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최종 모의수업지도안
1.1. 인적사항
이름은 아이디이며, 초급 상(후반부) 수준의 외국인 학생 6명을 대상으로 하는 모의수업지도안이다. 학생들의 국적, 성격, 관심사 등 개인 정보가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를 통해 교사는 학생들의 특성을 잘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수업을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1.2. 학습 정보
1.2.1. 학습 대상
학습 대상은 초급 상(후반부) 수준의 외국인 학생 6명이다. 구체적으로는 미유(중국, 여, 성격이 밝고 적극적), 미셸(영국, 여, 소극적이고 말수가 적음), 알렉스(호주, 남, 소극적이지만 듬직한 스타일), 아예(인도네시아, 여, 한국 음식을 좋아하는 화교), 꾸헝(베트남, 남, K-pop을 사랑하는 1인), 로라(필리핀, 여, 한국 드라마를 좋아함) 등이다."
1.2.2. 학습 목표
'1.2.2. 학습 목표'는 외국인 학습자 6명의 수준이 초급 상(후반부)이며, 'A/V-잖아요'를 사용하여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확인하거나, 상대방이 모르는 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것이다.""
1.2.3. 학습 자료
주 교재(세종한국어4), 그림 카드, PPT, 문형 카드, 연습지, 판서는 교사가 이번 수업에서 사용할 학습 자료이다.
세종한국어4는 주 교재로 사용되며, 그림 카드와 PPT는 교사가 문법 항목을 제시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시각 자료이다. 또한 문형 카드와 연습지는 학습자들의 실습을 위해 제공되며, 판서는 교사가 수업 내용을 정리하고 시각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사용할 것이다.""
1.3. 교수-학습 활동
1.3.1. 도입
교사는 수업 도입 단계에서 학생들과 라포를 형성하고, ~(으)ㄴ 적이 있다/없다 문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경험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것으로 보인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직접 질문을 하며 학생들의 경험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대답하는 학생들의 이름을 언급하여 개별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 있다. 또한 교사는 학습 목표를 제시하여 이번 시간 수업의 방향을 명확히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도입 단계에서 교사가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3.2. 제시
[제시]
학생들에게 목표 문법인 'A/V-잖아요'의 의미와 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먼저 PPT를 활용하여 'A/V-잖아요'가 상대방이 모르는 정보를 알려줄 때나,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확인할 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PPT에 제시된 대화 예문을 통해 학생들이 'A/V-잖아요'의 사용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어서 교사는 'A/V-잖아요'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동사, 형용사, '명사+이다' 뒤에 결합하며, 받침 유무에 따라 '-잖아요' 또는 '-이잖아요'로 달리 사용된다는 점을 문형 카드와 PPT를 통해 제시한다. 학생들은 함께 문형 카드를 읽으며 이를 익힌다.
이처럼 'A/V-잖아요'의 의미와 문법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해당 문형의 용법을 이해하고 실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교사는 학생 발화를 즉시 피드백하여 오류를 수정하고, 학습 내용을 반복적으로 확인한다.
1.3.3. 연습
연습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PPT와 문형 카드를 활용하여 'A/V-잖아요' 문형을 직접 사용해보는 활동이 진행된다. 먼저 PPT에 제시된 대화 예문을 통해 교사와 학생이 번갈아가며 문형을 연습한다. 교사는 'A/V-잖아요'의 용례를 다양하게 보여주어 학습자들이 문형의 의미와 사용법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학습자들은 PPT에 제시된 문장을 완성하는 활동에 참여하며, 동료와 함께 대화를 만들어보는 실습을 진행한다.
교사는 학습자들이 문장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경우 즉시 피드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