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연구 간호학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전공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1.1.2. 연구의 목적
1.1.3. 용어의 정의
1.2. 문헌고찰
1.2.1.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1.2.2.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1.2.3.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1.3. 연구방법
1.3.1. 연구설계
1.3.2. 연구대상
1.3.3. 연구도구
1.3.4.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1.3.5. 자료 분석 방법
1.3.6.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1.4. 연구결과
1.4.1. 간호대학생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4.2.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전공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 수준
1.4.3.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 리더십
1.4.4.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
1.4.5.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1.4.6.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전공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의 상관관계
1.5. 논의
1.6. 결론 및 제언
1.6.1. 결론
1.6.2. 제한점 및 제언
2. 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직무수행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 능력, 의사소통 능력, 리더십 발휘 능력을 중심으로
2.1. 서론
2.1.1. 연구의 필요성
2.1.2. 연구목적
2.2. 실험
2.2.1. 연구 설계
2.2.2. 연구대상
2.2.3. 연구 도구
2.2.4. 자료 수집 방법 또는 연구 진행 절차
2.2.5. 자료 분석 방법
2.2.6. 연구의 윤리적 고려
2.3. 결과 및 고찰
3.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3.1. 서론
3.1.1. 연구의 필요성
3.1.2. 연구목적
3.2. 문헌고찰
3.2.1. 간호전문직관
3.2.2. 문화적 역량
3.3. 연구방법
3.3.1. 연구설계
3.3.2. 연구대상
3.3.3. 연구도구
3.3.4. 자료수집방법
3.3.5. 자료분석방법
3.3.6. 윤리적 고려
3.4. 연구결과
3.4.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문화적 특성
3.4.2. 문화적 역량과 간호전문직관 수준
3.4.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문화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 역량 차이
3.4.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문화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차이
3.5. 논의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전공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최근 4년제 대졸자의 높은 실업률로 인해 비교적 높은 취업률을 보장하는 보건 의료계열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고, 대졸자들이 취업을 위해 다시 보건의료계열에 입학하는 이른바 '학력 U-turn 현상'이 급증하고 있어, 각급 대학들에서 보건의료계열의 경쟁률은 전체 학과 중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7학년도 전문대 입시결과 유턴 입학자는 전국 118개 전문대에 74,125명이 지원한 결과 총1,453명이 등록했으며, 유턴입학자의 전공은 간호 전공이 604명으로 42%를 차지하는 등 지난해에 이어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호사 부족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간호사 면허자는 2004년 20만 2,012명에서 2014년 32만 3,041명 59.9% 증가하였지만 활동 간호사는 2004년 8만 9,607명에서 2014년 14만 7,210명 64.3% 로 간호사 면허자에 비해서 활동간호사의 비율이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늘어나는 보건계열에 대한 관심과 간호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규간호사의 전 단계인 간호대학생의 단계에서부터 진로에 대한 의식 함양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1.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셀프 리더십, 전공 만족도의 수준을 파악하고, 전공 만족도, 셀프 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셀프 리더십, 전공 만족도 수준을 파악한다.
2)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 리더십, 전공 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파악한다.
3)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전공 만족도,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1.1.3. 용어의 정의
가. 셀프 리더십
(1) 이론적 정의: 자신이 원하는 목표 달성과 자아 완성을 위하여 스스로 방향을 설정하고 동기부여 함으로써 자기 효능감을 높여 자기 자신에게 긍정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Mans, 1983)
(2) 조작적 정의: Houghton과 Neck (2002)이 개발하고 신용국, 김명소, 한영석(2009)이 번안한 셀프리더십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도구는 총 18문항이며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셀프 리더십이 높음을 의미한다.
