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지치료의 이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각각의 이론들에 자신의 경우를 대입하여 기술해 보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지치료의 이론과 실제
1.1. 인지치료 이론
1.1.1. 아론 벡의 인지치료 이론
1.1.2. 엘리스의 합리정서적·인지치료 이론
1.2. 인지치료 이론의 실제 적용
1.2.1. 아론 벡의 인지치료 이론 적용
1.2.2. 엘리스의 합리정서적·인지치료 이론 적용
1.3. 나의 의견
2. 청소년지도방법론의 이론적 토대
2.1. 경험학습이론과 사례
2.2.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사례
2.3. 인지주의 학습이론과 사례
2.4.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사례
2.5. 바람직한 지도 방법론에 대한 논의
3. 상담 이론과 상담 기법의 활용
3.1. 'Acting as if ~'의 활용 방법
3.2. '나의 의미/가치 찾기'에 대한 분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지치료의 이론과 실제
1.1. 인지치료 이론
1.1.1. 아론 벡의 인지치료 이론
아론 벡의 인지치료 이론은 내담자가 부정적 사고에 대처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개발한 치료 접근법이다. 이 인지치료는 현실적이고 직접적이며 단기적인 특징을 지닌다.
벡의 인지치료는 많은 행동 기법을 포함하며, 많은 이론가들은 이를 인지행동치료라고 본다. 치료자는 내담자를 움직이게 하고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도록 격려할 때 행동 기법을 사용한다.
벡의 인지치료에서 사례개념화는 내담자의 부적응적 행동을 이해하고 역기능적 태도를 수정하기 위해 중요하다. 상담자는 초기 평가 과정에서 사례개념화를 하여 가설을 확증하거나 수정한다.
심리적 도식의 파악은 내담자의 자기개념과 삶의 규칙, 원칙을 알아내는데 사용된다. 협동적 경험주의는 내담자가 치료자와 협력하고 있다는 감정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내담자의 경험에 근거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면밀히 바라보는 것이 중요하다.
소크라테스식 대화는 내담자의 인지적 변화를 촉진하기 위한 질문방식이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스스로 결론을 생각하고 선택하도록 돕는다. 인도된 발견은 내담자가 자신의 논리적 오류나 왜곡된 인식을 발견하도록 인도하는 과정이다.
역기능적 사고 기록지는 내담자의 불쾌한 감정과 관련된 사고내용을 파악하고 자각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된다. 하향 화살표 기법은 자동적 사고로부터 심층적 신념을 발견해 나가는 기술이다.
1.1.2. 엘리스의 합리정서적·인지치료 이론
엘리스의 합리정서적·인지치료 이론은 일명 합리적 정서행동 접근(REBT: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으로 임상학자인 알버트 엘리스(Albert Ellis)에 의해 창안된 심리치료 이론이다"" 엘리스는 인간의 특성 중 가장 우수한 점은 생각하는 능력이라고 하였으며, 인간의 인지가 과거나 현재의 외적인 사건이 정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적인 사건, 특히 이러한 지각에 대한 평가가 인간의 정서적 반응에 직접적이고 강하게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였다""
REBT의 가장 중요한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기능적 사고는 과장, 과잉 일반화, 과잉 단순화, 잘못된 유추, 절대적인 관념 등으로 나타나 정서장애의 중요한 결정요인이 된다"" 둘째, REBT의 기본 개념은 우리가 사고하는 것을 느끼는 것이기 때문에 사고의 분석부터 시작된다"" 셋째, 인간의 불합리하게 생각하는 경향으로 인하여 비합리적 사고와 정신병리를 유도하는 원인적 요인들은 유전적이고 환경적 영향을 포함하는 중다요소로 되어있다""
REBT 모형에 따르면 A(Activating Event)는 사실, 사건, 개인의 행동이나 태도 등이며, C(Consequence)는 그 사람의 정서적·행동적 결과 혹은 반응이다"" B(Belief)가 A와 C를 매개하는데, 비합리적 신념(B)이 부적절한 정서적·행동적 반응(C)의 원인이 된다"" 이에 REBT 치료과정은 D(Dispute)로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논박하고, E(Effective philosophy)로 합리적인 신념체계를 형성하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F(new feeling and behaviors)와 같이 적절하고 긍정적인 감정과 행동을 나타내게 된다""
이처럼 엘리스의 합리정서적·인지치료 이론은 인간의 사고과정이 정서와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역기능적이고 비합리적인 신념 체계를 변화시킴으로써 내담자의 적응적인 삶을 이끌어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1.2. 인지치료 이론의 실제 적용
1.2.1. 아론 벡의 인지치료 이론 적용
나는 상담이 시작되는 첫 회기로 1회기는 내담자의 주 호소 문제를 분석하고 앞으로 이루어질 윌리엄 베커스의 진리요법을 활용한 1:1 인지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OT를(orientation) 내담자에게 해주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매주 과제로 나갈 "말씀묵상기도"하는 방법을 설명해 주었다.
나는 1회기 상담의 시간은 내담자와 라포형성 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그것이 앞으로 남은 회기 상담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필자는 내담자에게 1:1 인지치료가 이루어지는 총 6회기 동안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으면 좋겠는지 한 줄로 이야기해보라고 제안했다. 내담자는 생각이 단순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나는 시편 103편을 가지고 "말씀묵상기도"하는 방법을 실제로 내담자와 1:1로 앉아서 실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각 단계마다 시간을 재면서 실제로 내담자가 기도하도록 지도 하였고, 기도 중에 바로잡아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다시 제안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필자는 앞으로 내담자가 해올 역기능사고 기록지 작성 및 과제방법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내담자에게 집에 가장 잘 보이는 곳에 시편 103편의 기도문을 붙여놓고 수시로 그것을 소리내어 기도하는 마음으로 읽으라고 하였다. 상담이 끝난 후 내담자에게 직접 자신이 느낀 감정과 소감을 다시 한 번 작성하도록 하면서 내담자로부터 피드백을 듣...
참고 자료
김유숙.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14.
권석만 (2012). 현대이상심리치료와 상담이론. 서울: 학지사.
박선희, 김선환 (2014). ADDIE모형기반의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 학습과학연구.
서수균, 권석만 (2005). 비합리적, 자동적 사고 및 분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김신정, 「브룩스의 구성주의 교수 학습론을 적용한 수업 모형 개발: ‘심의 민주주의’ 단원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2011.
우혜진,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감상수업 지도 방안」,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2012.
조미영, 「청소년 활동의 경험학습 모형에 따른 경로분석」,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 논문, 2010.
조안나, 「학습이론에 기초한 수학교육지도방안: 행동주의와 인지주의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2004.
노안영,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8.
방기연, 상담심리학, 교육과학사, 2020.
김춘경 외, 상담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