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남녀에 따른 차이
1.1.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남녀 차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남녀 차이는 다음과 같다. 고려시대에는 남녀 출생 순서에 상관없이 균분 상속이었으며, 여자도 제사를 모실 수 있었고 연애도 자유로웠으며 재혼 또한 자유로웠다. 신라시대에는 동성애 또한 아무렇지 않은 것으로 여겨졌고, 화랑도가 동성애 집단이었다는 설도 있다. 이 당시 자식이 없자 진골에게 왕권을 넘겨주지 않고 성골인 여자가 왕이 된 경우도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선덕여왕과 진덕여왕이 있었다. 하지만 조선시대 이후 유학의 영향으로 가부장제가 강화되면서 여성의 지위가 낮아지게 되었다.
1.2. 현대 사회의 남녀 차이
1.2.1. 출산과 육아에서의 차이
출산과 육아에서의 차이는 남녀 간 생물학적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여성은 임신과 출산을 직접 경험하는 반면, 남성은 그 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출산과 육아에 있어 여성이 큰 부담을 지게 된다.
여성은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많은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겪게 되며 이는 여성의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임신과 출산으로 인해 여성은 업무 공백이 발생하기 쉽고, 이는 경력 개발에 장애가 될 수 있다. 또한 출산 이후에도 여성은 육아와 가사 노동의 부담을 대부분 담당하게 되어 남성에 비해 경력 단절이나 직장 생활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반면 남성은 임신과 출산의 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아 신체적, 정신적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출산과 육아로 인해 남성의 경제활동과 직장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최근 들어 남성의 육아 참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긴 하지만, 여전히 여성 중심의 육아 문화가 지배적이다.
이처럼 출산과 육아에서의 남녀 차이는 여성에게 더 큰 부담을 지우게 되며, 이는 여성의 경력 개발과 직장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적 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2. 직장 내 승진과 임금에서의 차이
직장 내 승진과 임금에서의 남녀 차이는 여전히 큰 문제점으로 존재한다.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여성 평균임금은 2012년 기준 남성임금보다 37% 적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이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