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리나라 사회보험과 공공부조에 대해 설명하고 그 문제점과 향후 과제에 대해 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우리나라의 사회보험제도
2.1. 국민연금
2.2. 국민건강보험
2.3. 산업재해보상보험
2.4. 고용보험
2.5. 노인장기요양보험
3. 우리나라의 공공부조제도
3.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4. 사회보험제도와 공공부조제도의 문제점 및 향후과제
4.1. 국민연금제도의 문제점 및 향후과제
4.2.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문제점 및 향후과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는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제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국민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정부의 주요한 사회정책이다. 사회보험제도는 질병, 장애, 노령, 실업, 사망 등의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 보험 가입자들이 보험료를 납부하고 급여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반면 공공부조제도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생활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이처럼 사회보험과 공공부조는 국민의 기본적 권리와 생존권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사회보장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이번 과제에서는 우리나라의 사회보험제도와 공공부조제도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 제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향후 과제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한다.
2. 우리나라의 사회보험제도
2.1.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노화나 퇴직, 사망 등 사회적 위험으로 소득의 중단 또는 상실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하여 연금형태의 급여를 지급하는 제도이다. 1973년 제정이 이루어졌으나 시행이 유보되었으며, 1986년 국민연금법의 제정을 통해 본격적으로 도입이 이루어졌다. 이후 전국민을 대상으로 점차 확대되어 현재는 사회보장체계를 구성하는 핵심 사회보험이자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제도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국민연금제도는 실제로 노후소득보장이 충분히 이루어진다고 보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의 노인빈곤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다루어지는 것도 이러한 국민연금제도의 한계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국민연금제도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영업자나 일용직 근로자 등의 가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사례가 많으며, 충분한 가입기간이 인정되어야만 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노후소득보장이 이루어진다고 보기 어렵다. 특히 1989년 이후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적용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현재의 노인 세대의 경우 국민연금제도를 통한 급여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국민연금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향후과제로는 첫째, 국민연금제도의 사각지대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국민연금제도에서는 일용근로자 또는 1개월 미만의 기한을 정하는 근로자는 사업장 가입 대상에서 제외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는 노후소득보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임의가입을 통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일용근로자에 대한 노후소득보장을 위해 국민연금 가입기간을 조정하는 등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국민연금제도의 지속성을 개선해야 한다. 현재의 국민연금제도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납부자와 수급자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재정적 불안정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해 가입기간 단축, 급여액 조정, 소득 수준에 따른 급여 자층화 등의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2.2. 국민건강보험
국민건강보험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보험 제도로, 모든 국민이 의무적으로 가입하게 되어 있다. 이를 통해 국민의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의료비 지출을 줄일 수 있고, 전 국민에게 안정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3년 의료보험법이 제정되었고, 1989년 이후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적용이 확대되었다.
국민건강보험법에 의하면, 전 국민의 99% 정도가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을 만큼 가입률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적용대상의 문...
참고 자료
김준호, 민법강의 제22판, 법문사, 2016.
서보준 외 3인, 『사회복지개론』, 지식공동체, 2018.
조흥식 외 9인, 『사회복지개론』, 나남, 2015.
김기원, 「공공부조론」, 학지사, 2000
이인재 외, 「사회보장론」, 나남, 2000
윤찬영, 「사회복지법제론」, 나남, 2001
윤철수 외 8인,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2018
한사평, 「사회복지개론」, 한국사이버평가교육원, 2021
이영미, 「사회복지학개론」, 학지사, 2022.
서무근, 「노후빈곤문제에 대처한 국민연금제도와 기초노령연금제도의 역할분담방안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2007.
박수정, 「공공부조 전달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양대학교, 2003.