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상자 정보
1.1. 김**
김**은 65세 여성 환자로, 양측 무릎관절 골관절염(Both. Knee Osteoarthritis) 진단을 받고 입원하였다. 왼쪽 무릎의 내측 반월상 복합 파열과 오른쪽 무릎의 횡측 반월상 후 수평 파열, 그리고 내측 연골 병변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2023년 10월 20일 양측 전치환술(Total Knee Replacement, TKR)을 받았다.
환자는 10년 전부터 지속되어 온 양측 무릎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7년 전부터는 지팡이를 사용하며 보존적 치료를 받아왔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결국 수술적 치료를 결정하게 되었다. 수술 후 통증 지속과 불안정한 보행 등의 문제가 관찰되었다.
김**의 입원 전 식이는 당뇨 식이(1600kcal)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BMI는 28.96으로 비만 상태였다. 수술 후 양측 무릎 수술 부위에 상처가 있었고, 욕창 위험도 점수는 20점으로 '고위험'에 해당하였다. 그 외에 foley 카테터와 PCA(Patient Controlled Analgesia) 펌프, DVP 펌프 등이 적용되어 있었다.
수술 후 경과에서 김**은 다음과 같은 주요 문제를 보였다:
1. 통증: 수술 후 3일차부터 5일차까지 무릎 통증이 지속되었다. NRS 5점 수준의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고, 이로 인해 보행이 어려운 상태였다. 통증 악화 시 타마돌 주사제(50mg)를 투여하고 냉찜질, 심호흡 및 이완요법 등의 비약물적 중재를 제공하였다.
2. 낙상 위험: 고령(65세), 고혈압 진단, 불안정한 보행 등의 요인으로 인해 낙상 위험이 높은 상태였다. 침상 난간을 항상 올려두고, 보조기구 사용 및 보조인력 동행 등을 통해 낙상 예방에 힘썼다.
3. 감염 위험: 수술 후 3일차부터 5일차까지 CRP가 11.1에서 4.0으로 상승하여 감염 징후가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세파졸린 항생제 투여와 더불어 철저한 무균술 준수, 상처 드레싱 등의 감염 관리 중재를 시행하였다.
4. 불안정한 혈당: 수술 후 4일차 BST가 208mg/dL까지 상승하는 등 혈당 조절이 불안정하였다. 테넬리아 경구약을 투여하고 혈당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혈당 관리에 힘썼다.
5. 불이행: 보조기 착용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여 보조기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보조기 사용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착용 여부를 확인하였다.
6. 배뇨장애: 수술 후 5일차부터 7일차까지 소변 배출량이 200mL 정도로 감소하는 등 배뇨 장애가 관찰되었다. 이에 자트랄엑스 10mg 투여와 함께 수분 섭취 독려, 소변 배출 관찰 등의 중재를 제공하였다.
7. 수면양상장애: 동일 병실 환자로 인한 소음으로 수면 장애가 발생하였다. 조용한 환경 조성과 수면제 투여로 수면 증진을 도모하였다.
8. 변비: 수술 후 부동으로 인해 변비가 발생하였다. 마그밀 제제 투여, 섬유질 섭취 증진, 보행 격려 등으로 배변 양상 개선을 시도하였다.
이처럼 김**은 고령, 비만, 기저질환 등의 요인으로 인해 수술 후 다양한 합병증 및 건강문제를 경험하였다. 이에 따라 통증 관리, 낙상 예방, 감염 관리, 혈당 관리, 건강교육, 배뇨 관리, 수면 증진, 배변 관리 등 포괄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였다.
1.2. 이**
이**은 58세 여성으로, 주 진단명은 "Derangement of meniscus due to old tear or injury, medial meniscus"이다. 그는 한 달 전부터 우측 무릎 통증을 호소하다가 증상이 지속되어 2023년 9월 4일 입원하였으며, 9월 5일에 절골술 및 체내금속고정술을 받았다.
이**의 주요 건강문제 및 상태는 다음과 같다.
무릎 통증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이**은 한 달 전부터 우측 무릎 통증이 있었으며, 수술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어 걸음걸이가 불편한 상태이다. NRS 점수가 수술 후 1~2점 정도로 지속되고 있어 통증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이**은 절골술 및 체내금속고정술을 받은 후 수술 부위의 통증이 지속되고 있다. 수술 후 1-2일차에는 NRS 점수가 3-5점 정도로 높았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신체 불편감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 이**은 수술 후 다리의 통증과 불편감으로 인해 보행이 불안정한 상태이다. 낙상 위험이 있어 보행 시 주의가 필요하며, 보조기 착용과 보행 연습이 요구된다.