나. 전공만족도
(1) 이론적 정의: 전공만족도는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속한 학과를 평가하는 판단과정의 산물이며 전공 교과를 공부하면서 자신의 욕구수준이 충족되고 있다고 느끼는 주관적 즐거움과 개인의 미래와 진로에 대한 긍정적 사고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결과로 정의할 수 있다.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미국 IlIinois 대학에서 개발한 프로그램평가조사(Program Evaluation Survey)를 수정·보완하여 김계현과 하혜숙(2000)이 작성한 34개 학과만족 도구 중 이동재(2004)가 전공만족 관련하여 추출한 18문항으로 측정한 수를 의미하며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다. 진로준비행동
(1) 이론적 정의: 자신과 환경에 대한 이해와 탐색을 통해 합리적이고 올바른 진로결정이 이루어진 후 결정된 진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구체적인 행동을 말한다. (김봉환, 김계현,1997)
(2) 조작적 정의: 최윤경과 김성희(2012)가 개발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Likert 4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4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1.2. 문헌고찰
1.2.1.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은 자신이 원하는 목표 달성과 자아 완성을 위하여 스스로 방향을 설정하고 동기부여 함으로써 자기 효능감을 높여 자기 자신에게 긍정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셀프 리더십이 높은 간호대학생일수록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게 나타나, 학생들이 비판적 사고를 통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주체적 인간이 될 수 있게 하며 주체적 학습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셀프 리더십은 자기관리 역량과 내적인 동기부여에 의한 자발적인 노력을 통해 조직의 성과를 높일 수 있어, 향후 간호대학생의 진로에 따라 의료기관에서의 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조직구성원의 자율통제에 의한 자발적인 노력과 조직에 대한 열정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요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1.2.2.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전공만족도는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속한 학과를 평가하는 판단과정의 산물이며 전공 교과를 공부하면서 자신의 욕구수준이 충족되고 있다고 느끼는 주관적 즐거움과 개인의 미래와 진로에 대한 긍정적 사고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결과이다. 간호대학생들은 타 학과 학생들에 비해 이론과 실습의 전공필수 교과목 비중이 크고, 의료인으로서 의사결정, 정확·신속한 업무수행에 대한 학업, 여기에 이미 진로방향이 결정된다는 사고방식 때문에 진로에 대한 만족과 전공 적응에 많은 애로사항을 겪기도 한다. 이처럼 전공에 만족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동반되기 때문에 전공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가지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만족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성이 있다. 전공만족도는 진로의식 형성과 직업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간호대학생들은 진학선택 시 적성과 흥미를 고려한 경우보다 수능성적에 맞춰 합격위주로 진학을 결정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취업의 가능성이 높으리라는 막연한 기대로 간호학과에 입학하거나, 부모의 권유에 의해 간호학 전공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전공과목에 만족하지 못하여 학업에 흥미를 잃거나 부적응 또는 소홀히 대응하는 경우가 많고 대학생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자신이 현재 소속된 전공학과가 자신의 이상이나 진로, 미래 직업에 대한 기준과 일치한다면 전공만족도는 높게 나타날 것이다. 즉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에 더 열중할 수 있으므로 간호사로서의 자질 향상과 의료인으로서 임무를 다하는 지식함양과 인격을 갖추게 될 것이다.
