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초급 교재 3종 교수요목 차이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교수요목의 유형
2.1. 문법(구조) 중심 교수요목
2.2. 상황 중심 교수요목
2.3. 개념 기능 중심 교수요목
3. 한국어 교재 3종 분석
3.1. 「다문화가정과 함께하는 정확한 한국어 초급 1」(문법 중심)
3.2.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 1」(상황 중심)
3.3. 「세종 한국어 2」(개념 기능 중심)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각기 다른 성격을 가진 기관의 한국어 초급 교재 3종을 비교하기에 앞서 국립국어원 표준어대사전에 따르면, 교수요목이란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 내용을 체계적으로 조직한 교육의 전체 계획, 학교의 지도 아래 이루어지는 교과 학습 및 생활 영역의 총체"라고 하고 있다"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설계 연구에 따르면 수강생들이 접해야 하는 교수요목은 학교나 교육 체계 내에서 실현되는 의도된 전 교과 활동이나 프로그램을 총칭한다고 한다. 또, 교수요목에서는 교수 학습, 목표, 교육 내용과 교수 순서 및 절차를 계획적으로 실행해야 한다고 한다.
교재의 기능은 학습자와 교사가 상호작용하며 한국어를 수업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담당한다. 교사에게는 필요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좀 더 편하게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동시에 학습자로 하여금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본 과제에서는 한국어 초급 교재3종을 서로 비교하여 교재구성, 목표, 구성원리, 교수요목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기술하고자 한다."
2. 교수요목의 유형
2.1. 문법(구조) 중심 교수요목
문법(구조) 중심 교수요목은 언어학습이 문법의 내재화와 언어기술의 연습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며, 문법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단 언어의 형식적인 면이 내재화되면 자동적으로 교실 밖에서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믿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문법 형태나 발음 항목을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 빈도수가 높은 순에서 낮은 순으로 배열하여 문법의 난이도와 빈도수 즉 언어 구조 중심으로 교수요목을 설계한다""
문법을 중심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언어의 정확성에 집중하여 학습할 수 있으며 반복 연습을 통해 문법적 지식이 향상되므로 학습자들의 학습만족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언어에는 문법 ...
참고 자료
안용준,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과정및교수요목설계, 국립국어원 표준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안경화(2014), 중앙어문학회,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설계 연구
서종학, 이미향(2007), 교재 기능에 관한 연구
<연세 한국어1>,2007, 한국어학당
<서울대 한국어1>, 2013, 서울대 언어교육원
허용(2009),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백봉자, 경희대 교수 세종학당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이정희, 세종학당 기본 교재 개정 기초 연구
네이버검색
국립국어원(2015),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 1, 한글파크
이선웅 외 집필 국립국어원 집필(2019), 다문화가정과 함께하는 정확한 한국어1, 하우
국립국어원 편집부(2018), 세종한국어2, 국립국어원
이미혜 외 집필 국립국어원 집필(2020), 한국어와 한국문화, 하우
김은정(2010),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 한국어 교수요목 개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안용준(201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설계, 진흥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설계 강의안, 안용준
새 연세한국어 말하기와 쓰기 1, 2020, 정여훈, 이계윤, 유승희, 김지현, 박민진, 장선희
세종한국어 1A, 2022, 국립국어원
서울대 한국어 1, 2013, 김정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