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복지론 스크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족 복지와 정책 과제
1.1. 가족 구조의 다양화와 새로운 가족 유형의 등장
1.2. 가족 내 문제와 어려움에 대한 실태 및 대응 방안
1.2.1. 한부모 가족의 보육 공백과 경제적 어려움
1.2.2. 가족 내 문제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인식 개선
1.3. 가족 복지 정책의 실천적 개입 방안
1.3.1. 공적 연금 제도 개선을 통한 가족 복지 증진
1.3.2. 심리·정서적 지원 서비스 확대와 가족 관계 증진
1.4. 가족 복지 정책의 사회적 합의와 지속가능성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족 복지와 정책 과제
1.1. 가족 구조의 다양화와 새로운 가족 유형의 등장
산업화와 함께 가족 형태의 주류를 이루게 된 핵가족과 여성의 사회 진출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그 수가 늘어나고 있는 맞벌이가족, 그리고 국제 교류의 확대로부터 파생된 다문화가족 등이 새롭게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가족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가족들은 아직 사회에 자리 잡고 있는 기존의 풍토나 제도로 인해 다양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예를 들어 최근 그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한부모가족 역시 사별, 이혼, 미혼부·모 등의 증가로 우리 사회에서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지만, 그들의 삶을 영위해 가면서 다양한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 이처럼 산업화와 함께 가족 구조가 다양화되고 새로운 가족 유형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가족들의 어려움이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1.2. 가족 내 문제와 어려움에 대한 실태 및 대응 방안
1.2.1. 한부모 가족의 보육 공백과 경제적 어려움
한부모 가족은 자녀 양육과 경제적 책임을 한 명의 부모가 혼자 담당하게 되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자녀돌봄의 공백과 경제적 곤란은 한부모 가족이 겪는 주된 문제이다.
한부모 가족의 편부모들은 장시간 근무로 인해 자녀를 돌볼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기사에 따르면 한부모 가족의 48.2%가 하루 10시간 이상 일하고 있으며, 그 결과 초등학생 자녀의 54.4%가 평일 낮 시간에 혼자 집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녀들이 적절한 돌봄을 받지 못하고 안전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26.2%의 한부모 가족은 집안일이나 육아 등의 어려움에 도움을 요청할 곳이 없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한부모 가족이 육아와 가사를 혼자 감당해야 하는 부담을 보여준다.
한편 한부모 가족의 경제적 상황도 매우 열악한 편이다. 한부모 가족의 월평균 소득은 189만 원 수준으로 전체 가구 평균의 절반에 미치지 못한다. 특히 모자가정의 경우 평균 소득이 147만 원에 불과하여 생활이 매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운데 40% 정도만이 정부 지원을 받고 있으며, 그마저도 차상위 계층으로 분류되어 아동양육비 월 10만 원 수준의 지원만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한부모 가족의 경제적 ...
참고 자료
오건호(2019). 국민연금, 부과방식으로 가면 된다고요?. 프레시안.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27609?no=227609#09T0에서 2022년 12월 03일 인출.
박미은, 신희정 외 2인 저, 가족복지론, 공동체, 2015
황은숙 저, 한부모가정 아동교육, 한국한부모가정사랑회, 2013
가난한 한부모 '자녀돌봄' 공백 커, 내일신문, 2016.03.23,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189485
한부모가족 60만시대의 그늘…이혼 후 워킹푸어로 전락, 이데일리, 2016.03.22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G31&newsid=02341926612585944&DCD=A00703&OutLnkChk=Y
한부모가족에 비수 꽂는 편견 “불쌍해”“역시 문제야”, 베이비트리, 2014.11.11
http://babytree.hani.co.kr/269185
1. 거창군, "정신건강이 최고" 청소년 자살 예방교육 가져
http://media.daum.net/press/newsview?newsid=*************6300
2. 초중고 학생 100명 중 7명 정신건강 '경고등'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0920_0012373373&cID=10201&pID=10200
3.보은군정신건강증진센터, 부모자녀 상호작용 증진프로그램 진행
http://media.daum.net/press/newsview?newsid=*************7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