1.2.3.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진로준비행동은 자신과 환경에 대한 이해와 탐색을 통해 합리적이고 올바른 진로결정이 이루어진 후 결정된 진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구체적인 행동을 말한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은 성공적인 취업 또는 직업전환에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취업 후의 직무만족으로 이어져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간호학생들의 간호행위에 대한 동기와 포부에 영향을 미치며, 신규간호사가 되었을 때 이직률은 감소하고 현실 적응력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공적인 취업과 취업 후 적응을 위해 간호학생들에게도 충분한 진로준비행동이 필요하다"" 또한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경우, 진로결정과 준비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인의 적성과 흥미보다는 학과 취업률이나 성적에 따라 전공을 선택한 경우, 전공만족도는 낮아지고 향후 진로에 부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간호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규간호사의 전 단계인 간호대학생의 차원에서부터 셀프 리더십, 전공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의 역량을 키워 나가야할 필요성이 있다""
1.3. 연구방법
1.3.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 설계로 진행되었다.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는 서술적 연구의 한 유형으로, 두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할 때 적합한 연구 설계이다. 이 연구 설계는 이론 검증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새로운 정보와 통찰력을 가져다주어 간호 지식체 개발의 기초가 된다. 또한, 계량적 통계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의 객관성 확보로 실재를 정확히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연구 결과는 일반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의 주관적, 정신적 영역과 같이 수량화가 곤란한 현상의 연구이기에 가변적이고 예측을 뒤집을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인간의 복잡성을 완전히 이해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실험실과 같은 통제가 불가능해 오류의 가능성이 존재하고, 규칙성과 일관성이 적은 심리 현상을 파악하고자 측정 도구를 고안해 사용하기에 생물학적·생리적 기능에 대한 도구보다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어떠한 연구도 한 편의 연구로는 현상을 명백하게 증명하거나 반증할 수 없어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1.3.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A반 학생들로, 연구의 목적과 취지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20명의 학생들이다. 연구자는 편의 추출 방식으로 해당 집단을 선정하였으며, 총 20부의 설문지를 의뢰하여 모두 회수하였고 응답이 성실한 설문지 2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는 상황적 특수함을 고려하여 경기 지역에 위치한 간호학과 4학년 A반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1.3.3.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는 셀프 리더십, 전공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셀프 리더십은 Houghton과 Neck(2002)이 개발하고 신용국, 김명소, 한영석(2009)이 번안한 셀프리더십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총 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측정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셀프 리더십이 높음을 의미한다. 신용국 등(2009)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7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82이었다.
전공만족도는 미국 Illinois 대학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평가조사(Program Evaluation Survey)를 수정·보완하여 김계현과 하혜숙(2000)이 작성한 34개 학과만족 도구 중 이동재(2004)가 전공만족 관련하여 추출한 18문항으로 측정하였다.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측정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김혜주(2007)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1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84이었다.
진로준비행동은 최윤경과 김성희(2012)가 개발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Likert 4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4점으로 측정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김봉환과 김계현(1997)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4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86이었다.
1.3.4.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2020년 4월 18일부터 4월 24일까지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경남M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자가 대상자들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모바일 설문지를 통해 진행하였다. 설문에 대한 응답은 익명으로 처리되어 개인정보 식별이 불가능함을 알려주고, 솔직하고 정확하게 기입하도록 요청하였다. 설문지 작성시간은 약 10분~15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1.3.5. 자료 분석 방법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전공만족도, 셀프 리더십, 진로준비행동은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 셀프 리더십, 진로준비행동은 t-test 와 ANOVA로 분석하고,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로 하였다"
셋째, 대상자의 셀프 리더십, 전공만족도,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1.3.6.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해 경남 지역 M 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기 원하는 대상자에게 모바일 동의서를 제공하고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동의서에는 연구의 목적, 예상 소요시간, 수집된 자료의 익명성 및 종료 후 영향이나 불이익이 없음을 명시하였다.
또한 대상자에게 연구 참여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함께 자발적 참여와 참여 중단의 자유, 그리고 개인 정보 보호 등 윤리적 고려 사항을 안내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이며 개인정보가 철저히 보장될 것임을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권리 보장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익명으로 처리되어 개인정보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하였다.
1.4. 연구결과
1.4.1. 간호대학생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간호대학생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여자가 91.6%(98명)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이는 22세 이하가 85%(9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학생은 56.1%(60명)이었고, 졸업 후 취업을 희망하는 곳으로는 병원이 86.9%(93명)로 가장 많았다. 간호학과를 선택한 동기는 안정적인 직종이라서가 46.7%(5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졸업 후 병원에서 간호사로 계속 근무할 예정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85%(91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취업 준비 시 정보를 얻는 곳으로는 인터넷이 48.6%(52명)으로 가장 많았다.
1.4.2.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전공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 수준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전공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 수준은 다음과 같다.
셀프 리더십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 3.88±0.408점이었으며, 각 하위영역의 평균은 자기기대는 평균 3.71±0.668점, 리허설은 3.88±0.648점, 목표설정은 3.87±0.650점, 자기보상은 4.19±0.611점, 자기비판은 3.58±0.761점, 건설적 사고는 3.35±0.689점이었다.
