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제왕절개술(Cesarean Section)
1.1. 정의
제왕절개 수술(Cesarean Section)은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외과적 술법이다. 이는 자연분만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자연분만이 불가능하거나 위험한 상황에서 산모와 태아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이용되는 분만 방법이다. 의료기술과 장비, 항생제의 발전으로 사망률이 낮아져 심각한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자연분만에 비해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위험은 더 크다.
1.2. 유형
1.2.1. 고전적 절개(Classic type)
고전적 절개(Classic type)는 피부 및 자궁체부 벽을 수직적으로 절개하는 방법이다. 장점으로는 과거 수술로 인한 복부 유착이 있는 경우나 태아가 횡위인 경우 태아 접근성이 좋다는 점이 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자궁근육의 큰 혈관이 절단되어 혈액손실 증가가 나타나고, 차후 분만 시 반흔으로 인해 자궁 파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있다."자궁하부절개(Low segment incision)는 치구 수준에서 피부를 횡으로 자궁하부를 수평으로 절개하는 방법이다. 장점으로는 절개 부위 치유가 쉽고, 혈관분포가 적은 자궁하부를 절개하여 출혈량이 적다는 점, 차후 질 분만 시 자궁근무력 및 반흔으로 인한 자궁 파열의 위험이 적다는 것이 있다."
1.2.2. 자궁하부 절개(Low segment incision)
자궁하부 절개(Low segment incision)는 치구 수준에서 피부를 횡으로 자궁하부를 수평으로 절개하는 방법이다"" 이 절개 방법은 기존의 고전적 수직 절개 방법에 비해 여러 장점이 있다""
첫째, 절개 부위 치유가 쉽다"" 자궁하부는 자궁체부보다 근육층이 얇고 혈관 분포가 적어 절개 후 봉합이 용이하며 치유가 빠르다""
둘째, 혈액 손실이 적다"" 자궁하부는 자궁체부에 비해 혈관이 적게 분포하므로 출혈량이 적다"" 따라서 수술 중 및 수술 후 출혈 위험이 낮다""
셋째, 차후 질 분만 시 자궁근무력 및 반흔으로 인한 자궁 파열의 위험이 적다"" 자궁하부 절개는 자궁체부를 절개하는 고전적 절개 방법에 비해 반흔이 약해 자궁 파열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자궁하부 절개 방법은 절개 부위 치유가 쉽고, 출혈 위험이 적으며, 향후 질식 분만 시 자궁 파열 위험이 낮다는 장점이 있어 제왕절개술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1.3. 적응증
1.3.1. 모체 요인
모체 요인은 제왕절개술의 주요 적응증 중 하나이다. 모체 요인에는 당뇨병, 아두골반 불균형, 태위 이상, 자궁기능부전, 과거 제왕절개분만 경험, 과거 난산으로 인한 연조직 손상, 유도분만의 실패, 생식기 감염, 그리고 기타 임신 합병증 등이 포함된다.
첫째, 모체의 당뇨병은 제왕절개술의 주요 적응증이다. 당뇨병은 태아 체중 증가, 유도 분만의 실패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제왕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다.
둘째, 아두골반 불균형은 가장 흔한 제왕절개 적응증이다. 산모 골반의 크기와 태아 두정부의 크기가 맞지 않아 질식 분만이 불가능한 경우 제왕절개술이 필요하다.
셋째, 태위 이상인 경우 제왕절개술을 고려해야 한다. 둔위나 횡위 태아의 경우 분만 중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제왕절개술이 권장된다.
넷째, 자궁기능부전, 즉 비정상적인 자궁 수축, 자궁경부 개대 불능, 분만 지연 등의 경우에도 제왕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다.
다섯째, 과거 제왕절개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산모는 자궁 반흔으로 인해 다음 임신 시 자궁 파열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제왕절개술이 권장된다.
여섯째, 과거 난산으로 인해 자궁경부 강직, 질 협착, 생식기 반흔 등의 연조직 손상이 있는 경우 제왕절개술을 고려해야 한다.
일곱째, 유도분만에 실패하여 자궁경부가 옥시토신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제왕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다.
여덟째, 산모가 생식기 감염, 특히 음부포진에 감염된 경우 신생아 감염 위험이 높아 제왕절개술을 선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임신성 고혈압, Rh 부적합증, 지능 이상 등 기타 임신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도 제왕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모체 요인으로 인해 제왕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의료진은 산모의 건강 상태와 예상되는 합병증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만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1.3.2. 태아 요인
태아 요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첫째, 태위 이상이다"" 태아가 횡위나 둔위일 경우 정상분만이 어려워 제왕절개술을 필요로 한다"" 둘째, 태아 체중이 3,500g 이상으로 과대하여 골반을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이다"" 이때 태아 크기에 비해 산도가 협소하여 난산이 발생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