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장애인 복지 증진을 위한 공적 사항
1.1. 사회 재활팀장으로서의 공적
1.1.1. 장애인의 직업 재활 업무 추진
상기인은 사회 재활팀장으로서 장애인의 직업 재활업무를 맡아 추진하면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는 직업상담과 직업 재활업무 및 보호작업장 실시 운영을 통해 장애인들의 직업 경험과 능력 향상을 도모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4회의 취업 상담과 10명의 취업 전 실습, 그리고 2회에 걸쳐 6명의 취업 알선 등을 추진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인들의 직업 습관 및 작업 태도를 기르고 직업능률 향상과 직업재활에 기여하였다. 또한 장애인 생활시설과 연계하여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장애인들의 자립과 사회통합에 힘썼다.이처럼 상기인은 장애인의 직업재활 업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는 장애인의 자립 기회를 높이고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게 하는 데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1.1.2. 장애인 생활 안정 및 재활 치료 지원
상기인은 사회 재활팀장으로서 장애인들의 생활 안정과 재활 치료 지원에 힘써왔다. 첫째, 생활이 어려운 장애인 및 재가 장애인들을 늘 가족과 같이 대하며 지원할 수 있는 모든 혜택을 제공하였다.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을 위해 지역주민 및 자원봉사자들과 연계하여 물질적·정신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를 통해 어려운 장애인들과 함께하는 따뜻하고 친절한 마음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장애인들의 생활 안정을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하였다. 장애인 복지시책 및 각종 재활 정보를 제공하고 복지관 서비스 안내와 예약, 상담 등을 통해 000회 000명의 장애인들을 상담하며 그들의 생활 안정과 재활에 힘썼다. 또한 장애인의 상태와 욕구를 파악하고, 사회진단, 물리치료 진단, 언어진단, 교육진단 등 체계적인 직능 검사를 실시하여 개인별 맞춤형 재활 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장애아동 부모들의 심리적 지지를 위해 2회 63회에 걸쳐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아동 양육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부모들 간의 정보교환과 협조의 장을 마련하였다. 이는 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안정과 자녀 양육에 큰 도움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상기인은 장애인들의 생활 안정과 재활 치료 지원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해왔다. 생활이 어려운 장애인들에게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전문적인 직능 검사와 맞춤형 재활 서비스 제공, 장애아동 가족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