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교도서관의 장서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학교 도서관의 장서관리
2.1. 장서관리의 의의
2.1.1. 자료의 의미와 범위
2.1.2. 장서관리의 개념
2.1.3. 도서선택과 자료선택
2.2. 학교도서관 장서관리의 기준
2.2.1. 법률 및 정책적 장서관리 기준
2.2.2. 학교도서관 장서관리의 기본원칙
2.3. 학교 도서관 장서관리의 바람직한 방향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학교 도서관은 학교의 여러 가지 시설 중의 하나이며 말 그대로 학교에 있는 도서관이다. 도서관법 제 2조에 따르면 학교도서관이란 "초·중등교육법 제2조의 규정에 따른 고등학교 이하의 각급학교에서 교사와 학생, 직원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이라고 정의한다. 이와 같이 학교도서관은 자료와 시설을 바탕으로 대출, 열람, 참고봉사, 교육 등의 각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학교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의의가 있다.
학교도서관은 지식정보사회에 따른 교육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교육의 목표달성에 기여하고, 교수-학습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자원을 제공하는 종합적인 학습 환경이다. 또한 교육과정과 밀접한 자료를 제공하여 자료중심교육을 실현함으로써 열린교육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지원하고, 과제 해결능력을 육성하여 평생교육의 기초를 마련하는 학습 시설이다. 이처럼 학교도서관은 학교교육과 더불어 학생들의 전인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할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2. 학교 도서관의 장서관리
2.1. 장서관리의 의의
2.1.1. 자료의 의미와 범위
자료의 의미와 범위는 도서관법 제2조에 따르면 지식정보자원 전달을 목적으로 정보가 축적된 것으로, 도서관 자료란 도서관이 수집, 정리, 보존하는 자료를 의미한다. 자료란 정보 내용을 담고 있는 낱개의 물리적 매체를 말하며, 정보 내용을 담고 있는 매체의 의미로서 '정보자료'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자료의 범위에는 인쇄자료, 시청각자료, 마이크로형태 자료, 전자자료, 그 밖의 장애인을 위한 특수자료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자료의 의미와 범위는 도서관이 수집, 정리, ...
참고 자료
이승길,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장서관리지침서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017, v.51 no.3, pp.23-44
Steve Hiller, “Assessing User Needs, Satisfaction, and Library Performance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Libraries”, Library Trends 49(4), March 2001
윤희윤, “장서관리론”, 태일사, 2007.
곽철완.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 실태조사 및 성과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7.
김복희. 학교도서관 참고장서관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문헌정보교육전공, 2007.
송영숙. 초등학교 도서관의 장서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 학교도서관경영론 교안
장서관리론 / 윤희윤 /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