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 약물복용 지식부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의 약물 오남용
1.1. 실태
1.2. 원인
1.2.1. 투약 오해
1.2.2. 라벨 이해 능력 부족
1.3. 대안
1.3.1. 사정
1.3.2. 관리
1.3.3. 평가
1.4. 사례
2. 노인의 우울 및 약물관리
2.1. 노인의 우울
2.1.1. 병인론
2.1.2. 임상증상
2.1.3. 진단 및 검사
2.1.4. 치료
2.1.5. ICT 기반 노인간호
2.2. 노인대상자 약물관리
2.2.1. 개요
2.2.2. 임상증상
2.2.3. 진단 및 검사
2.2.4. 간호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의 약물 오남용
1.1. 실태
노인의 약물 오남용 실태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서울대 약학대학 연구팀(2005)이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전체 약품의 32%를 노인 인구가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약품의 약 3분의 1을 넘는 수치이다. 또한 부작용이 높아 노인에게 위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부적절한 약물을 복용하는 비율이 절반을 넘게 차지하고, 이는 곧 한 명 당 한 가지 이상 사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노인의 약물 오남용이 젊은 세대보다 더 심각하다고 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준다.
1.2. 원인
1.2.1. 투약 오해
건강 지식이 부족한 노인의 경우 투약에 대한 오해가 생겨 잘못된 복용 습관으로 약물 오남용 위험이 있다. 이들은 건강에 좋다고 하는 식품, 보조제를 다량 복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의사의 진단과 처방 없이 추가적인 약과 보조제를 함부로 오용할 수도 있다. 이는 노화로 인해 학습 능력이 부족하거나 문해력이 낮아 약물 정보를 정확히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노인들은 약을 언제 먹어야 하는지, 오늘 약을 먹었는지 등에 대해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1.2.2. 라벨 이해 능력 부족
노인의 경우 나이가 들수록 학습 능력과 문해력이 저하되어 약물 라벨을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시력 저하나 기억력 저하로 인해 정확한 약물 복용에 실패하는 경우가 흔하다. 실제로 노인들은 약을 언제 먹어야 하는지, 오늘 약을 먹었는지 등에 대해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부적절한 약물 복용으로 이어지게 되고, 약물 부작용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노인들의 약물 복용 능력을 사정하고, 라벨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시력이나 기억력 저하가 있는 노인들에게는 약물 보조 도구의 활용 등 개인별 맞춤 관리가 요구된다.
1.3. 대안
1.3.1. 사정
노인의 약물 오남용을 예방하기 위한 사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약물 목록을 확인하여 노인이 복용 중인 약물 중 약물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특히 약물 상호작용이나 중복 처방 여부, 부작용의 위험성 등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노인들은 여러 질환으로 인해 다양한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약물들 간의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복용 약물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투약 목적에 대한 노인의 인식을 확인해야 한다. 노인들은 건강에 좋다고 하는 식품이나 보조제를 임의로 다량 복용하거나, 의사의 진단과 처방 없이 추가적인 약을 함부로 오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행태를 사전에 파악하여 적절한 교육과 중재가 필요하다.
셋째, 노인의 자가 투약 능력을 사정해야 한다. 기억력, 시력, 운동 능력, 판단력 등 약물을 투약할 수 있는 노인의 능력을 종합적으로 사정하고, 복용 방법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노인의 인지기능과 신체 기능 저하로 인해 약물을 제대로 복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넷째, 신체 기능의 기준선을 측정해야 한다. 약물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노인의 신체 기능 수준을 측정하고, 약물 복용 후에도 부작용은 없는지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이를 통해 약물 투여가 적절한지, 용량 조절이 필요한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노인의 약물 오남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복용 중인 약물 목록을 확인하고, 투약 목적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며, 자가 투약 능력을 사정하고, 신체 기능의 기준선을 측정하는 등 다각도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부적절한 약물 사용을 방지하고, 노인의 안전한 약물 관리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1.3.2. 관리
노인의 약물 오남용에 대한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간호사는 노인의 약물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첫째, 부적절한 약물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다. 노인이 여러 가지 약을 동시에 먹거나 잘못 먹고 있지는 않는지 중간 중간 확인하고, 특히 항우울제나 항콜린제 등은 사용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해 노인의 복용 약물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부작용이나 상호작용의 징후를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둘째, 약의 필요성과 효과를 검토하는 것이다. 간호사는 노인의 복용 약물 중 정말 필요한 약물인지, 최소 용량이 처방되었는지, 유해반응의 위험 요인은 없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 또한 혈액검사 등...
참고 자료
국가정보포털 노인약물복용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국가정보포털 노인우울증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김희정, 김남희, 홍소윤, 권수영, 『ICT기반 노인간호 역량 개발: 우울증 측정 사례를 중심으로』 2018, vol., 20주년 기념 특별호 pp. 119-126 (8 pages)
박미라, 성춘희, 이태경, 『노인약물교육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중요도와 성취도 분석』 Vol.6, 2016, vol.6, no.5, 통권 19호 pp. 69-77 (9 pages)
위성욱, 최금봉, 『지역사회 노인의 다중약물 사용 실태, 약물지식, 약물오남용 행위 및 약물이행도』 2021, vol.21, no.21, pp. 205-216 (12 pages)
이은주, 「다약제 복용과 노인에서 부적절한 약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학위 논문, 2013년, 6쪽
이종경, 「다약제 복용 노인의 약물 오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3권, 2011년, 10쪽
김도훈, 「노인 환자에서의 약물 사용시 주의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세미나』, 28권, 2007년, 7쪽
박영임·이강이·김동옥·엄동춘·김지현, 「지역사회 노인의 약물복용실태와 약물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5권, 2014년, 10쪽
홍창형, 「노인 환자에서의 부적절한 약물처방」, 아주의대 정신과학위 논문, 2009년, 9쪽
조윤숙, 「노인환자의 다약제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 관리」, 『병원약사회지』, 28권, 2011년, 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