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3세 소아폐렴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폐렴의 정의와 중요성
1.2. 사례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폐렴의 이해
2.1. 정의
2.2. 병태생리 및 원인
2.3. 발생 빈도
2.4. 증상
2.5. 진단
2.6. 치료 및 간호
2.7. 합병증
3. 사례연구
3.1. 간호력 사정
3.2. 간호진단
3.3. 간호과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폐렴의 정의와 중요성
폐렴은 폐 실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임상적으로는 발열 및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과 함께 청진상의 이상소견이 관찰되거나 흉부 방사선의 이상 소견이 보일 때 정의할 수 있다."
주로 바이러스 및 세균 등에 의한 감염증에 의하여 발생하지만, 드물게 이물질 및 음식물 등이 기도로 넘어가서 발생하는 흡인성 폐렴 및 방사선 치료,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폐렴도 발생할 수 있다."
폐렴은 소아기의 이환율과 사망률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가장 흔한 감염성 질환 중의 하나이다."
1.2. 사례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폐렴은 폐 실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아동기에 흔히 발생하며, 영아와 어린 아동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 또한 폐렴은 우리가 흔히 걸리는 감기나 기관지염의 합병증으로 호흡기계 환자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합병증 또한 많이 발생되어 전 세계 인구의 주요 사망 원인의 질병이다. 폐렴은 적절한 치료를 빨리 한다면 1~2주 안에 회복이 되지만, 면역력이 낮은 소아의 경우 회복이 늦어지고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폐렴은 가벼운 질병으로 생각하여 쉽게 간과할 수 있는 질병 중 하나이지만, 알고 보면 사망할 수도 있는 무서운 질병일 수도 있다. 하지만 폐렴에 대한 사전 예방과 적절한 치료를 통하여 충분히 관리한다면 초기치료가 가능한 질병이므로 우리 실생활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소아과 실습을 통하여 폐렴 진단을 받은 아동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질환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방법 및 적절한 간호를 이해하고, 간호과정을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과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고, 적절한 간호수행을 위한 지식함양과 대상자의 회복을 돕는 것이 이 사례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다.
2. 폐렴의 이해
2.1. 정의
폐렴은 폐 실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임상적으로는 발열 및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과 함께 청진상의 이상소견(예: 나음, 거친 호흡음, 호흡음 감소 등)이 관찰되거나 흉부 방사선의 이상 소견(예: 폐음영의 증가 등)이 보일 때 정의할 수 있다.
주로 바이러스 및 세균 등에 의한 감염증에 의하여 발생하게 되지만, 드물게 이물질 및 음식물 등이 기도로 넘어가서 발생하는 흡인성 폐렴 및 방사선 치료,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폐렴도 발생할 수 있다.
폐렴은 소아기의 이환율과 사망률의 중요한 원인이 되는 가장 흔한 감염성 질환 중의 하나이다.
2.2. 병태생리 및 원인
폐렴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폐렴의 시작은 호흡세기관지와 폐 실질에 병원체가 침범하여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폐 조직이 손상되면 가래가 더 많이 생성되고, 잘 빠지지 않아 폐 안에 고인다. 결국 손상을 받은 폐 조직은 병원체가 자라기 좋은 환경이 되어 염증을 일으키고 폐를 망가뜨리는 악순환을 밟게 된다. 손상 정도가 큰 경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산소를 받아들이는 본래의 기능이 방해 받아 호흡부전, 빠른 호흡, 저산소증이 나타난다.""
소아의 경우 기도의 지름이 작고 가래 배출의 측부 순환로가 잘 발달되지 않아서, 심하지 않은 염증에도 기관지가 가래로 쉽게 막힐 수 있다. 폐렴이 발생하면, 가래 배출이 원활치 않아 폐허탈도 쉽게 오는 등, 쉽게 악순환에 빠지기도 한다.""
폐렴의 원인은 연령에 따라 분포가 다르며 호흡기 바이러스가 30-67%를 차지한다. 영아의 폐렴 발생은 대부분 집,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에서 유행양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바이러스에 의해 폐의 방어 기전이 손상되면 상기도에 잠재되어 있던 세균이 하기도를 침범하여 2차 세균 폐렴을 일으킬 수도 있다.""
2.3. 발생 빈도
늦은 가을과 겨울에, 바이러스성 또는 감기로 인해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폐렴의 발생빈도가 높다""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폐렴은 항생제요법에 효과적으로 반응하지만 빈도에서는 병원에서 감염된 폐렴보다 흔하다"" 병원에서 감염된 폐렴은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소아 폐렴 [pneumonia in children]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소아폐렴
NANDA 간호진단 (2018-2020)
아동청소년 간호학Ⅱ 수문사 폐렴
기본간호학Ⅰ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의 정상범위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비전형 세균 감염증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2 : 감염, 2013. 4. 15.)
주제와 관련된 증례, 논문, 신문기사 등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91212/98766477/1
https://m.blog.naver.com/tnsghk0303/221709086047
http://www.knn.co.kr/18474
출처
소아 폐렴 정의, 원인, 증상, 합병증, 예방방법 등,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9740&cid=51007&categoryId=51007&anchorTarget=TABLE_OF_CONTENT1#TABLE_OF_CONTENT1
김영혜, 권봉숙 외(2018),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페니라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34512&cid=51000&categoryId=51000
독시사이클린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79181&cid=59913&categoryId=59913
프레드니솔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6488&cid=59913&categoryId=59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