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마렉병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최초 생성일 2024.11.04
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마렉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마렉병
1.1. 서론
1.2. 발생과 분포
1.3. 병인학
1.3.1. 분류
1.3.2. 형태학
1.3.3. Viral DNA
1.4. 발병기전과 역학
1.5. 전파
1.6. 잠복기
1.7. 증상
1.7.1. 이환율과 폐사율
1.7.2. 육안적 증상
1.7.3. 병원성에 따른 분류
1.8. 진단 및 예방대책
1.8.1. 진단
1.8.2. 예방대책
1.8.2.1. 백신
1.9. 참고문헌

2. 송아지 건강의 첫걸음 예방접종
2.1. 서론
2.2. 소의 주요 질병 및 예방백신
2.2.1. 로타바이러스 예방 백신
2.2.2. 탄저병 예방 백신
2.2.3. 아카바네병 예방백신
2.2.4. 소 유행열 예방백신
2.2.5. 소 전염성 비기관염 예방백신
2.3. 예방접종의 효과
2.4. 결론

3. 인수공통감염병과 전염병
3.1. 인수공통감염병(Anthropozoonosis)의 정의
3.2. 인수공통감염병의 분류
3.3. 인수공통감염의 역사
3.4. 가축전염병의 종류
3.5. 위험군
3.6. 병원체에 의한 분류
3.6.1. 세균성 인수공통감염병
3.6.2. 바이러스성 인수공통감염병
3.6.3. 기생충성 질환
3.7. 야생동물과 사람의 공존
3.7.1. 야생동물의 정의
3.7.2. 야생동물과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마렉병
1.1. 서론

Marek's Disease(MD)는 헝가리에서 Marek에 의하여 최초로 보고되었다. 수탉에서 부전마비를 일으킴으로써 보고되었는데, 이 병이 종양을 형성하는 것은 이전부터 발생하던 닭백혈병과 비슷하지만, 신경증상을 타나내며 신경계통에 현미경적인 병변이 흔히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고 하여 백혈병군의 신경형으로 분류 호칭되었다. 이 병은 세계적으로 만연하고 있으며, Herpes virus 유래의 생독백신이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어, 현재까지 아직 이 병에 의한 닭의 피해가 적지 않다. 특히 1950년대에 미국의 브로일러에 처음 발견되어 그 후 급속히 세게 각지에 파급된 소위 급성마렉병에 의하여 입은 각국의 양계업계의 피해는 막대하였다. 그러나 영국과 미국(1967)에서 이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닭백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와 전혀 다른 herpes virus라는 사실이 밝혀짐으로써 독립된 병으로 다루어지게 되었다. 1970년대 초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 사용됨으로써 이 병으로 인한 피해가 급격히 감소하게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사람을 포함한 모든 동물에서 암을 예방하는 백신으로서는 유일한 예가 되고 있다.


1.2. 발생과 분포

마렉병(MD)은 주로 닭에서 발생하지만, 칠면조를 비롯한 다른 조류에서도 MD와 비슷한 병원체에 감염되어 발병하기도 한다. MD은 전세계적으로 가금을 사양하는 나라에서 존재한다. 각각의 계군에서 꽤 높은 발생율이 보고되지만, 진정한 발생의 검출은 난해하다. MD의 발생이 특정지역에서 폭발적으로 급등하고 급성의 것이 많으며, 균질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백신의 유용성이 적다. 육계를 사양하는 지역에서 MD 발생시 손실이 특히 높은데, 겨울동안 손실이 높은 것은 환기불량에 기인한다고 한다. 닭의 감염일령은 구구하나, 일반적으로 부화 후 1주일 이내라고 보고 있다. 대다수의 계군은 종생 지속되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하여 감염계군내의 대다수의 닭들이 감염을 지속하여 바이러스를 배설한다. 이 병의 발병율과 폐사율은 일정하지 않다. 그러나 대단히 높은 감염율에 비하여 그 발병율은 결코 높은 것은 아니다.


1.3. 병인학
1.3.1. 분류

MD 바이러스(MDV)는 Herpes virus군에 속하며, 적어도 3가지 serotype으로 구분된다. 이는 바이러스의 병원성 정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

MDV serotype 1은 닭에 병원성이 있는 강독 또는 초강독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serotype 2는 비병원성 MDV로, SB1 백신 바이러스가 이에 속한다. serotype 3은 칠면조 herpes virus(HVT)로 주로 백신용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MDV는 병원성 정도에 따라 serotype 1, 2, 3으로 구분되며, 이는 바이러스의 항원성 및 유전적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이 중 serotype 1 바이러스가 가장 병원성이 강하며, serotype 2와 3은 비병원성 또는 약독 바이러스에 해당한다.


1.3.2. 형태학

MDV의 형태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전자밀도핵(electron-donse nucleoids)이 있거나 없을 수 있는 85-100mm의 Hexagonal naked particle 혹은 nucleocapsid는 감염된 조직의 세포질이나 세포외액에서 발견된다. 바이러스 particle(파면)은 FFE(피모낭 내피세포)를 용해시켜서 negatively 염색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피막(envelop)는 273-400mm이고, 외관은 불규칙적인 무정형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FFE을 얇게 절개한 조직 가운데 각화상피세포의 원형질 내에서 외피를 갖는 많은 수의 virus를 관찰할 수 있고, 균질화된 무정형 물질인 세포질내 봉입체도 관찰할 수 있다. 작은 particle은 35-70nm정도로서 감염된 세포에서 관찰되지만, virion의 구조적 요소는 관찰할 수 없다. Negutovely stained에 의해서 핵막(nucleacapsid)은 입방형 대칭성 20면체이며, capsomeres에는 162개의 hellow-contered 소공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HVT의 형태는 MDV와 유사하다. 앎은 조직 절개에서 HVT의 핵막은(nucleocapsid) 유일한 교차 외형이다. HVT의 핵심 구조는 6개의 둥근 파면들로 구성되어 있다. 비병원성 MDV의 형태는 세밀히 연구되어지지는 않았지만 전형적인 particle(파면)은 알려져 있다.