전공만족도의 전체평균은 5점 만점에 3.88±0.496점이었으며, 각 하위영역의 평균은 일반만족은 3.83±1.386점, 인식만족은 4.32±0.612점, 교과만족은 3.38±0.731점, 관계만족은 3.57±0.682점이었다.
진로준비행동의 전체평균은 4점 만점에 2.88±0.708점이었다.
1.4.3.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 리더십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 리더십을 살펴보면, 성별, 나이, 동아리 활동, 졸업 후 취업 진로, 간호학과 지원동기, 간호사 근무예정 유무, 근무예정 년 수, 취업 준비 시 관련 정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수준을 비교해 보면, 여자 3.76점, 남자 3.87점으로 남자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나이에 따른 셀프 리더십 수준을 살펴보면, 22세 이하 간호대학생이 3.79점, 23세 이상 간호대학생이 3.63점으로 22세 이하 집단의 셀프 리더십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동아리 활동 여부에 따른 셀프 리더십 수준은 동아리 활동을 하는 학생이 3.78점, 하지 않는 학생이 3.75점으로 동아리 활동을 하는 학생의 셀프 리더십이 다소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
참고 자료
Oh, Y. J. A study on the university life of transfer students after transferenc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6; 24(2):451-474.
방성용.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19학년도 전문대학 입시결과 발표.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19; 1(255), 1-12.
보건복지부. 2015 보건복지통계연보 [Internet]. 연구/조사/발간자료; 2015 [cited at 2020 05 19].Available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7347.
신혜정, 박현정. 간호대학생의 전공몰입 경험이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17(22):643-664.
곽윤경. 간호대학생의 자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 산학기술 학회논문지. 2013; 14(5):2178-2186.
박인숙, 한용준. 간호대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 진로정체감, 스트레스 대처와 전공에 대한 수업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취업 진로연구. 2017; 7(1):145-167.
권영미, 윤은자.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과 전공만족, 사회성,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007; 13(3):285-292.
윤은자, 권영미, 안옥희. 간호전문직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2005; 35(6):1091-1100.
정유정, 이혜상, 김규수. 유아셀프리더십프로그램이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08; 13(3):277-293.
Neck CP, Houghton JD. Two decades of self leadership theory andresearch: Past developments, pres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06;21(4):270-295. http://dx.doi.org/10.1108/02683940610663097
Manz CC, Sims HP. Super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1991;19(4):18-35. http://dx.doi.org/10.1016/0090-2616(91)90051-A
이종율, 조미혜.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과정의 관련성 비교연구. 한국 고등 직업교육학회논문집. 2012;13(3·4):241-253.
김경혜, 김경덕,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7;13(2):229-236.
Irvine D, Leatt P, Evans MG, Baker RG. Measurement of staffempowerment within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Journal ofNursing Measurement. 1999;7(1):79-96.
Min BC, Lim SW, Kim HK, Rhee HS. The influence factors andeffects of self-leadership: Focusing on members of the hospitals.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3;23(1):66-77. http://dx.doi.org/10.4332/KJHPA.2013.23.1.066
남문희, 김혜옥.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14(1):262-273.
박인숙, 한용준. 간호대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 진로정체감, 스트레스 대처와 전공에 대한 수업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2017;7(1):145-167.
김유정, 유하나, 박미정.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016; 17(10):261-270.
박경선.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 [석사학위논문]. 제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년 08월
김봉환, 김계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97; 9(1):311- 333.
김지현, 소병한, 전이제, 권준용, 송지훈. 신입사원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업가치의 매개효과와 기업교육훈련의 조절효과 검증.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017;19(4):155-185.
조대연, 두민영. 첫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대졸청년층 취업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016;18(1):29-56.
이승구, 이제경.한국 학생의 취업목표에 따른 취업준비행동 및 첫 직장 만족도 차이. 진로교육연구. 2008; 21(3):1-25.
