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천식, 35년 흡연 , 가슴조임증상, 과호흡, 천명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만성 폐쇄성 폐질환
1.1. 정의
1.2. 병인 및 역학
1.3. 병태생리
1.4. 증상 및 징후
1.5. 진단검사
1.6. 치료
1.6.1. 내과적 치료
1.6.2. 호흡요법
1.6.3. 물리요법
1.7. 천식
1.7.1. 정의
1.7.2. 원인
1.7.3. 증상 및 징후
1.7.4. 진단
1.7.5. 치료
1.8. 기관지 확장증
1.8.1. 정의
1.8.2. 원인
1.8.3. 증상 및 징후
1.8.4. 진단
1.8.5. 치료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만성 폐쇄성 폐질환
1.1. 정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기종으로 인해 초래되는 환기장애로 정의된다.""과거에는 천식이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속했으나 현재는 천식이 복잡한 세포성, 화학성 중재인자가 개입되어 있는 염증이므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서 분리되었다.""
1.2. 병인 및 역학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병인 및 역학은 다음과 같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크게 두 가지 요인, 즉 만성 기관지염과 폐기종으로 인해 발생한다. 만성 기관지염의 주요 원인은 흡연이며, 이외에도 공기 오염, 알파-1 항트립신 결핍, 천식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폐기종의 주된 원인은 흡연이며, 알파-1 항트립신 결핍, 환경적 위험 요인, 유전적 요인 등이 관여한다.
역학적으로 볼 때,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주로 40세 이상의 중장년층에서 호발하며, 특히 흡연력이 있는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편이며, 이는 늘어나는 고령 인구와 흡연 인구 증가로 인해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대기 오염이 심각한 지역에서 발병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병태생리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만성기관지염의 대표하는 두 가지 병리적 변화는 점액-분비선의 비대와 기관지 내의 만성염증성 변화이다. 만성 자극으로 인한 점액분비선의 비대와 증식은 과도한 점액생산의 원인이 된다. 과도한 점액분비와 부적절한 섬모운동은 감염의 민감도를 증대시키는 만성기관지염과 연관된다. 가장 흔한 감염성 병원균은 streptococcus pneumoniae와 haemophilus influenzae이다. 박테리아가 증식되면 박테리아가 중성의 독성 화학물질을 분비하고 화농세포가 기관지 상피세포들 사이로 이동하여 관강 내에 점액화농성의 삼출물을 생산하고 기관지 벽의 궤양과 파괴가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기관지의 육아조직 생산과 섬유화로 기도의 협착과 폐쇄가 초래된다. 만성 기관지염 환자는 기관지 벽 조직의 변화, 점액부종과 과도한 점액생산의 결과로 기도저항이 증가된다. 과도한 점액은 공기의 흐름을 차단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관지 경련을 유발하여 더욱 기도저항을 증가시킨다. 기도가 폐쇄되면 산화된 공기의 양이 폐포에 적게 도달하여 폐포 모세혈관막의 환기/관류율이 불균형을 초래한다. 이와 함께 기도가 폐색되면 무기폐가 유발되어 호흡에 필요한 계면활성제가 더욱 더 감소한다. 이러한 병태생리적 변화로 과탄산증, 저산소혈증, 호흡성 산증이 유발된다. 다음으로 우심실의 대상부전(폐인성 심질환)이 일어난다. 만성 기관지염과 전형적으로 관련되는 과탄산증과 저산소혈증은 폐혈과 수축을 유발한다. 증가된 폐혈관의 저항은 폐고혈압을 일으키며, 이 우심실의 혈관압이 증가된다.
폐기종은 폐포벽의 파괴적 변화와 말초부위의 비호흡성 세기관지의 원위부위에 공기방이 비대해지는 것으로 정의된다. 폐순응도 증가, 확산능력 감소 및 기도저항성 증가 등의 생리적 특성을 가진다. 이는 주로 중성구나 폐포 대식세포에서 유리되어 나온 proteases가 폐결합조직의 파괴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흡연은 알파항트립신(AAT)의 억제능력을 직접 차단하고 폐포 대식세포에 친화적 효과로 중성구를 과도하게 생산한다. 이 중성구는 폐의 elastin을 파괴시키는 elastase를 방출한다. 또한 흡연은 기도폐색을 가져올 수 있는 점액분비세포의 과도증식과 세기관지염을 수반한다. AAT가 부족한 사람은 젊은 시절부터 폐기종이 발병하여 심한 불능을 가져오는 수포성 폐기종으로 진전된다.
폐기종의 종류는 형태학적으로 중심폐엽성 폐기종과 범폐엽성 폐기종의 2가지 유형이다. 중심폐엽성 폐기종은 폐중심 부위에 있는 호흡성 세기관지의 팽창과 손상이 있고 세기관지의 벽에 구멍이 생기며 폐상부에서 더 심하게 나타난다. 범폐엽성 폐기종은 폐세엽 내의 폐포들이 일정한 모양으로 커지고 파괴되는 특징이 있다. 범폐엽성 폐기종은 폐하부 전체에 퍼져 더욱 심하며, 만성 기관지염이나 폐기능 장애가 없는 노인에게서 발견된다. AAT 결핍이 있는 사람에게서 특징적으로 발견된다.
폐기종의 주요 병태생리적 변화는 다음과 ...
참고 자료
이옥철 외 공저, 응급 및 재난 간호, 현문사, 2020년, p138~143, p221~222
급성 천식 악화의 치료 지침,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2
종합질병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compreDis/RS01/6.do
국가건강정보포텅, 질병관리본부 https://health.cdc.go.kr/health/ReferenceRoomArea/WordSearch/View.do?code=ZL9Wkw6j1zQJA1F19qYQBA==_~_xbZqfRCEzXPOKOk6+goW9g==
기관지천식, 병원간호사회 http://www.khna.or.kr/homecare/baby_em/babyem_13.php
윤은자 외. (2021). 성인간호학 I(9판개정). 수문사
윤은자 외. (2021). 성인간호학 II(9판개정). 수문사
송영신 외. (2021). 기본간호학I. 수문사
송영신 외. (2021). 기본간호학II. 수문사
이영휘 외. (2020). 성인간호학1. 학지사메디컬
김근순 외. (2017). 성인간호학2. 수문사
Lewis 외. (2010). 성인간호학1. 현문사
Lewis 외. (2010). 성인간호학2. 현문사
서문자외, 성인간호학 하, 수문사
김약수외, 병리검사매뉴얼, 고문사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모스비 의학간호학대사전」. 도서출판 현문사(2004)
서울대학교 약제부 홈페이지 (http://pharm.snuh.org/formulary/index.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