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담낭염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2.1. 병태생리 및 원인
2.2. 임상 증상
2.3. 진단적 검사와 간호
2.4. 치료
2.5. 간호중재
2.6. 합병증 및 예후
3. 사례연구
3.1. 대상자 사정
3.2.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 담낭염은 주로 담석이 담관을 막았을 때 생기며, 그 외에도 대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 외부로부터 심한 충격을 받은 사람, 간흡충증이 있는 사람, 당뇨환자에게 잘 발생한다. 담관이 막히면 담즙의 농도가 짙어져 염증이 생기며, 이 부위가 대장균 등 세균에 감염되어 급성 염증이 발생한다. 증세는 오른쪽 윗배 부위가 심하게 아프며, 가스가 찬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제대로 치료하지 않을 경우 2~7일이 경과하면서부터 담낭천공, 담낭농양, 담낭괴사 등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으며 드물게는 담낭공장루, 담낭위루가 생기기도 한다. 이에 Case Study를 통해서 담낭염에 대한 병태생리 및 원인, 증상, 합병증에 대한 치료 및 간호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병태생리 및 원인
담낭염은 대부분 담석에 의해 발생하지만, 담석이 없이도 발생할 수 있다. 담낭염의 병태생리 및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부분의 담낭염(약 90% 이상)은 담석증과 관련이 있다. 담석이 담낭관의 입구를 막으면 담낭 벽에 염증이 시작되고 담즙이 정체되며, 이차적으로 세균이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원인이 되는 세균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대장균이며, 그 외에 포도상구균, 연쇄구균, 폐렴간균 등이 있다.""
한편, 담낭염의 5~10%는 비결석성 담낭염으로 나타난다. 이 경우 담낭의 혈류 저하 또는 세균의 림프관이나 혈류를 통한 침입으로 인해 발생한다. 비결석성 담낭염의 주요 원인균은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장내세균 등이다.""
또한, 기계적 염증과 화학적 자극에 의한 염증도 발생할 수 있다. 담낭 점막이나 담낭 벽에 산소 공급이 감소하여 허혈성 변화가 유발되거나, 담즙 내 lecithin이 phospholipase에 의해 lysolecithin으로 분해되면서 담낭벽을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담낭염은 대부분 담석으로 인한 담관 폐쇄와 관련이 있지만, 비결석성 요인과 기계적, 화학적 자극 등 다양한 원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2. 임상 증상
급성 담낭염 환자의 약 3/4은 과거에 담도산통(biliary colic)을 경험했던 병력이 있다고 한다. 급성 담낭염은 담도산통 증상으로 시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도가 심해진다. 오른쪽 윗배에 국한되는 압통이 발생하고, 부분적으로 복막자극의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 흔히 오심, 구토가...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Ⅰ윤은자 외 (2021)- 수문사 p545~p552
네이버 지식백과, “담석증”, “복강경 담낭 절제술”
성인간호학 1 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외 2명 저 수문사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간호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JUDITH M. WILKINSON 저 김조자 역 현문사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21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21
이은희 외 공저,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2021
드러그인포 약품요약정보 https://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