불안정한 혈당 수치의 위험: 이**은 수술 후 고혈당 상태를 보였다. 따라서 혈당 모니터링과 적절한 혈당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보조기 착용과 관련한 지식부족: 이**은 수술 후 보조기 착용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보조기를 착용하지 않은 채 활동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이**은 무릎 통증, 수술 후 통증, 낙상 위험, 혈당 관리, 보조기 착용에 대한 지식부족 등의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통증 관리, 낙상 예방, 혈당 관리, 건강교육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3. 윤**
윤**은 57세 남성 환자로, L4-5 foraminal stenosis(우측)을 진단받고 입원하였다. 주 호소는 "우측 엉치가 아프고 우측 발과 발목에 힘이 안 들어간다"는 것이었다.
최근 1주일 전부터 휠체어를 타고 내원하였으며, 대퇴 후방의 통증이 심해져 걸을 수 없는 상태였다. 외부 클리닉에서 주사 치료를 받았지만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입원하게 되었다.
환자의 과거력을 살펴보면, 2년 전 김장 후 발생한 증상으로 개인병원에서 도수치료를 받았으나 1달 전부터 다시 악화되었다. 또한 10년 전 중풍 진단을 받았고, 8년 전부터 전립선 비대증(BPH)을 앓고 있었다. 그리고 3년 전 위암 수술을 받은 적이 있었다.
입원 당시 시행한 검사 결과, MRI 검사에서 L4-L5 추간판 탈출증 및 퇴행성 척추증이 관찰되었다. 또한 CT 검사에서 T12, L2, L4의 압박골절과 퇴행성 변화가 확인되었다.
입원 이후 윤**의 주요 문제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병과 관련된 급성 통증이다. 수술 전 L5-S1 block 시행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어 NRS 5점 수준의 중증 통증을 호소하였다. 특히 보행 시 우측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의 통증이 심하였다.
둘째, 질병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이 있었다. 통증으로 인해 불안정한 보행이 관찰되었고, 보조기 착용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수술과 관련된 변비 문제가 있었다. 수술 후 4일째까지 배변이 이루어지지 않아 약물 중재가 필요하였다. 이는 신체활동 저하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넷째, 배뇨장애 문제가 있었다. 과거력상 전립선 비대증을 앓았던 환자로, 수술 후에도 배뇨 곤란을 호소하였다. 이에 따라 일일 배뇨량 확인과 약물 투여가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수술 후 수면양상 장애가 관찰되었다. 동일 병실 내 다른 환자로 인해 불편감을 호소하며 수면제 투여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간호중재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증 관리를 위해 진통제 투여와 더불어 냉찜질, 심호흡 등의 비약물적 중재를 제공하였다.
둘째, 낙상 예방을 위해 보조기 사용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안전한 보행을 위한 지지와 격려를 제공하였다.
셋째, 감염 관리를 위해 주기적인 활력징후 측정과 함께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또한 수술 부위 드레싱 및 상처 관찰을 수행하였다.
넷째, 혈당 관리를 위해 규칙적인 혈당 측정과 처방된 경구 당뇨약 투여를 시행하였다. 아울러 식이 조절과 활동 격려도 병행하였다.
다섯째, 배뇨 문제 해결을 위해 배뇨량 확인, 수분 섭취 권장, 그리고 처방된 전립선 약물 투여를 실시하였다.
여섯째, 수면 증진을 위해 환경 조절, 이완 요법 교육, 그리고 필요 시 수면제 투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변비 예방을 위해 규칙적인 배변 습관 형성, 섬유질 섭취 증진, 그리고 처방된 완화제 투여를 중재하였다.
이처럼 윤**은 척추 질환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겪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였다. 특히 통증, 낙상 위험, 배뇨장애 등의 문제는 환자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요구되었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교육과 상담을 통해 환자의 자가 간호 능력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었다.
1.4. 차**
차**은 77세의 남성 환자로, 2023년 10월 19일 입원하였다. 그의 주된 진단명은 L4-5 lateral stenosis (우측 부위)이다.
차**은 지난주부터 휠체어를 이용해 내원하였으며, 우측 대퇴 후방부의 통증이 심하여 걸을 수 없는 상태였다. 외부 클리닉에서 주사 치료를 받았지만 호전이 없어 내원하게 되었다.
차**의 과거력을 살펴보면 2년 전 위암 진단을 받았으며, 마지막 추적관찰은 2023년 9월 21일에 이루어졌다. 또한 3년 전 골다공증 진단을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