문인오, 이경완. 간호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0;16(1):83-91.
조성연, 이선순. 성인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006;19(1):127-140.
정미현, 신미아.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6;12(2):170-177.
장태정.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 셀프 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p.1-54.
강윤심.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제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p.1-68.
신승호.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산: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p.1-62.
안형준.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 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춘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p.1-71.
임은미, 송미숙, 이수진(2011).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전공전환 준비도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4(4):1-20.
박수진, 구영애, 오윤자. 대학생의 진로 및 가치관에 따른 대학생활의 만족도차이에 관한 연구-K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생을 중심으로(2013년~2016년). 취업진로연구. 2017;7(1):121-144.
김은미, 유은영.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성숙도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복지. 2018;20(3):81-99.
박효미, 이혜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 적응성 및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5;15(8):304-312.
고영지, 김인경.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1;17(1):62-71.
방경숙 등. 간호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9;15(1):22-31.
이승구, 이제경. 한국 대학생의 취업목표에 따른 취업준비행동 및 첫 직장 만족도 차이. 진로교육연구. 2008;21(3):1-25.
문인오,이경완.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2010;16(1):83-91.
Rönkä,A.,& Pulkkinen,L.Accumulation of problems in social Functioning in young adult hood:A developmental approach.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5;69(2):381.http://dx.doi.org/10.1037/0022-3514.69.2.381.
김남진.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산 :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3. p.1-62.
윤주영. 진로결정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수준 및 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p.1-94.
Manz, C.C. & Sims, H.P. Business without bosses: How Self-Managing teams Are Building High-Performing Companies.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5
이정선,김경아.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취업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2; 16(2):19-39.
박민아.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대구. 2009. p.1-42.
양남영,문선영.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셀프리더십,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011; 17(2):216-22.
한선희,유혜순. 일 지역 간호대 학생의 셀프리더십,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자기노출.한국간호교육학회지.2012,4; 18(1):130-139.
최지연.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지대학교[박사학위논문], 대전.2016. p.1-85.
이규영. 수도권지역 간호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수준. 교육문화연구, 2016,11;22(6): 233-253.
김경하.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구조모형.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광주.2018. p.1-131.
이종찬, 홍아정.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진로 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013; 26(1):69-92.
정유정,이혜상,김규수. 유아셀프리더십프로그램이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08;13(3):277-293.
남문희, 김혜옥.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 14(1):262-273.
박혜선.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전공 학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5. p.1-46.
한예정.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에 따른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의 영향관계 연구: 조리·외식관련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4. p.1-146.
김지연.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영향 요인.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p.1-74.
박현정, 오재우.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2014; 12(12):417-426.
황정희.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 지각이 전공만족도 및 취업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6. p.1-115.
권영미,윤은자.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사회성,자아 존중감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007; 13(3):285-292.
남문희, 이미련.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아존중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57(9). p.465-477.
Barron,D.,West,E.,& Reeves,R. Tiedtothejob: affectiveandrelationalcomponentsofnurseretention.JournalofHealthServices. Research& Policy,2007; 12(1): 46-51.http://dx.doi.org/10.1258/135581907780318419
윤은자,권영미,안옥희.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2006; 35(6):1091-1100.
이동재.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성정체감,성고정관념의 관계. 석사학위논문,연세대학교,서울. 2004. p.1-59.
안형준.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2013. p1-61.
강정원.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학업적 흥미, 대학생활 적응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8; 12(7):299-315.
양수진, 송영수.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15; 22(12):443-470.
오은진, 공정현.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및 진로태도성숙, 전공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통합의학회. 2019;7(1):135-144.
김보경.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 리더십,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p.1-177.
장태정.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p.1-54.
김자선. 간호대학생의 소명의식, 사회적 책임성, 셀프 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p.1-68.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ing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Problem Solving Ability, Participation in Lessons of Nursing Students VOL. 15 No.4 2017. pp.351 –363
Eun Ok Ji. A Study on the Field Adaptation of New Nurses 2009, ix, 98p.
