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멋진신세계 개요
1.1. 책소개
영국태생의 소설가이자 평론가인 올더스 헉슬리의 대표작 '멋진신세계'는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변화된 세상을 묘사한 미래소설로서, 세계정부가 들어서 모든 인간은 인공수정으로 태어나며 이를 통해 세계인구는 20억명을 유지하고 사람들을 계급에 맞춰 살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에서 인간과 사회의 모습을 풍자적으로 보는 디스토피아(반 유토피아적 세계)의 소설로 개인의 모든 권익을 전면적으로 통제하는 전체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가진 작가의 생각이 내포되어 있다.
1.2. 시대적 배경
작품의 시대적 배경은 미래 사회로, 구체적으로는 1908년에 헨리 포드가 처음 선보인 "포드 시스템" 이 창안된 이후 632년이 지난 시점이다. 포드 시스템은 자동차 생산을 위한 컨베이어 벨트 기반의 대량생산 시스템으로, 이를 통해 자동차 가격을 큰 폭으로 낮출 수 있었다. 이러한 포드 시스템의 도입은 대량생산 체계를 사회 전반으로 확산시켰고, 이는 곧 인간과 사회를 기계화와 대량생산의 논리에 종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작가 올더스 헉슬리는 이러한 기술 진보와 자본주의의 확산이 가져올 미래 사회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았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 과학기술과 경제성장의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인간소외와 개인의 자유 상실의 문제를 경고하고자 했다. 포드 시스템이라는 상징적 기술을 통해 구현된 미래 사회는 철저한 계급 구조와 인간성 훼손이 지배하는 반(反)유토피아적 세계인 것이다.
1.3. 작품 요약
유토피아는 인간이 생각 가능한 최선의 상태인 완전한 사회, 즉 이상향을 말한다. 디스토피아는 유토피아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전체주의적인 정부에게 억압받고 통제받는 사회라는 뜻이다. 이렇게 극과 극의 두 단어이지만 놀랍게도 소설에 두 단어 모두 담겨져 있다. 이러한 의미는 이 소설의 이상향으로 표현되는 문명 세계에 양면성이 있다는 것이다. 문명 세계는 그 세계에서 사는 문명인에게 유토피아로 보여진다. 하지만 모든 문명인들의 복제되는 똑같은 생김새와 "만인은 만인의 것"이라는 전체주의 사상이 드리워져서 문명인들은 오직 행복만을 느끼고 조건반사적 훈련이라는 명목인 세뇌 등으로 길들여진 문명인과는 다른 순응하지 않은 사람들은 문명 세계가 행복하지 않다고 여기고 심지어 어떤 사람은 대항하려 한다. 두 관점을 서술함으로써 완전한 유토피아는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다.
2. 멋진신세계의 사회구조 및 특징
2.1. 계급 구조
멋진신세계의 계급 구조는 알파(α), 베타(β), 감마(γ), 델타(δ), 엡실론(ε)의 5개의 계급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계급은 사회적 지위와 역할, 외모와 성격 등이 구분되어 있다.
알파계급은 지도자와 엘리트 집단으로 가장 우위에 있다. 이들은 뛰어난 지능과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