1.3.3. Viral DNA

MDV DNA는 직선형 double-stranded cule이다. HVT DNA의 부유 밀도와 guanine plus cytosine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MDV DNA와 유사하다. 그러나 숙주세포의 DNA로 부터 MDV DNA의 분리는 힘들다.

MDV와 HVT의 유전자의 구조는 긴 uniqe regien과 짧은 uniqe regien으로 구성되며, MDV가 생물적 표준에 기초를 두어서 gonnaherpes virus로 분리되었지만, MDV의 유전자는 gummaherpes virus보다는 alphaherpes virus와 더욱더 유사하다. MDV와 HVT 유전자의 감별은 미약하지만 관찰되어 진다. HVT에 비교해서 MDV 유전자는 더 얇고 길며, 낮은 부유 밀도를 갖는다. 3가지 serotype은 모두 그들의 restriction endonuclease 소화방식에 의해서 구별되어진다. MDV의 DNA는 다른 herpes virus에 비해 균질성이 결여되어 있다. MDV와 HVT 유전자는 hybridization 또는 다른 herpes virus sequence한 data의 computer 분석으로 검출되어진다.

현재까지 46개의 virus-specific polypeptide가 확인되었고, 적어도 6개 이상의 항원과 다양한 다른 단백질이 보고되어졌다. A 항원은 57에서 65-kD 분자량의 glycoprotein이며, B 항원은 100kD, 60kD and 49kD의 분자량의 3개의 당단백질로 구성된다.

MDV와 HVT의 복제는 전형적인 세포 관련성 herpes virus의 특징을 나타낸다. 외막을 지닌 virions는 conventional 흡수에 의해서 세포내로 들어가며, 1시간이내에 침입이 이루어진다. Virus 항원은 5시간 내에 외형이 나타나고, 8시간 후에 DNA 합성이, 10시간 후에 nucleocapsid 생성이, 18시간 후에 virion의 외피가 생성된다. 그러나 virus 복제의 절정은 약 20시간 경에 이루어진다.


1.4. 발병기전과 역학

MD의 발병기전과 역학은 다음과 같다.

MD의 숙주는 자연숙주와 실험적 숙주로 나뉘는데, 그 중 닭이 MD의 명확하고 중요한 숙주이다. 메추리를 제외한 다른 조류에서는 드물게 발생하고 중요하지 않은 질병이다. 닭에서 MD가 발병하더라도 모든 닭이 필연적으로 발병하는 것은 아니며, 발병 정도가 다양하다.

그 이유는 첫째, 감염되는 바이러스의 병원성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병원성이 강한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병세가 강하지만, 야외에는 다양한 병원성을 가진 바이러스가 분포되어 있어 면역에 좌우될 가능성이 크다. 둘째, 닭의 감수성 정도에 따라 다르다. 감수성이 높은 계통과 낮은 계통이 있으며, 감수성이 낮은 닭은 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발병 정도가 낮다. 셋째, 감염 연령이 어릴수록 발병률이 높고 암컷이 수컷에 비해 발병하기 쉽다. 넷째, 감염 면역이나 백신에 의한 면역이 있는 닭은 저항성을 나타낸다. 다섯째, 스트레스와 같은 환경적 요인이 발병을 유발할 수 있다.

MD는 전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다두 사육 농장에서는 지역이나 계절과 관계없이 발생한다. 심각한 발병 시기는 보통 3~4주령이지만, 때로는 12~30주령에서도 발생한다. 감염된 닭의 일부만이 발병하는 이유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요인들 때문이다.


1.5. 전파

MD는 주로 닭에서 발생하지만, 칠면조를 비롯한 다른 조류에서도 MD와 비슷한 병원체에 감염되어 발병하기도 한다. MD의 전파는 감염된 닭에서 비듬이나 깃털과 같이 몸 밖으로 나온 바이러스를 주로 호흡을 통하여 흡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감염된 모낭상피세포는 편평상피세포가 각질화층으로 변한다. 세포가 사멸하지 않았기 때문에 바이러스는 이 각질화된 층에 그대로 잔존하게 되어 감염된 닭에서 탈락된 털이 오염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감염된 닭은 계군에서 분리시켜야 한다. 양계장의 피모와 먼지에 포함된 바이러스는 4℃에서는 수개월간, 20-25℃에서는 적어도 몇 달간 감염성을 유지할 수 있다. 감염성은 아마도 불확실하게 지속되는데, 어떤 조류에서는 피부로부터 바이러스의 배출이 76주간에...


참고 자료

Ⅸ. REFERENCE
오봉국 외, 1998, 현대 가금학, 문운당, p138, pp424∼425
김교준 외, 1992, 최신 가축질병학, 선진문화사, pp284∼287
김선중 외, 1986, 신제 가축질병학, 향문사, pp285∼289
『농업기술』1997년 9월호.
Ⅹ. 관련 URL
http://vetmed.chonnam.ac.kr/clinpath/avian/marek.htm
http://ns.knrda.go.kr/TECH/cgi-bin/BH070106.htm
http://kitel.co.kr/~clicker5/farm/ngj/ng080404.htm
http://user.chollian.net/~worldvet/avian.htm
http://user.chollian.net/~cha8187/info5.htm
가축질병학 - 선진문화사
월간축산 - 2008년 7월호
인간과 동물의 유대
환경일보
제주지역 야생동물 질병 파악 및 예방 대책 연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