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욕창은 신체의 부위에 지속적으로 압박이 가해지고 그 부위에 순환의 장애가 일어나 조직의 손상이 유발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피부간호의 심각한 문제 중 하나이다. 욕창은 움직이지 않고 오랜 시간 한 체위로만 누워 있는 노인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할 수 있다. 노인환자의 경우 입원기간의 욕창 발생률이 30% 이상으로 거의 모든 노인환자가 욕창 위험군에 속한다. 그러나 노인은 표피의 재생 기간이 길고 피부가 손상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피부 손상이 복구되는 비율이 낮다. 또한 욕창이 생기면 피부가 패여 들어가면서, 심해지면 근육, 뼈까지도 드러나게 되어, 이 부분을 통해 감염이 되면 패혈증 등 심한 부작용이 나타나 심지어는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결과적으로 욕창은 노인 환자의 입원기간을 늘리고, 병원비 상승을 초래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2. 욕창의 이해
2.1. 정의
욕창이란 몸의 일정한 부위가 계속 눌려 밑의 모세혈관의 혈액이 잘 흐르지 못해 조직과 세포가 죽는 현상을 말한다. 노인이나 쇠약한 환자, 하반신 마비와 사지마비 등 마비환자, 감각 소실된 환자에서 생길 수 있는 중요한 의학적 문제 중의 하나로, 한 자세로 계속 앉아있거나 누워있을 때 피부 압박으로 발생하며, 특히 뼈가 돌출되어 있는 부위에 자주 발생하게 된다.
2.2. 원인
욕창의 원인은 조직의 혈액공급 부족인 국소적 허혈로 일어난다"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와 뼈와 같은 단단한 두 면 사이에 발생하는데, 혈액이 조직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 세포는 산소와 영양분을 뺏기게 되며, 세포 안에 신진대사 노폐물이 축적되어 조직이 괴사한다. 지속적인 압력은 작은 혈관을 손상시킨다. 욕창을 일으키는 일차적인 요인으로 압박과 마찰, 피부 온도와 연령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인자로써 영양상태, 부종, 빈혈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중 압박으로 욕창이 생기는 기전을 보면, 조직의 모세혈관 압을 초과하는 압박이 장시간 가해지면 조직 허혈이 생기게 된다. 허혈의 정도가 심해지고 장시간 지속되면 모세혈관 막의 투과성에 변화가 오게 되고 세포대사에 방해를 가져와 근육조직의 세포가 죽게 되며 염증반응이 나타난다. 반응성 충혈(reaction hypermia)이 나타나는데, 이는 피부에 압박을 가하면 창백해지는데 압력을 제거할 때 그 피부는 홍조를 띄게 되는 현상이다. 이는 욕창 예방을 위한 신체의 기전으로, 혈관확장이 일어나 이전의 혈액 흐름이 방해된 것을 보상하기 위해 이 부분에 여분의 혈액이 몰리는 과정이다. 또한 마찰(피부표면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힘)과 응전력(심부조직과 표층조직이 만나는 부위에 생기는 압력)으로 인해 혈관과 조직을 손상시켜 욕창이 발생한다.
2.3. 욕창의 단계
압박에 의해 조직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면 처음에는 피부가 벌겋게 부어 오른다. 압력이 해소되면 바로 원상태로 회복되지만 압력이 지속되고 반복되면 혈액순환 장애가 생겨 조직에 돌이킬 수 없는 변화가 초래된다. 이리하여 물집이 생기고 벗겨지며, 피부 밑 지방이 괴사되어 딱딱해지며, 가느다란 혈관은 혈전증으로 막히게 된다. 죽은 피부는 딱딱해지고 검은색의 괴사딱지(가피)로 변하게 되며 근육세포 또한 괴사가 진행된다. 괴사된 조직이 떨어져 나가면 그 자리가 큰 궤양 형태가 되는데, 궤양의 얕은 층보다 깊은 층이 더 널찍하여 마치 주머니 모양이다."
①Stage 1 (발적) 표피만 손상된 경우. 피부온도, 조직경도(단단하거나 물렁함), 감각(통증, 소양감) 중 한가지 이상의 변화가 나타나는 단계. 피부 궤양을 알리는 병변, 어두워진 피부, 피부변색, 부종, 경화 등 징후가 나타난다.
②Stage 2 (물집, 찰과상) Partial thickness skin. 표피전체 + 진피가 손상된 경우. 궤양은 표면적이며 ckfrhktkd, 물집 또는 얕게 파인 구멍들을 볼 수 있다.
③Stage 3 (피하조직) Full thickness skin 괴사를 포함한 완전한 두꺼운 피부손실로 확대된다. 근막까지는 침범되지 않으나 피하조직까지의 손상 또는 괴사된 상태
④Stage 4 광범위한 파괴, 조직괴사. 또는 근육이나 뼈, 지지구조의 손상을 포함한 완전한 두꺼운 피부손실이 있다.
2.4. 욕창의 위험요인
욕창의 위험요인에는 부동, 부적절한 영양, 대소변 실금, 의식수준 저하, 고령, 흡연, 혈압 등이 있다"
부동은 개인이 가진 움직임의 양과 조절 측면에서의 감소, 압력을 제거하는 자세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을 방해한다. 대부분의 시간을 앉아서 또는 누워서 보내는 사람은 움직이지 않은 신체부분에 장기간 압력을 받기 때문에 욕창이 잘 생길 수 있다"
부적절한 영양은 체중감소, 근위축, 피하조직을 줄이는 원인이 되어 욕창발생을 촉진한다. 단백질, 탄수화물, 수분, 비타민 C의 부적절한 섭취는 욕창발생의 주요 요인이다"
대소변 실금은 피부침연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젖거나 담금으로 조직이 연화되게 하여 표피가 쉽게 짓무르게 하고 상처가 생기게 한다. 대변에 있는 소화효소는 표피박리의 원인이 되며, 분비물이나 배설물의 축적은 피부를 자극하고 미생물을 머물게 하여 피부를 파괴하고 감염을 일으킨다"
의식수준 저하는 무의식 또는 과도하게 진정된 대상자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