시 길다. 일상에서 의욕, 활력, 흥미를 잃어버리고 체중의 감소, 불면증, 피로, 변비, 식욕의 감퇴, 체중 감소 등까지 이어질 수 있다. 병적인 우울증은 일상의 업무를 수행하는 정상적인 우울한 상태 사람과 다르게 사회적, 직업적, 학업적 부적응 상태를 초래하기도 한다. 사소한 다툼, 좌절 등에도 심각하게 슬픔에 빠져 자학을 하거나 과도한 반응을 나타낸다. 우울증 환자 내면에는 역동적인 무의식적인 감정으로 열등의식, 허무감, 절망감, 무능력감 등이 생기고 삶의 의미를 잃어 자살을 시도하게 된다. 우울증 증상의 강도, 양상이나 패턴, 원인, 지속시간 등에 따라 여러 하위 유형으로 구분된다. DSM-Ⅳ에 따르면 우울증은 크게 주요우울장애, 기분 부전 장애로 구분한다. 이러한 우울 증상은 2주부터 2년 이상 나타나기도 한다. 우울증은 단극성 우울증, 양극성 우울증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우울증과 반대로 지나치게 기분이 좋은 상태를 조증으로 부르는데 과거에는 조증 상태를 경험하지 않았던 우울 상태를 단극성 우울증이라고 한다. 지금은 우울증 상태에 있으나 과거에는 조증 상태를 경험했다면 양극성 우울증으로 부른다. 우울증 증상을 일으킨 사건이 있는가에 따라 외인성 우울증과 내인성 우울증으로 구분하는데 우울 증상 심각성에 따라서 정신증적 우울증과 신경증적 우울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신경증적 우울증은 현실 판단력에 손상이 없는 상태에서 의욕의 상실과 우울한 기분이 나타난다. 하지만 정신증적 우울증은 현실 판단력이 손상되어서 망상 수준의 부정적인 생각과 죄의식 등이 나타난다. 벡의 인지치료를 기반으로 우울증 환자의 자동적 사고를 살펴보고자 한다.
2. 자동적 사고와 인지 삼제
2.1. 자동적 사고의 개념
자동적 사고는 특정한 자극에 의해 촉발되는 개인화된 생각으로, 의식적 노력이나 선택 없이도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사고이다. 자동적 사고는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생성된 신념과 가정들을 반영하며, 언어, 이미지 또는 양자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적 사고는 아무리 비합리적이라 할지라도 쉽게 변화되지 않고 지속되는 경향을 보이며, 때로는 당위성을 지닌 말로 표현되기도 한다. 또한 자동적 사고는 객관적 증거에 반하더라도 쉽게 중단되지 않는다는 특성을 가진다."
2.2. 인지 삼제
인지 삼제는 우울증 환자가 자기 자신, 자기 경험, 자기 미래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
참고 자료
한자희, 2013, 우울증에 대한 대상관계이론과 기독교 영성적 접근,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p.13~14
유현주, 2014, 중년기 여성의 우울증 극복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일장신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p.15~32
최정우, 2006, 중년기 여성의 우울증 분석과 치료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p.38~39
안양규 저, ‘부정적인 사고에 대한 붓다의 가르침과 아론 벡의 인지치료’, 한국명상치료학회 명상치료연 구, 2007
하은혜 저, ‘청소년기 부정적 자동적 사고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경정신학회,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