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드라마인물 심리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등장인물 분석
2.1. 이강토(이영)
2.2. 기무라 겐지
2.3. 오목단
2.4. 채홍주
3. 등장인물의 임상심리학적 평가 및 진단
3.1. 분노와 자기희생
3.2. 환각과 망상
3.3. 부모관계와 가족문제
4. 치료 및 개입 방법
4.1. 약물치료
4.2. 정신치료
5. 영화 '셔터아일랜드'의 주인공 테디의 정신분열증상 분석
5.1. 평가 및 진단
5.2. 치료 및 개입 방법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J.H.Resnick이 1991년 채택한 임상심리학의 공식적 정의는 광범위한 내담자 집단에 적용되는 정서적, 지적, 심리적, 사회적, 생물학적, 행동적 부적응, 불편감, 결함, 능력 등을 이해하며 예측하고 낮추는 방법, 원리, 절차에 관한 교육, 서비스를 포함한다."라고 볼 수 있다. 임상심리학의 공식적인 정의에서는 과학과 실무를 모두 포함하는데 비슷한 정의가 현재 임상심리학자 임무에 관해서도 내려진다. 미국심리학회의 임상심리학회 웹페이지에서는 임상심리학 사명 선언문이 있는데 여기에서 임상심리학자의 사회적 사명은 다양성을 견지하고 심리학적 과학과 실무를 교육, 응용, 연구, 정책적 적용에 녹여내는 것이다. 이러한 임상심리학을 조금 더 생각해보기 위해 영화를 하나 선택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2. 등장인물 분석
2.1. 이강토(이영)
이강토(이영)는 분노의 화신이자 자기희생적 인물이다.""
어린 나이에 아버지의 독립운동과 죽음으로 인해 충족되어야 할 부모의 관심과 보호를 제때에 받지 못했다. 이로 인해 이드(Id)의 지나친 억압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강토는 형을 살리기 위해 가족을 위해 희생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를 통해 삶의 목표가 자신이 아닌 타인에게 있음을 알 수 있다.""
형이 바보가 되어 돌아오고 어머니가 고문을 당하면서, 가족을 부양하고 형을 고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일본 순사가 되는 것뿐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이강토는 일본 순사가 되면서 점점 더 악랄해지고, 분노의 표출이 잘못된 곳으로 향하게 된다. 조선 사람들을 왜놈앞잡이, 똥개새끼라고 부르는 등 자기 가족만 먹여 살리면 된다는 사고방식을 보인다.""
이후 등장한 각시탈이 순사로서 승승장구하던 이강토의 앞길을 막고, 상관에게 각시탈과 한 패라는 오해를 받으면서 각시탈에 대한 분노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각시탈을 향해 총을 쏜 후에야 비로소 그 각시탈이 바보가 된 자신의 형임을 알게 되고, 상관인 겐지가 어머니를 죽인 것을 알게 되면서 분노의 화살이 제대로 된 대상에게 향하게 된다.""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복수심에 사로잡힌 이강토는 무작정 각시탈을 쓰고 종로서로 달려가 겐지를 죽이지만, 이는 사명감이 아닌 개인적인 복수심 때문이다.""
하지만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알게 된 후에는 각시탈을 써서 복수를 시작하지만, 그동안 보지 못했던 일본인들에게 핍박받는 조선인들의 모습을 보게 되며 점차 사명감을 느끼게 된다.""
결국 이강토는 일본 순사로서의 자신을 암살하려던 독립군이 각시탈을 쓴 자신은 구하려 한다는 것을 보고, 각시탈의 무게를 알게 되며 앞으로의 삶에 대한 두려움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눈길 닿는 곳마다 고통받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 결국 탈을 벗을 수 없게 되며, 이는 일본에게 짓밟힌 조선인 이강토로서의 분노가 승화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2.2. 기무라 겐지
기무라 겐지는 조선인을 사랑하는 일본인으로, 아버지와의 갈등 끝에 조선아이들을 가르치는 소학교 교사가 되었다"" 어렸을 때부터 조선인 유모의 손에서 자랐고, 조선인 목단이를 좋아하여 오이디푸...
참고 자료
론 하워드, 영화 <뷰티풀 마인드>, 2002.
전은경, 2015, 델파이 방법을 통한 한국 임상심리학의 교육훈련 방향성 모색, 국내석사학위논문 덕성여자대학교, p.4~5
김은정, 2018, 집단미술치료가 시설 거주 조현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8권 1호, p.40~42
아산병원, 조현병(정신분열병), 2023년 11월 24일 접속,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