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어휘 교육의 기초
1.1. 기존의 연구
1.1.1. 국내
국내 어휘 교육 연구의 경향은 크게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기초어휘 선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기본 어휘들을 선정하고 체계화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왔다""
다음으로 어휘 교육의 내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관용어 교육, 구어 텍스트 교재 활용, 연어 관계 어휘 학습법 등이 주요 연구 주제였다""
어휘 교육 방법론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유의어 변별 지도법, 어휘 제시 및 연습 방법, 의미장을 활용한 집중 학습법, 어휘 학습 전략,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교수법, 코퍼스 분석을 통한 연어 관계 연구, 대조 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어휘 교육, 한자어 교수법 등 다양한 방식의 어휘 교육 방안들이 제시되어 왔다""
또한 한국어 사전편찬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는데, 한국어 의미 사전, 외국인을 위한 학습사전, 이중언어 학습사전 등의 개발과 용언의 불규칙 활용형 선정 문제 등이 다루어졌다""
이처럼 국내에서는 어휘 교육의 기초, 내용, 방법론, 교육용 자료 개발 등 어휘 교육 전반에 걸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1.1.2. 국외
국외에서의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어휘교육에 대한 유용론과 무용론이 대립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무용론자들은 어휘 교육이 소용없다고 보았는데, Fries(1945)는 외국어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발음과 문법이지 어휘 학습은 부차적이라고 주장했다. 즉 내용어는 조금만 배워도 되고 기능어만 잘 알면 된다는 입장이었다. 영국에서도 어휘에 대한 관심은 있었지만 학습자 요구보다는 단어 빈도와 유효성에 초점을 맞췄다.
하지만 유용론자들은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적정량의 어휘 습득이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Rivers(1983)는 제2언어 사용을 위해 어휘 습득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고, Wilkins(1972)도 문법 없이도 의미 전달이 가능하지만 어휘 없이는 의미 전달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어휘에 대한 관심이 부활하면서 어휘 의미론적 관점이 도입되었고, 어휘가 언어 기술의 하나라는 입장이 등장했다.
국외 연구에서는 어휘교육의 방법이나 기술, 재료에 대한 연구, 기초어휘에 대한 연구,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 전략 연구, 어휘 의미론의 적용, 컴퓨터를 이용한 어휘 연구, 사전 사용과 관련된 어휘교육 등이 주요 연구 주제였다고 볼 수 있다.
1.2. 어휘와 어휘교육
1.2.1. 어휘 학습
어휘 학습은 한국어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학습자의 입장에서 볼 때, 한국어 학습에 있어 어휘 학습이 가장 어려운 과제 중 하나이다.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단위는 단어뿐만 아니라 어절, 구, 관용구 등 어휘소 개념으로 보며 다양한 유형의 어휘 항목들을 포함한다. 어휘 유형으로는 구조적 기준에 따른 단일어, 파생어, 복합어, 관용구와 의미 관계에 따른 유의어, 반의어, 상위어, 하위어, 다의어 등이 있다.
유의어의 경우 관련어 정보 제공, 선택 제약이나 격틀의 차이 제공, 정도의 상관관계 이용, 연어 관계의 차이 등을 통해 변별 교육할 수 있다. 반의어는 상보성, 역성성, 양립불가성, 차등성 등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위어와 하위어의 관계를 활용한 어휘 확장 교육이 가능하며, 다의어의 경우 기본 의미, 의미 빈도, 학습 유용성 등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해 교육할 수 있다.
어휘 학습에 있어 대조 분석의 중요성도 강조된다. 초기 어휘는 모국어와의 번역 짝 연합으로 암기되나, 이 과정에서 과잉 및 과소 확장, 문화 차이 등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모국어와 목표어 간 개념은 같지만 어휘로 다르게 표현되는 경우, 또는 의미가 상이한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대조 분석이 필요하다.
한편 어휘와 문법의 연관성도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간투사, 어휘적 높임법, 분류사 등 문법 범주와 연계해서 학습해야 하는 어휘 항목들이 있다.
이처럼 어휘 학습은 단순한 단어 암기가 아니라 발음, 철자, 의미, 통사, 화용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어휘 교육이 필요하며,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 교수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
1.2.2. 교육용 기본어휘
교육용 기본어휘는 제2언어의 단어를 습득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제2언어의 단어를 안다는 것은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