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어휘교육론
- 최초 등록일
- 2021.09.07
- 최종 저작일
- 2020.0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기존의 연구
1.1 국내
1.2 국외
2. 어휘와 어휘교육
2.1 어휘 학습
2.2 교육용 기본어휘
3. 어휘 교수 방안
3.1 정의하기와 의미 교수
3.2 영역별 교수 방안
4. 교실에서의 어휘 학습 활동
5. 맺음말
본문내용
1. 기존의 연구
1.1 국내
◯ 기초어휘 선정 연구
◯ 어휘 교육의 내용에 관한 연구: 관용어 교육, 구어 텍스트 교재, 연어 관계(collocaton)
어휘 중심 학습법
◯ 어휘 교육 방법론에 대한 연구: 유의어 변별, 어휘 제시 방법, 어휘 연습 방법, 의미장을 활용한 집중 학습, 어휘 학습 전략(파생어 습득, 다의어 습득),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교수 방법, 코퍼스(corpus)를 통해 분석을 통한 연어 관계, 대조 언어적 관점에서 어휘교육, 한자어 교수 방안
◯ 사전편찬에 대한 연구, 한국어 의미 사전, 외국인을 위한 학습사전, 이중언어 학습사전, 용언의 불규칙 활용형이 표제어 선정
1.2 국외
◯ 어휘교수 유용론과 무용론
무용론: 구조주의 접근법, 청각구두식 교수법. Fries(1945) 외국어를 배우는 데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은 소리 체계와 문법구조를 배우는 것이지 어휘를 배우는 것은 아니라고 보고 통어적 구조를 연습하는 데 필요한 어휘만 알고 있으면 충분하다고 보았다. 즉, 기능어, 대용어, 부정어와 긍정어는 완전히 알아야 하지만 내용어 (content word)는 조금만 알아도 된다는 입장이다. 어휘교육에 부정적인 학자들은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단어를 예측할 수 없으며, 어휘 학습은 어휘의 축적일 뿐이라는 인상을 주며 회상에 시간이 걸리는 것은 과도한 어휘교육의 결과라고 보았다. 1960년대의 변형문법 역시 어휘는 주변적인 것이며 질서 있는 문법의 불규칙한 부분으로 여겼다. 영국에서는 어휘에 대한 관심은 있었지만 학습자나 학습자 요구에 관심을 둔 것이 아니라 빈도와 유효성에 관심을 둔 입장이었다.
유용론: 의사소통 접근법, 자연접근법, Rivers(1983)에서는 성공적인 제2언어의 사용을 위해서는 적당량의 어휘 습득은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Wilkins(1972)도 “문법이 없어도 의미가 거의 전달되지만 어휘가 없으면 의미는 전혀 전달되지 않는다.”고 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