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직업의 종말
1.1. 직업의 종말이라는 주장의 배경
직업의 종말이라는 주장의 배경은 현대 사회의 급격한 기술 발전과 함께 나타난 새로운 노동 시장 환경 변화에 기인한다.
첫째, 통신기술의 발달로 전 세계 교육 수준이 향상되면서 기업들이 특정 지역이나 국가를 넘어 어디서나 필요한 인력을 고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 저렴하고 편리하게 직원을 고용할 수 있게 되면서 노동 시장은 고용주가 지배적인 힘을 발휘하는 구매자 중심의 시장이 되었다.
둘째,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블루칼라 분야를 넘어 화이트칼라 전문직 종사자의 지식기반 일자리까지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최근 미국 대학 졸업자들의 절반 이상이 직장을 구하지 못했거나 대학 학위가 필요 없는 직종에서 일하고 있는 현실은 이러한 변화를 보여준다.
셋째, 전통적인 대학 학위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급격한 교육 수준 향상에도 불구하고 실제 능력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기업들이 평범한 교육을 받은 보통의 노동자보다 창의적 사고를 갖춘 인재를 더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빠른 기술 발전과 노동 시장 변화로 인해 전통적인 직업 개념이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으로 창업 및 기업가 정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1.2. 마이크로 멀티내셔널의 시대
현재 우리는 마이크로 멀티내셔널의 시대에 살고 있다. 마이크로 멀티내셔널이란 적은 인원이라도 전 세계 어디서라도 한 사무실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형태를 의미한다. 즉, 한 사람이 다양한 국가와 언어로 여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3개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베트남 출신의 여성이 베트남에 본사를 둔 미국계 기술기업에서 근무하면서, 필리핀의 프로그래머와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통신기술의 발달과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기업들이 특정 지역이나 국가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인력을 고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기술과 소프트웨어의 혁신으로 인해 일자리들이 해외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이제 구직자들은 단순히 주변 지역의 수십만 명의 노동력과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70억 명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마이크로 멀티내셔널 현상의 확산은 전 세계 교육수준의 향상과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가능해졌다. 과거에는 특정 기업이나 직무에 필요한 인력을 해당 지역에서만 고용해야 했지만, 이제는 국경을 넘나들며 최적의 인력을 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보다 저렴하고 편리하게 직원을 고용할 수 있게 되었고, 노동 시장은 고용주가 주도하는 구매자 중심의 시장이 되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블루칼라 직종뿐만 아니라 전문직 종사자의 화이트칼라 일자리도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학 졸업자들의 절반 이상이 직장을 구하지 못하거나 대학 학위가 필요 없는 직종에 종사하고 있다는 통계는 우리가 처한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