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구성주의 진로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구성주의 진로 이론
1.1. 구성주의 진로 이론의 배경
1.2. 구성주의 진로 이론의 주요 개념
1.2.1. 직업적 성격
1.2.2. 생애주제
1.2.3. 진로적응도
1.3. 생애설계 상담의 개입 모형
2. 커리어 오-그램 작성과 분석
2.1. 본인의 커리어 오-그램 그리기
2.2. 커리어 오-그램의 분석
2.2.1. 내 진로이야기에서 반복되거나 공통적인 부분, 특징
2.2.2. 나에게 영향을 준 사람과 그로부터 받은 영향
2.2.3. 내가 하고 싶은 것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2.2.4. 내 진로 이야기에 대한 제목
2.2.5. 커리어 오-그램 활동을 통해 새롭게 알거나 느낀 점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구성주의 진로 이론
1.1. 구성주의 진로 이론의 배경
21세기 정보화사회에서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들은 내외적으로 계속 체제 변화를 꾀하고, 개인의 유연성, 적응력, 변화의 역동을 이끌 개인의 주도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전의 전통적인 진로 이론으로는 현대사회의 진로를 더 이상 설명하기 어렵다는 반성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나타나게 되었다. 21세기 진로상담은 생태학적 맥락, 직선적이지 않은 인과관계, 복합적 역동, 다중적인 주관적 현실에 대처하는 방법 및 지식을 도출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즉,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은 개인을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맥락과 개인의 지속적인 통합과정을 강조한다.
구성주의 진로 이론은 진로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 중 하나로서 사비카스(Savickas, 2005)의 구성주의 진로 이론(Theory of Career Construction)이 대표적이다. 사비카스(2005)는 직업과 사회의 변화에 따라 수퍼(Super)의 진로발달이론을 사회구성주의를 바탕으로 재 개념화하여 「구성주의 진로 이론」으로 제안하고 생애설계(Life Designing)의 개념으로 발전시켰다. 구성주의 진로이론은 수퍼의 진로발달이론에서 말한 개인 내적 구조의 성숙 외에도 환경에의 적응과 상호작용과정을 통해 개인이 스스로의 진로를 구성해간다고 보았다.
또한 구성주의 진로 이론은 수퍼의 진로발달이론 외에도 다양한 이론을 통합하여 사용하였는데, 홀랜드(Holland)의 직업 성격 및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학 등 다른 진로 이론에서도 필요한 요소를 접목하였다. 홀랜드의 이론에서는 직업 성격에 대해 개인이 어떻게 지각하고 활용하는지에 대한 관점을 참고하였고,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서는 구조화된 접근으로 진로상담 현장에서 활용하는 방법들, 내담자의 생활양식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삶의 목적 및 세계관을 이해하는 것을 참고하였다.
이러한 배경과 여러 이론들의 영향으로 사비카스의 구성주의 진로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진로 관련 행동과 직업적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스스로의 진로를 구성해간다는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 이때 상담자의 역할은 내담자들이 자신에게 유의미한 경험을 발견하도록 촉진하고 내담자 자신만의 진로이야기(career theory)를 만들어나가도록 돕는 것이다.
1.2. 구성주의 진로 이론의 주요 개념
1.2.1. 직업적 성격
직업적 성격(vocational personality)은 진로와 관련된 각 개인의 능력, 욕구, 가치, 흥미 등을 의미한다. 구성주의 진로 이론에서는 개인차를 반영한 진로선택의 전통을 부정하지 않는다. 진로와 관련된 개인의 특성은 서로 다르며, 이러한 개인의 특성에 맞는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진로상담의 과정이라고 본다.
그러나 구성주의 진로 이론에서는 이러한 개인차의 근원이 되는 개인의 특성이 선험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자기개념이란 이미 존재하고 있는 자신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기술이 아니라, 자기개념을 구성하기 위해 자신을 표현한 것이라...
참고 자료
김영빈․선혜연․황매향(2021). 「직업․진로설계」.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영숙(2020). 「직장인 커리어스토리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사례연구: 정서경험을 확충한 구성주의 진로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Savickas, M. L. (2005). The theory and practice of career construction. In S.D. Brown & R. W. Lent (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pp. 42-70). Hoboken, NJ: John Wiley & Sons.
리상섭(2014), 직업 진로설계, 양서원
황매향, 김계현, 김봉환, 선혜연, 이동혁, 임은미, 2013.4.15. 심층 직업상담: 사례 적용 접근, 학지사
임규혁, 2006, 교육심리학,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