Geun Gon Kim. The Effect of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Project Learning o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v.14 no.2,pp. 252 - 261, 2008, 1225-9578
Geum Ja Ko. Stud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a College's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PBL Strategies v.16, no.1, pp. 33 - 42, 2010, 1225-9578
Gil-rim Seo. Impact of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maturity on team performance 2016 100p
Ho Sen Jun. The Effect of Term Based Lear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 -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cience Education VOL.15 NO.10 (2017):269-279
Hyung Jung Cho. Investigating Conceptual Framework on Team-Based Learning for Improving Learning Process and Performance 2008, pp.27 – 42
Ji Hye Seo. Impact of Team 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2012, vii, 95 p
Jin Hee Kim. Analyzing s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am leadership, team process and team effectiveness in project-based learning for engineering students 2015, ix, 119p
Joo Rang Han. The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on Team Performance and Team Commitment of Team-Bas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Team Trust v.14 no.12, 2016, pp.303 – 311
1Jung Hyun Yoon. The Effect of Team-Based Simulation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Clarity,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Vol.1 No.2 [2017]
Jung Min Hong. The Effects of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s, and Team Efficacy 2018, pp.397 – 405
Kyung Ok Choi.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v.20 no.2, 2014, pp.154 – 159
Min-ju Kim. "The Impact of Team-Based Learning on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Self-Efficiency and Curriculum Interest" VOL.- NO.- (2010)
Seung Hee Lee. The Convergence Effects of Commitment of Organiz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Nurse on Burnout v.14 no.6, 2016, pp.335 – 345
Soo-ol Kim. So Myung Kim. Effects of Team- Based Learning Applying for Nursing Students on Critical Thinking Ability, Problem Solving”. 18(2). 1151-1161, 2016
Sun Hee Yang. Critical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3 Nursing Colleges with Different Education Methods v.15 no.2, 2009년, pp.149 – 158
Sung Yong Choi. Assessing the Improvement Effects 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in Operations Management through Team-Based Learning 2016, pp.1 – 23
Yeon Jae Oh.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Communication Improvement Program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Theory of Pre-learning 2008, vii, 157 p
Yoon Kyung Kim. Effec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Program on Leadership, Creativity and Creativity Problem-Solving of Nursing Students 2009, 134p
Young Ah Song. Comparison of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Attitude and Motivation between PBL and SBL Groups v.14 no.1, 2008, pp.55 – 62
Young Sook Bae. Effects of PBL(Problem-Bas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v.11 no.2, 2005, pp.184 – 190
강경자, 유수정, 서현미, 박명숙, 유미, 채영란, 최동희, et al. 간호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의 차이와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2014;20(4):491-501.
조헌아, 김남희, et al.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간호전문직관, 간호사 이미지, 간호전문직업성 핵심요소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4;20(4):548-557.
손현미, 제민지, 이병준, et al.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통합적 고찰. 한국문화교육학회. 2014;9(4):25-47.
차영란, et al. 간호 대학생의 문화 역량과 영향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26(2):46-56.
이미자, et al. 간호대학생을 위한 문화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85-94.
강경숙, 고영숙, et al. 간호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6;11(2):179-189.
임경민, 조은주, et al.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17(4):556-566.
서은주, 차남현, et al.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생명 및 죽음에 대한 윤리의식간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14(5):349-358.
허영미, et al.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 매개효과.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76-92.
황은희, 신수진, et al.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7;31(1):97-108.
허보윤, 김미란, et al. 문제 중심 학습방법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 및 진로정체감 관계에 관한 연구.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9(6):29-42.
김민아, 최소은, et al. 국내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8;29(4):451
최윤경, 안정원, 김금순, et al. 간호사의 문화역량, 문화간 의사소통역량, 병원의 문화역량지지가 외국인환자 간호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38(4):518-521.
김미종, et al. 임상간호사의 다문화태도, 문화적 역량과 영향요인. (사)아시아문화학술원.2019;10(2):159-174.
김수정, et al.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업무수행, 직무만족과의 관계.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3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